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1. 개요
성우회(星友會). 한국의 예비역 및 퇴역자 단체. 대한민국재향군인회나 해병대전우회, 공군전우회 등과의 차이점은 장성급 장교 예비역, 퇴역자들의 모임이란 점이다. 장성의 바로 아래인 대령의 경우 육해공군예비역대령연합회란 모임이 있다.[1] 현 회장은 임충빈 전 육군참모총장이다.2. 상세
출신군은 물론 계급에 대한 차별이 일절 없으며 대우는 동등하다고는 하지만, 준장 출신은 암묵적으로 회장단[2]에 선출되기 어렵다. 물론 기수에 따라 계급에 상관 없이 선배에게 기본적인 예의는 갖춘다고 한다. 하는 일은 국방정책현안을 논의하는 것이 유일하다. 예비군의 각종 안보교육도 모종의 커넥션으로 맡아서 하는 중이다.이 성우회의 회원 중에서도 국회의원들이 꽤나 포진되어 있으며 그들은 정치권[3]에서 국방자문위원으로 맹활약하고 있다. 또한 현역 장성들과 연계해서 국방문제에 대해 서로 도움을 주고 받는다. 어차피 현역 장성들도 전역하면 이리로 들어오기 때문에 성우회와 현역 장성들은 친분이 깊다.
정치적 현안에 대해 성우회의 명의로 발언하거나 관련 집회에 참석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예비역 장성 출신이다 보니 보수적 성향이 짙은데, 실제로 설립 이념도 "자유수호, 국가보위와 조국의 평화통일"로 보수주의적인 발언을 많이 하며 실제로 우파 세력의 목소리를 대변하기도 한다. 군부대에 진중문고로 뿌려지는 잡지인 월간 <자유>가 성우회 기관지이다.[4]
조직 구성을 보면, 회장은 육/해/공군과 해병대에서 나오며, 부회장 4석은 육/해/공군과 해병대가 각 1자리 씩 배출한다.
직전 회장(14대)인 김진영은 후술하겠지만 성우회의 전신인 성우구락부를 해체시킨 주범인 과거 하나회의 주축 멤버이자 전두환의 직계 충복이며 전두환의 오른팔 장세동과 함께 장태완 소장을 배신하고 12.12 군사반란을 일으킨 가장 주요한 공신이다. 게다가 10대 회장인 이종구, 12대 회장인 고명승 또한 하나회이며 이종구 장군은 하나회의 황태자라 불린 전두환계 군인이며 고명승 장군 또한, 김진영 회장 처럼 12.12 군사반란의 주범이다.[5]
게다가 9대 회장인 김상태 전 참모총장은 록히드마틴에 십수여건의 군사기밀을 유출하고 수십억원대의 수수료를 챙긴 혐의가 적발되어 1심에 징역 2년 집유 3년을, 항소심에서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받은 군범죄자다. 군이나 우파 세력 측에서는 성우회를 옹호하지만, 헌법상 엄연한 반란분자인 쿠데타의 주모자들이나 현충원 안장 자격까지 박탈된 범죄자가 회장이 되었다는 점에서 상당히 뒤틀린 체제라는 것과 구성원들의 상황을 알 수 있다. 그래서 표명렬 장군이라던지 백군기 장군, 황기철 제독 같은 몇몇 진보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예비역 장성들은 독자 활동을 펼치기도 한다.[6]
2018년에는 일본 극우단체의 지원을 받아 한일 군사교류협력사업을 진행해왔고 정부보조금을 지원받아 임원들이 해외여행을 다닌 사실이 드러났다. #
3. 역사
1965년 성우구락부(星友俱樂部)[7]로 창설되었고 초대 회장은 김홍일이었다. 이응준, 정일권, 이종찬 등이 이어서 회장을 맡았다. 그러나 1980년, 12.12 군사반란이 일어난 후 전두환의 하나회에 의해 설립된 초법적 기구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에 의해 해산되었다.1989년에 성우구락부는 성우회란 이름으로 부활했고 백선엽이 초대회장을 맡았다.
의외로 회장의 경우 육해공이 골고루 돌아가며 맡는 편이다. 임기는 2년. 성우구락부 시절의 회장이었던 김홍일, 이응준, 정일권, 이종찬은 모두 대한민국 육군 출신이었지만 성우회 회장은 육군 출신으로는 백선엽(1대), 유재흥(2대), 민기식(4대), 정승화(6대), 오자복(8대), 이종구(10대), 고명승(12대)이 있다. 대한민국 해군 출신은 이성호(3대), 김영관(7대), 김종호(11대)가 있다. 대한민국 공군 출신인 장지량(5대), 김상태(9대)[8] , 김홍래(13대)도 있다.
직전 17대 회장은 이한호 장군 [9]이었고, 현재 18대 회장은 임충빈 장군 [육군] 이다.
