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환승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환승역 | |
개념환승 | 막장환승 | |
간접환승 | ||
대한민국 지하철 환승 정보 | ||
수도권 전철 | 기타 지역 | |
근접한 위치임에도 자체환승이 불가능한 역 | 급행 미정차 환승역 | |
관련 문서 | ||
환승 게이트, 환승띠, 환승저항, 환승음악 | }}}}}}}}} |
1. 개요
換乘驛 / Interchange Station, Transfer Station[1]도시철도 및 철도에서 다른 노선으로 열차를 갈아탈 수 있도록 만든 역.
대개 기존에 지어진 노선 근처에 역을 만들어 환승하는 경우에만 해당되지만, 넓은 의미에서 보면 철도의 경우는 급행에서 완행으로 다른 급의 열차를 타거나 도시철도와 마찬가지로 노선이 직결되지 않아서 어쩔 수 없이 갈아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다른 교통수단으로 갈아타는 것이 가능한 역도 이 범주에 들어간다.
반대말은 비환승역이다.[2] 비환승역을 일반역이라고 하기도 한다.
2. 구조
두 노선이 교차하는 경우 십자형, T자형, L자형 구조로 나뉜다. 환승통로가 두 노선 모두 중앙에 맞물려있다면 십자형, 두 노선 모두 양 끝에 맞물려있다면 L자형, 한 노선은 중앙, 다른 노선은 끝에 맞물려있다면 T자형이다.두 노선이 같은 층에 있는 경우, 위층으로 올라갔다 다시 아래층으로 내려가는 형태의 환승, 혹은 반대로 아래층으로 내려갔다 다시 위층으로 올라가는 형태의 환승은 二자형의 환승 구조라고 볼 수 있다.[3] 또 평면환승(또는 노선공용) 구조의 경우 제자리 환승[4]과 맞은편 환승 구조[5]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십자형, 평면형, 복층형일수록 개념환승이 될 확률이 높고, L자형일수록 막장환승이 될 확률이 높다.
두 노선이 교차하지 않고 접하는 형태의 환승역도 있다. 도봉산역, 신길역, 잠실역이 그 예시이다.
3. 직접환승과 간접환승
환승역 사이를 오갈 때 개찰구를 통과하지 않고 다른 승강장으로 갈 수 있으면 직접환승이라고 하고, 반드시 하나 이상의 개표구를 통과 해야하면 간접환승이라고 한다. 환승통로의 유무는 직접환승-간접환승을 가리는 기준이 아니다. 두 승강장의 운임구역 분리가 간접환승의 기준이다. 환승통로가 있어도 두 역의 운임구역이 별개라 개찰구를 통과해야 하면 간접환승이다. 환승통로에 환승전용 개찰구가 있는 간접환승은 환승 게이트라고 한다. 즉, 환승게이트는 환승통로 양 쪽의 두 개표기를 하나로 통합한 것이다.- 승장장A → 환승통로 → 승강장B : 직접환승
- 승강장A → 개찰구 → 역사 밖 → 개찰구 → 승강장B : 간접환승
- 승강장A → 개찰구 → 환승통로 → 개찰구 → 승강장B : 간접환승
- 승강장A → 환승통로(개찰구) → 승강장B : 간접환승(환승 게이트 방식)
4. 대한민국의 환승역
자세한 내용은 환승역/대한민국 문서 참고하십시오.5. 관련 문서
[1] Interchange Station이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구글에서 Transfer Station으로 검색하면 대부분 쓰레기 집하(처리)장에 관련된 것 뿐이다. 미국도 마찬가지다.[2] 비환승역은 단일역하고는 다르다. 타 노선과는 환승이 되지 않지만 노선 분기/지선 환승이 가능한 역은 단일역이지만 환승역이다. 예) 구로역. 물론 비환승역은 모두 단일역이며, 단일역이 아니면 모두 환승역이다.[3] 회기역, 용산역 등[4] 열차에서 내리고 바로 그 선로에서 다른 열차로 갈아탈 수 있는 구조이다. 노선 공용 구간의 대부분의 역이 해당된다.[5] 섬식 승강장의 형태에서 열차에서 내리고 맞은편 선로로 갈아탈 수 있는 구조. 금정역 정방향 환승과 같은 구조이며, 열차 시간이 딱 맞다면 3초 환승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