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12:56:52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 || <colbgcolor=#00a44e><colcolor=#fff> 모덕초등학교 毛德初等學校 Modeok Elementary School |
|
개교 | 1989년 3월 1일 |
성별 | 남녀공학 |
형태 | 공립 |
교장 | 김창회 |
교감 | 배현주 |
교화 | 개나리 |
교목 | 느티나무 |
학생 수 | 658명 |
교직원 수 | 45명 |
관할 교육청 | 부산광역시북부교육지원청 |
주소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상로 120 |
홈페이지 | |
<nopad> |
1. 개요2. 학교 연혁3. 학교 상징4. 학교 특징5. 학교 시설6. 학교 생활7. 운동부8. 출신 인물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10. 사건 사고11. 기타12. 둘러보기
[clearfix]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2동에 위치한 초등학교.
2. 학교 연혁
- 2024년 3월 1일: 31학급 편성(특수학급 2 포함)
- 2024년 2월 8일: 제 35회 졸업식(남학생 60명, 여학생 70명, 계 130명)
- 2023년 3월 1일: 제 13대 김창회 교장선생님 취임
- 2023년 3월 1일: 31학급 편성(특수학급 2 포함)
- 2023년 2월 10일: 제 34회 졸업식(남학생 59명, 여학생 76명, 계 135명)
- 2022년 3월 1일: 34학급 편성(특수학급 2 포함)
- 2021년 2월 19일: 제 32회 졸업식(남학생 63명, 여학생 67명, 계 130명)
- 2020년 3월 1일: 모덕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개원, 2개 교실 2학급
- 2020년 3월 1일: 제 12대 김옥점 교장선생님 취임
- 2020년 3월 1일: 35학급 편성(특수학급 2 포함)
- 2020년 2월 21일: 제 31회 졸업식(남학생 54명, 여학생 54명, 계 108명)
- 2019년 3월 1일: 35학급 편성(특수학급 2 포함)
- 2019년 2월 21일: 제 30회 졸업식(남학생 51명, 여학생 52명, 계 103명)
- 2018년 3월 1일: 33학급 편성(특수학급 1포함)
- 2018년 2월 19일: 제29회 졸업식(남학생 56명, 여학생 57명, 계 113명)
- 2017년 11월 10일: 느티마당 개보수 및 양궁장 증축
- 2017년 3월 1일: 33학급 편성(특수학급 1 포함)
- 2017년 3월 1일: 제 11대 강병두 교장선생님 취임
- 2017년 2월 17일: 제 28회 졸업식(남학생 67명, 여학생 62명, 총 129명)
- 2016년 12월 25일: 2016 교육활동 우수(학교 경영) 교육감 표창
- 2016년 3월 1일: 34학급편성(특수학급 1포함)
- 2016년 2월 19일: 제 27회 졸업식 (남학생 82명, 여학생 60명, 계 142명 총 8,398명) 총
- 2015년 8월 12일: 제 21회 부산시장배 양궁대회 남자 초등부 1위
- 2015년 3월 2일: 36학급 편성(특수학급 1 포함)
- 2015년 2월 17일: 제 26회 졸업식 (남학생 77명, 여학생 71명, 계 148명 총 8,255명)
- 2014년 11월 27일: 부산교육박람회 사교육절감형 창의경영학교 성과 보고
- 2014년 11월 22일: 제 13회 부산 초등학생 육상경기대회 여자부 종합 2위
- 2014년 9월 1일: 제 10대 정해수 교장선생님 취임
- 2013년 11월 4일: 제22회~25회 초․중학교 학년별 꿈나무 선발 육상경기대회(4년 연속우승)
- 2012년 2월 13일: 교육과학기술부 지정「사교육절감형 창의경영학교」지정(3년간)
- 2010년 12월 28일: 부산시교육청 지정 「사교육 없는 학교」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10년 12월 24일: 교육과학기술부 영어리더 우수학교 선정
