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 1951 김용식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김용배 육군준장 |
1951 박노규 육군준장 | 1951 김백일 육군중장 | 1951 김홍일 육군중장 | 1951 함준호 육군중장 |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
1951 최용남 해병소장 | 1951 김성은 해병중장 |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 1952 이형근 육군대장 | 1951 권동찬 육군준장 |
1952 김종오 육군중장 |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 1953 장덕창 공군중장 | 1953 최용덕 공군중장 |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
1953 김교수 육군대위 | 1953 김한준 육군대위 | 1953 김용배 육군대장 | 1953 민기식 육군대장 | 1953 임충식 육군대장 |
1953 한신 육군대장 | 1953 김점곤 육군소장 | 1953 이성가 육군소장 | 1953 이용문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 1953 김동빈 육군중장 | 1953 김종갑 육군중장 | 1953 백인엽 육군중장 |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
1953 유재흥 육군중장 | 1953 최영희 육군중장 | 1953 함병선 육군중장 | 1953 최치환 총경 | 1954 김만술 육군대위 |
1954 허봉익 육군대위 | 1954 김경진 육군소령 | 1954 김웅수 육군소장 | 1954 송석하 육군소장 | 1954 엄홍섭 육군소장 |
1954 임선하 육군소장 |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 1954 김옥상 육군일병 | 1954 조재미 육군준장 |
1954 안낙규 육군중사 | 1954 박병권 육군중장 | 1954 이응준 육군중장 | 1954 이준식 육군중장 | 1954 장도영 육군중장 |
1954 최석 육군중장 | 1954 최창언 육군중장 | 1954 박옥규 해군중장 | 1954 김석범 해병중장 | 1955 김창룡 육군소장 |
1955 정긍모 해군중장 |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 1960 미군무명용사 -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 1961 국군무명용사 - |
1964 박정희 대통령 | 1966 이종세 육군상사 | 1966 강재구 육군소령 | 1966 이인호 해병소령 | 1967 송서규 육군대령 |
1967 채명신 육군중장 | 1967 지덕칠 해군중사 | 1967 정경진 해병대위 | 1967 신원배 해병소위 | 1968 최규식 경무관 |
1968 이익수 육군준장 | 1968 최범섭 육군중령 | 1970 이세호 육군중장 | 1972 이무표 육군대위 | 1972 임동춘 육군대위 |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 1980 육군대장 | 2002 장철부 육군중령 |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 2011 조달진 육군소위 |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colbgcolor=#000><colcolor=#fff> 이인호 李仁浩 | |
출생 | 1931년 7월 2일 |
경상북도 청도군 대성면 고수동 (現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 | |
사망 | 1966년 8월 11일 (향년 35세) |
남베트남 투이호아 인근 | |
학력 | 대륜고등학교 (졸업) 해군사관학교 (문학 / 학사) 미주리 군사 아카데미 |
임관 | 해군사관학교 (11기) |
복무 | 대한민국 해병대 |
1957년 ~ 1966년 | |
최종 계급 | 소령[1] (대한민국 해병대) |
가족 | 동생: 이정호 부인: 이경자 슬하 1남 1녀 장녀:이선민, 막내아들: 이제욱[2]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2. 생애
1931년 10월 28일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에서 태어났다. 경상북도 월성군에서 유년기를 보냈고 1935년부터 대구부에서 성장했다. 대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남산국민학교, 경주국민학교에서 기간제 교사로 지내다가 1953년 해군사관학교 11기 해병학반에 입교해 1957년 문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해병 소위로 임관했다.1959년 2월 중위로 진급했고 여러 부대를 거쳐 1961년 3월 당시에 대위로 진급하였으며, 1964년 제1해병사단 수색중대장으로 근무했다. 이해 육군 공수특전단에서 공수기본 위탁교육을 수료했다.
베트남 전쟁 당시 청룡부대 3대대 5중대장으로 파병되었다. 해병대 청룡부대에서 3대대 정보참모장교로 보직이 변경되었고 남베트남내 투이호아 지역에서 베트콩을 토벌하는 작전인 해풍 작전당시 1개분대를 이끌괴 동굴 수색을 실시해 적 보급품을 노획했으나 첩보 내용과 차이가 있어 새벽 2시 20분경 1개 소대로 동굴 재탐색 중 베트콩이 아군의 중대원을 향해 수류탄을 던졌고 하나는 집어서 다시 되던졌으나 또 다른 수류탄이 떨어지자 “모두 엎드려!” 라 외치고 스스로 몸을 던져 수류탄을 덮쳐 산화하였다.
사후 태극무공훈장, 미 은성훈장이 수여되었고 소령으로 추서되었다. 유해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3. 여담
- 2013년 8월 이달의 호국인물로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