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 1951 김용식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김용배 육군준장 |
1951 박노규 육군준장 | 1951 김백일 육군중장 | 1951 김홍일 육군중장 | 1951 함준호 육군중장 |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
1951 최용남 해병소장 | 1951 김성은 해병중장 |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 1952 이형근 육군대장 | 1951 권동찬 육군준장 |
1952 김종오 육군중장 |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 1953 장덕창 공군중장 | 1953 최용덕 공군중장 |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
1953 김교수 육군대위 | 1953 김한준 육군대위 | 1953 김용배 육군대장 | 1953 민기식 육군대장 | 1953 임충식 육군대장 |
1953 한신 육군대장 | 1953 김점곤 육군소장 | 1953 이성가 육군소장 | 1953 이용문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 1953 김동빈 육군중장 | 1953 김종갑 육군중장 | 1953 백인엽 육군중장 |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
1953 유재흥 육군중장 | 1953 최영희 육군중장 | 1953 함병선 육군중장 | 1953 최치환 총경 | 1954 김만술 육군대위 |
1954 허봉익 육군대위 | 1954 김경진 육군소령 | 1954 김웅수 육군소장 | 1954 송석하 육군소장 | 1954 엄홍섭 육군소장 |
1954 임선하 육군소장 |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 1954 김옥상 육군일병 | 1954 조재미 육군준장 |
1954 안낙규 육군중사 | 1954 박병권 육군중장 | 1954 이응준 육군중장 | 1954 이준식 육군중장 | 1954 장도영 육군중장 |
1954 최석 육군중장 | 1954 최창언 육군중장 | 1954 박옥규 해군중장 | 1954 김석범 해병중장 | 1955 김창룡 육군소장 |
1955 정긍모 해군중장 |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 1960 미군무명용사 -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 1961 국군무명용사 - |
1964 박정희 대통령 | 1966 이종세 육군상사 | 1966 강재구 육군소령 | 1966 이인호 해병소령 | 1967 송서규 육군대령 |
1967 채명신 육군중장 | 1967 지덕칠 해군중사 | 1967 정경진 해병대위 | 1967 신원배 해병소위 | 1968 최규식 경무관 |
1968 이익수 육군준장 | 1968 최범섭 육군중령 | 1970 이세호 육군중장 | 1972 이무표 육군대위 | 1972 임동춘 육군대위 |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 1980 육군대장 | 2002 장철부 육군중령 |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 2011 조달진 육군소위 |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colbgcolor=#000><colcolor=#fff> 김용배 金龍培 | |
출생 | 1921년 4월 17일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문경군 호서남면 흥덕리 | |
사망 | 1951년 7월 2일 (향년 30세) |
강원도 양구군 토평리 | |
학력 | 호서남보통학교 야마구치농업학교중퇴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5기 |
계급 | 준장[1] |
복무 기간 | 1938~1945(일본군) 1948~1951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이다.2. 생애
경상북도 문경군출신으로 호서남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야마구치농업학교에 입학했으나 가정형편으로 인해 졸업하지 못했다. 1938년 일본군 지원병으로 입대해 함경북도에 배치되었다. 3년 6개월을 복무하고 제대했으나 관동군으로 재입대했다.해방 후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5기로 입교해 소위로 임관했다. 1950년 6.25 전쟁당시 제6보병사단 7연대 1대대장으로 춘천-홍천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중령으로 진급했다. 이후 음성 전투에서 공을 세우며 지연전을 펼치고 문경, 점촌, 의성, 군위에서 전투를 치렀다. 인천 상륙작전 이후 북진하자 압록강 초산에 가장 먼저 진출했다. 이 공으로 화랑, 을지, 충무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
중공군이 개입하자 후퇴해 1.4 후퇴로 서울을 내줬다. 대령으로 진급해 제7보병사단 5연대장으로 임명되었다. 양구군 토평리, 군량리 인근에서 중공군과 고지쟁탈전 당시 지휘하다가 중공군의 대포에 직격해 전사했다.
사후 준장으로 특진했으며 태극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
3. 여담
- 동시기에 활동했던 동명이인이자 육군참모총장까지 오르는 김용배가 있다.
- 2001년 7월 이달의 호국인물로 선정되었다.
[1] 추서 계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