- 2010년 7월 9일: 「사교육 없는 학교」연구학교 재지정(2차년도)
- 2010년 3월 1일: 부산시교육청 지정 자율학교 운영
- 2010년 2월 22일: 야외 느티마당 완공
- 2009년 7월 1일: 「사교육 없는 학교」연구학교 지정 및 지원센터 설치
- 2008년 11월 5일: 잉글리시 스토어 교실 조성
- 2008년 9월 1일: 방송실 현대화, 화장실 개보수, 강당 냉난방시설
- 2008년 4월 30일: 급식실 현대화 사업 완공 예정
- 2008년 3월 1일: 43학급 편성 (특수학급 1 포함)
- 2008년 3월 1일: 과학교육 선도학교 시범 운영 재지정
- 2008년 2월 28일: 보건실 현대화 사업 완공(리모델링)
- 2007년 9월 1일: 제8대 최효숙 교장 취임
- 2007년 3월 1일: 과학교육 선도학교 시범 운영 재지정
- 2007년 3월 1일: 44학급 편성 (특수학급 1포함)
- 2007년 2월 21일: 제18회 졸업식 (졸업생 261명, 총 6,747명)
- 2006년 3월 1일: 45학급 편성 (특수학급 1포함)
- 2006년 2월 19일: 제17회 졸업식 (졸업생 260명, 총 6,486명)
- 2005년 12월 28일: 다목적 강당 건축 착공 (2006. 7. 25. 완공 예정)
- 2005년 4월 1일: 1학년 급식 시작(전교생 급식)
- 2005년 2월 18일: 제16회 졸업식(졸업생 289명, 총 6226명)
- 2004년 9월 1일: 제7대 김역현 교장 취임
- 2003년 7월 1일: 과학교육 선도학교 운영(2003. 7 ∼ )
- 2002년 3월 1일: 제6대 노태관 교장 취임
- 2001년 3월 1일: 부산시 지정 ICT 소양교육 시범학교(2년간)
- 2000년 3월 1일: 제5대 김종일 교장 취임
- 1999년 9월 1일: 제4대 박진호 교장 취임
- 1997년 3월 1일: 교육부 지정 학교업무 종합정보관리 시범학교 운영(2년간)
- 1996년 9월 1일: 제3대 이대륭 교장 취임
- 1996년 4월 1일: 학교급식 시작
- 1993년 3월 1일: 덕상교(565명) 신설분리, 본교 60학급 편성
- 1992년 9월 1일: 제2대 이채형 교장 취임
- 1992년 3월 2일: 모산교(44학급) 신설 분리, 본교 66학급 편성
- 1991년 3월 1일: 10개 교실 증축 67학급 편성
- 1990년 9월 1일: 7개 교실 증축
- 1990년 3월 1일: 15개 교실 증축, 55학급 편성
- 1989년 3월 1일: 모덕국민학교 개교, 24개 교실 25학급(초대 공대영 교장)
3. 학교 상징
<nopad> |
개나리
개나리는 새봄과 새 출발을 의미하는 전령화로 모덕 어린이의 꿈과 희망을 나타내며 겸손하면서도 서로 잘 어울려 아름다운 마음으로 살아가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느티나무
억센 줄기는 강인한 의지를, 고루 퍼진 가지는 조화된 질서를, 단정한 잎들은 예의를 나타내며 바르고 참된 어린이로 자라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파일:부산 모덕초 교육목표.jpg]()
![파일:부산 모덕초 교가.png]()
4. 학교 특징
(교복, 명찰, 체육복 등을 서술하실 수 있습니다.)
5. 학교 시설
6. 학교 생활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 시기"로 추가해 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합니다. |
8. 출신 인물
<colbgcolor=#E9ECEF,#101112>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모덕초등학교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동원아파트(15026·15027) ||
제도권 언론 및 계열 브랜드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