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 1951 김용식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김용배 육군준장 |
1951 박노규 육군준장 | 1951 김백일 육군중장 | 1951 김홍일 육군중장 | 1951 함준호 육군중장 |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
1951 최용남 해병소장 | 1951 김성은 해병중장 |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 1952 이형근 육군대장 | 1951 권동찬 육군준장 |
1952 김종오 육군중장 |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 1953 장덕창 공군중장 | 1953 최용덕 공군중장 |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
1953 김교수 육군대위 | 1953 김한준 육군대위 | 1953 김용배 육군대장 | 1953 민기식 육군대장 | 1953 임충식 육군대장 |
1953 한신 육군대장 | 1953 김점곤 육군소장 | 1953 이성가 육군소장 | 1953 이용문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 1953 김동빈 육군중장 | 1953 김종갑 육군중장 | 1953 백인엽 육군중장 |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
1953 유재흥 육군중장 | 1953 최영희 육군중장 | 1953 함병선 육군중장 | 1953 최치환 총경 | 1954 김만술 육군대위 |
1954 허봉익 육군대위 | 1954 김경진 육군중령 | 1954 김웅수 육군소장 | 1954 송석하 육군소장 | 1954 엄홍섭 육군소장 |
1954 임선하 육군소장 |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 1954 김옥상 육군일병 | 1954 조재미 육군준장 |
1954 안낙규 육군중사 | 1954 박병권 육군중장 | 1954 이응준 육군중장 | 1954 이준식 육군중장 | 1954 장도영 육군중장 |
1954 최석 육군중장 | 1954 최창언 육군중장 | 1954 박옥규 해군중장 | 1954 김석범 해병중장 | 1955 김창룡 육군소장 |
1955 정긍모 해군중장 |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 1960 미군무명용사 -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 1961 국군무명용사 - |
1964 박정희 대통령 | 1966 이종세 육군상사 | 1966 강재구 육군소령 | 1966 이인호 해병소령 | 1967 송서규 육군대령 |
1967 채명신 육군중장 | 1967 지덕칠 해군중사 | 1967 정경진 해병대위 | 1967 신원배 해병소위 | 1968 최규식 경무관 |
1968 이익수 육군준장 | 1968 최범섭 육군중령 | 1970 이세호 육군중장 | 1972 이무표 육군대위 | 1972 임동춘 육군대위 |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 1980 육군대장 | 2002 장철부 육군중령 |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 2011 조달진 육군소위 |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colbgcolor=#000><colcolor=#fff> 김한준 金漢俊 | |
출생 | 1929년 2월 8일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완주군 | |
사망 | 2012년 4월 29일 |
군사 경력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1947년 ~ 1956년 | |
최종 계급 | 대위 |
참전 | 여순사건 6.25 전쟁 |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425고지 전투에서 현장 지휘관으로서 박격포를 활용한 육박전으로 1개 대대를 섬멸하여 국군의 마지막 승리를 이끌었다.2. 생애
1929년 2월 8일 전북 완주에서 태어났다. 열 아홉살인 1947년 4월 국방경비대에서 지원하여 입대하였고, 200명의 입대 동기생 중 일등병에서 하사로 진급하는 12명에 선발되었다. 그 후 여순사건의 진압에 참전하였으며, 6.25 전쟁 당시에는 7사단 8연대의 소속으로 평양입성 및 압록강을 향한 국군의 북진에 참전하며 풍부한 현장전투와 지휘 경험을 쌓았고, 개천-비호산 전투에서 능력을 인정받아 1950년 11월 15일 육군 소위로서 현지에서 임관되었으며 이후 3년간 전쟁의 전 기간 동안 7사단 8연대 휘하의 소대장과 중대장으로서 최전선에서 참전했다.1953년 7월 13일 중공군은 정전협정이 막바지, 5개 군 15개 사단을 국군 제2군단 전면에 배치하는 7·13 대공세를 시작했으며, 김한준 대위와 1중대가 사수를 명받은 화천 북방의 425고지는 금성천 방어선의 핵심인 별우지구의 서쪽 방어와 동시에 제8연대 방어선의 핵심인인 602고지의 동쪽 능선까지 맡고 있는 요충지였다.중공군은 1953년 7월 20일 07시 약 8,000발에 달하는 122mm포의 지원을 앞세워 1개 대대 병력으로 전방에 출현하였다. 적과 치열한 교전을 치른 김한준의 중대는 적에게 포위된 상태에서 탄약과 식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에서 포위망을 뚫고 탄약 등 보급로를 개척하기 위해 중대원 가운데 경험이 풍부한 7명을 선발한 임시특공대를 파견해 적의 공격 축선을 측방에서 공격하여 보급로를 개척하는데 성공하였다.
이후 2개 중대의 중공군이 다음날 0시 45분을 기해 제1대대 전면을 향해 재차 공격을 가해왔다. 김한준의 1중대는 소수의 인원으로 적의 기습적인 공격에 맞서 백병전을 감행하여 격퇴하였고, 425고지 전면의 적진에 아군의 지원초격이 시작되었다. 이후 김한준 대위는 직접 진두지휘하여 적과 거리를 30야드까지 밀접하게 하였고 각 소대장과 같은 위치에서 박격포를 활용해 전진 육박전을 전개하였다. 1시간 30분에 걸친 전투 끝에 후퇴하는 중공군을 섬멸하고 돌출고지를 06시에 완전히 탈환하였다. 제1대대는 사흘간의 격전을 통해 470명의 적군을 사살하고 21명을 생포하였으며, 60mm 박격포 7문, 체코식 기관총 22정, 3.5인치 로켓포 4문 등의 무기를 획득하는 전과를 올렸다.
김한준 대위가 이끈 425고지 전투의 승리는 금성천 방어선을 안정적으로 유지했을뿐 아니라 사단의 주보급로를 확보해 당시 대한민국의 중요한 전력공급원이던 화천댐을 사수 할 수 있었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425고지 전투의 공훈으로 김한준 대위는 1953년 10월 13일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태극무공훈장을 수여받았고, 1956년 5월 30일 전역하였다.
이후 2012년 4월 29일 향년 83세로 별세하였으며, 장례는 육군장으로 엄수되었고#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