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12:34:53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초성체에 대한 내용은 ㅎㄷㄷ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한자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초성체:
ㅎㄷㄷ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한자: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한글 기본 자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5%;"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colbgcolor=#eee,#000> 기본 자모
자음(14개) · · · · · · · · · · · · ·
모음(10개) · · · · · · · · ·
기타 자모
자음 겹자음(5개) · · · ·
겹받침(11개) · · · · · · · · · ·
겹모음(11개) · · · · · · · · · ·
}}}}}}}}}
[ 옛한글 ]
||<tablewidth=100%><-3><width=1000> · 개별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
기본 자모 · · ·
중국어 표기용 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겹자모

각자
병서
· · ᄽ · ᄿ · ᅏ · ᅑ · · ·
합용
병서
ㅳ · ㅄ · ㅶ · ㅷ
ㅺ · ㅼ · ㅽ
ㅴ · ㅵ
연서 · ㆄ · ㅸ · ㅹ · ㅱ
중성 · · · · · (ᆖ) · (ᆢ) ·
종성 · ·
}}} ||


1. 한글 자모의 일종2. 인터넷 및 SNS등에서 축약어로 사용되는 ㄷ3. 여담

1. 한글 자모의 일종

<colbgcolor=#ddd,#292929> 이름 디귿(디읃)
분류 자음(예사소리)
음성 <colbgcolor=#e7e7e7,#363636> 어두 t(d̥)[1]
[예사소리]
tʷ(d̥ʷ)[3][4]
유성음 사이 d[5]
종성 [6]
종성+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 앞 [7]
s[8]
ɕ[9]
종성+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 앞 d[10]
비음, 유음 앞 n[11]
ȵ[12]
경음화
(된소리되기)
[13]
격음화
(거센소리되기)
[14]
t͡ɕʰ[15]
[clearfix]
한글 자모의 세 번째 글자.

ㄴ에 획을 더한 형태이며, 남한에서의 호칭은 디귿이고 북한에서는 디읃이다.[16]

ㄷ 받침이 붙은 단어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조사, 어미, 접미사)가 붙었을 때 /ㄷ/으로 발음해야한다.[17]

글자의 이름인 디귿에서만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붙었을 때 받침은 /ㄷ/이 아닌 /ㅅ/ 소리를 낸다.[18]

목젖으로 콧길을 막고 혀끝을 치조에 대어입길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파열음이다.

2. 인터넷 및 SNS등에서 축약어로 사용되는 ㄷ

대표적으로 ㄷㄷ가 있으며 덜덜이라 읽고 뭔가 대단해 보인다는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또는 이란 표현으로도 쓰이고 ㅎㄷㄷ(후덜덜)에서 ㅎ이 탈락되어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3. 여담


[1] 람쥐[예사소리] 관습적으로 무기음으로 표기하나, 사실 현대 서울 한국어에서만큼은 어두에서 ㅌ에 가까운 기식을 가지며, ㅌ과 차별되는 주요 변별 자질은 낮은 음조(F0)이다.[3] 순음화. 뒷내용[4] 공식적인 ㅟ의 발음은 wi가 아닌 y이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따지면 아닐 수 있다.[5], 과[6] [7] 구개음화+파찰음화. 이[구\][8] 글자의 이름인 '디귿'에 모음 조사가 붙을 때만. (예) 디귿을[디그\] 발음하다.[9] 글자의 이름인 '디귿'에 모음 조사가 붙어서 구개음화가 일어날 때만. (예) 디귿이[디그\] 쓰기 어렵다.[10] 알[나\][11] 며느리[며느리\][12] 구개음화. 나 믿니[니\]?[13][잡\][14] 그렇지 않[안\][15] 거센소리되기+구개음화+파찰음화. 히다[다다\][16] 북한에서는 초성 자모(字母) X의 이름을 항상 "X ㅣ ㅇ ㅡ X"으로 부르지만, 남한에서는 ㄱ(기), ㄷ(디귿), ㅅ(시)에 이 규칙을 적용하지 않는데, 이는 '훈몽자회"에서 확인되는 과거로부터의 전통을 존중하기 때문이다. 해당 문서 참고.[17] 예: 굳은(: 구든)[18] 예시) 디귿을 : << 디그들(X) >> , << 디그슬 (O) >>.[19] 으+ㄸ 받침. 나눔바른고딕 옛한글, 나눔명조 옛한글(이 둘은 여기서 다운 가능), 함초롬체 LVT(아래아 한글 문서 참고) 중 하나가 설치되어 있으면 이 부분이 제대로 보인다.[20] 다, 더, 도, 두. 과거에는 드도 있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