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15:42:45

홍재근

파일:태극무공훈장 약장.png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태극무공훈장 부장.png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1951
김용식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김용배
육군준장
1951
박노규
육군준장
1951
김백일
육군중장
1951
김홍일
육군중장
1951
함준호
육군중장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1951
최용남
해병소장
1951
김성은
해병중장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1952
이형근
육군대장
1951
권동찬
육군준장
1952
김종오
육군중장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1953
장덕창
공군중장
1953
최용덕
공군중장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1953
김교수
육군대위
1953
김한준
육군대위
1953
김용배
육군대장
1953
민기식
육군대장
1953
임충식
육군대장
1953
한신
육군대장
1953
김점곤
육군소장
1953
이성가
육군소장
1953
이용문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1953
김동빈
육군중장
1953
김종갑
육군중장
1953
백인엽
육군중장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1953
유재흥
육군중장
1953
최영희
육군중장
1953
함병선
육군중장
1953
최치환
총경
1954
김만술
육군대위
1954
허봉익
육군대위
1954
김경진
육군중령
1954
김웅수
육군소장
1954
송석하
육군소장
1954
엄홍섭
육군소장
1954
임선하
육군소장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1954
김옥상
육군일병
1954
조재미
육군준장
1954
안낙규
육군중사
1954
박병권
육군중장
1954
이응준
육군중장
1954
이준식
육군중장
1954
장도영
육군중장
1954
최석
육군중장
1954
최창언
육군중장
1954
박옥규
해군중장
1954
김석범
해병중장
1955
김창룡
육군소장
1955
정긍모
해군중장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1960
미군무명용사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1961
국군무명용사
-
1964
박정희
대통령
1966
이종세
육군상사
1966
강재구
육군소령
1966
이인호
해병소령
1967
송서규
육군대령
1967
채명신
육군중장
1967
지덕칠
해군중사
1967
정경진
해병대위
1967
신원배
해병소위
1968
최규식
경무관
1968
이익수
육군준장
1968
최범섭
육군중령
1970
이세호
육군중장
1972
이무표
육군대위
1972
임동춘
육군대위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1980
전두환(취소)
육군대장
2002
장철부
육군중령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2011
조달진
육군소위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

<colbgcolor=#000><colcolor=#fff> 홍재근
洪在根
출생 1928년 12월 10일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대구부 비산동
사망 1950년 9월 29일 (향년 21세)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군 비학산
계급 일병[1]
복무 기간 1950.05~1950.09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2. 생애

1928년 대구부 비산동에서 태어나 중학교를 졸업하고 1950년 육군에 자원입대했다. 하지만 전쟁이 발발하고 신병교육과정을 제주도에서 1개월만에 단축되어 수료했다. 제2보병사단 17보병연대 3대대 소총수로 낙동강 전선에 배치되었다.

당시 북한군 제12사단은 수도사단의 반격으로 당시 경주군이자 현재 포항에 있는 비학산으로 퇴각했다. 이후 인근 빨치산인 766유격부대를 흡수해 방어진지를 강화하고 차후 작전을 준비하고 있었다. 수도사단은 비학산 점령을 시도했으나 번번히 실패로 돌아가며 제2보병사단과 교대했다. 17보병연대가 비학산 공격의 전초전으로 766유격부대의 공격을 시도하자 홍재근은 훈련소 동기인 김용식 이병과 함께 돌격작전의 선봉으로 지원해 침투 후 초병을 처리하고 특공조의 일원들이 유격부대를 공격해 부대를 와해시켰다.

본격적인 비학산 탈환전 당시에도 김용식과 다시 자원해 선두에 섰으며 적 진지로 진입에 성공해 백병전에 돌입하며 김용식은 군관의 허벅지를 찌르고 홍재근은 경기관총 사수, 부사수를 찔렀으나 이후 후속 백병전에서 중과부적으로 김용식은 살아남았으나 본인은 대검에 무수히 찔려 전사했다. 사후 1951년 김용식과 함께 태극무공훈장을 받았다.

3. 여담



[1] 추서 계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