3.1. 역대 회장
대수 | 성명 | 계급 | 군별 | 임기 |
성우구락부 대표지도위원 | ||||
1 | 김홍일 | (예)중장 | 육군 | 1965년 ~ 1965년 |
2 | 이응준 | (예)중장 | 1965년 ~ 1966년 | |
3 | 1966년 ~ 1967년 | |||
성우구락부 회장 | ||||
4 | 이응준 | (예)중장 | 육군 | 1967년 ~ 1968년 |
5 | 1968년 ~ 1969년 | |||
6 | 1969년 ~ 1969년 | |||
7 | 정일권 | (예)대장 | 1969년 ~ 1973년 | |
8 | 1973년 ~ 1975년 | |||
9 | 1975년 ~ 1977년 | |||
10 | 이종찬 | (예)중장 | 1977년 ~ 1979년 | |
11 | 1979년 ~ 1981년 | |||
성우회 회장 | ||||
1 | 백선엽 | (예)대장 | 육군 | 1989년 ~ 1991년 |
2 | 유재흥 | (예)중장 | 1991년 ~ 1993년 | |
3 | 이성호 | (예)중장 | 해군 | 1993년 ~ 1995년 |
4 | 민기식 | (예)대장 | 육군 | 1995년 ~ 1997년 |
5 | 장지량 | (예)중장 | 공군 | 1997년 ~ 1999년 |
6 | 정승화 | (예)대장 | 육군 | 1999년 ~ 2001년 |
7 | 김영관 | (예)대장 | 해군 | 2001년 ~ 2003년 |
8 | 오자복 | (예)대장 | 육군 | 2003년 ~ 2005년 |
9 | 김상태 | (예)대장 | 공군 | 2005년 ~ 2007년 |
10 | 이종구 | (예)대장 | 육군 | 2007년 ~ 2009년 |
11 | 김종호 | (예)대장 | 육군 | 2009년 ~ 2011년 |
12 | 고명승 | (예)대장 | 육군 | 2011년 ~ 2013년 |
13 | 김홍래 | (예)대장 | 공군 | 2013년 ~ 2015년 |
14 | 김진영 | (예)대장 | 육군 | 2015년 ~ 2017년 |
15 | 유삼남 | (예)대장 | 해군 | 2017년 ~ 2019년 |
16 | 이종옥 | (예)대장 | 육군 | 2019년 ~ 2021년 |
17 | 이한호 | (예)대장 | 공군 | 2021년 ~ 2023년 |
18 | 임충빈 | (예)대장 | 육군 | 2023년 ~ 현직 |
4. 논란 및 의혹
4.1. 일본 극우단체로부터의 지원 의혹
2018년 뉴스타파가 성우회가 일본의 극우 단체로부터 지원을 받아 수년전부터 한일 군사교류협력 사업을 진행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국제전략교류협회가 행정안전부에 제출한 회계자료에서 성우회가 사사가와 평화재단으로부터 지원을 받은 사실을 확인했다. 사사가와 평화재단은 일본의 A급 전범 용의자 출신 사사가와 료이치가 설립한 재단으로 일본의 전쟁범죄를 미화하는 역사왜곡에 관여하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극우 단체다.
4.2. 문영일의 제12보병사단 훈련병 사망 사건의 피의자 옹호 및 피해자 막말 논란
제12보병사단 훈련병 사망 사건과 관련해 성우회 사이트에 사건을 일으킨 중대장을 구속하면 국군이 패망한다면서 개인의 운명으로 생각하라는 글을 올렸고#[11], 이로 인해 큰 공분을 사고 있다.
- 하나회 출신 "중대장은 죄가 없다…유족들 운명이라 생각하시라" [소셜픽] - JTBC
- 하나회 출신 예비역 중장 "훈련병 중대장 구속하면 국군 패망" - 오마이뉴스
- 얼차려 사망 유족에 '운명'이라는 예비역 장군 "중대장 구속말라" - 머니투데이
- 하나회 출신 "얼차려 중대장 구속땐 국군 패망...유족은 운명이라 생각하시라" - 세계일보
- "숨진 훈련병은 운명이라 생각"‥'피꺼솟 발언' 전 장성 누구? - MBC
5. 여담
- 군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사람들은 성우협회와 같은 줄 알고 착각하는 사람들도 많다. 간혹 예비군들도 착각하기도 한다.
[1] 다만 이곳의 초대 회장은 퇴역 대한민국 육군 부관 대령 서정갑으로, 때문에 국민행동본부와 연관이 깊다.[2] 회장, 부회장, 감사, 사무총장 등.[3] 대부분이 보수정치권이다.[4] 정확히는 부설기관 (사)성우안보전략연구원이 발행. 원래 1968년 박창암이 사재를 털어 세운 '자유사'가 창간했으나 2001년부터 성우회가 인수, 2006년부터 전술한 성우안보전략연구원(당시 성우안보연구소)로 발행권을 이관했다.[5] 고명승은 김진영과 달리 6월 민주항쟁 직후 육사동기인 민병돈 특전사령관과 함께 전두환이 언급한 유혈 진압을 반대하였기에 옹호의 여지가 소수 있다. 민병돈도 하나회에다가 전두환계열이지만 민병돈의 강직한 성격을 매우 잘 아는 전두환이 1212, 518 사건을 벌일때 배제했다.[6] 다만 이것도 장병 복지 관련하여 진보적이라는 거지, 안보에는 보수 성향인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전시작전권을 환수받아서 독자적 방위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라던지 해/공군에 보다 많이 투자하는 것. 그래서 이런 분들도 민주당계 정당으로 갈지언정, 정의당 등 진보정당으로 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7] 구락부는 club의 음차이다.[8] 록히드 마틴에 돈 받고 군사기밀을 넘긴 그 사람 맞다.[9] 공사 17기 출신. 예비역 대장. 공군참모총장 역임[육군] 예비역 대장, 육군참모총장[11] 본인이 직접 게재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