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25:04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서양의 손가락 욕에 대한 내용은 뻐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서양의 손가락 욕:
뻐큐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한글 기본 자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5%;"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colbgcolor=#eee,#000> 기본 자모
자음(14개) · · · · · · · · · · · · ·
모음(10개) · · · · · · · · ·
기타 자모
자음 겹자음(5개) · · · ·
겹받침(11개) · · · · · · · · · ·
겹모음(11개) · · · · · · · · · ·
}}}}}}}}}
[ 옛한글 ]
||<tablewidth=100%><-3><width=1000> · 개별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
기본 자모 · · ·
중국어 표기용 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겹자모

각자
병서
· · ᄽ · ᄿ · ᅏ · ᅑ · · ·
합용
병서
ㅳ · ㅄ · ㅶ · ㅷ
ㅺ · ㅼ · ㅽ
ㅴ · ㅵ
연서 · ㆄ · ㅸ · ㅹ · ㅱ
중성 · · · · · (ᆖ) · (ᆢ) ·
종성 · ·
}}} ||


1. 개요2. 본문3. 인터넷 은어

1. 개요

<colbgcolor=#ddd,#383b40> 이름
분류 단모음
음성 o ~ o̞
한글 자모의 열아홉 번째 글자이자 모음의 다섯 번째 글자. ''라고 읽는다.
[clearfix]

2. 본문

로마자로 쓸때 주로 O라고 쓰고, 국제음성기호로 단모음은 후설 원순 중고모음 [o]로 나타낸다. [o̞]처럼 입을 더 벌려서 발음하기도 한다. 훈민정음에서는 를 합해 만들었고, 그 소리를 'ㆍ와 같지만 입을 오므린다'[1][2]고 설명하고 있다. 중성 모음 와 합쳐져 단모음 를, 양성 모음 와 합쳐져 이중 모음 를, 그리고 와 합쳐져 이중 모음 를 표기할 수 있다.

훈몽자회에서는 와 음가가 같다고 설명하고 있다.

3. 인터넷 은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뻐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속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ㅗ’ 모음의 모양이 중지를 들고 있는 모습과 비슷해서 생긴 은어다. 엿이라고도 많이 부른다. 압정과도 비슷한 모양이어서 인터넷에서 이 의미로 쓰인 ㅗ를 돌려말할 때 압정이라고 하기도 한다.[3][4]


[1] 물론 현대 음성학에서는 ㆍ([ʌ\] 발음으로 추정됨.)와 대응되는 원순모음이 [ɔ]이지만, 그런 게 없었던 당시에는 입을 오므린다는 말이 원순모음화 뿐만 아니라 고모음화도 암시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그를 고려하면 훈민정음에서 나타내는 발음은 [o\]에 가까웠을 것이다.[2] 북한 문화어에서는 ㅗ의 표준 발음을 [ɔ\]로 정하였다. // 지경남, "중국어어음습득에서 모국어어음의 영향을 극복하기 위한 방도",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어문학, 제67권 제1호 \(2021).[3] 사실상 이 모음이 다른 모음에 비해서 즐겨찾기수가 많은 이유다.[4] 게임같은곳에서 ㅗ가 검열될 경우엔 _|_로 변형해서 쓰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