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20:50:20

윌리엄 스피크먼

파일:태극무공훈장 약장.png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태극무공훈장 부장.png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1951
김용식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김용배
육군준장
1951
박노규
육군준장
1951
김백일
육군중장
1951
김홍일
육군중장
1951
함준호
육군중장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1951
최용남
해병소장
1951
김성은
해병중장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1952
이형근
육군대장
1951
권동찬
육군준장
1952
김종오
육군중장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1953
장덕창
공군중장
1953
최용덕
공군중장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1953
김교수
육군대위
1953
김한준
육군대위
1953
김용배
육군대장
1953
민기식
육군대장
1953
임충식
육군대장
1953
한신
육군대장
1953
김점곤
육군소장
1953
이성가
육군소장
1953
이용문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1953
김동빈
육군중장
1953
김종갑
육군중장
1953
백인엽
육군중장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1953
유재흥
육군중장
1953
최영희
육군중장
1953
함병선
육군중장
1953
최치환
총경
1954
김만술
육군대위
1954
허봉익
육군대위
1954
김경진
육군소령
1954
김웅수
육군소장
1954
송석하
육군소장
1954
엄홍섭
육군소장
1954
임선하
육군소장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1954
김옥상
육군일병
1954
조재미
육군준장
1954
안낙규
육군중사
1954
박병권
육군중장
1954
이응준
육군중장
1954
이준식
육군중장
1954
장도영
육군중장
1954
최석
육군중장
1954
최창언
육군중장
1954
박옥규
해군중장
1954
김석범
해병중장
1955
김창룡
육군소장
1955
정긍모
해군중장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1960
미군무명용사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1961
국군무명용사
-
1964
박정희
대통령
1966
이종세
육군상사
1966
강재구
육군소령
1966
이인호
해병소령
1967
송서규
육군대령
1967
채명신
육군중장
1967
지덕칠
해군중사
1967
정경진
해병대위
1967
신원배
해병소위
1968
최규식
경무관
1968
이익수
육군준장
1968
최범섭
육군중령
1970
이세호
육군중장
1972
이무표
육군대위
1972
임동춘
육군대위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1980
전두환(취소)
육군대장
2002
장철부
육군중령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2011
조달진
육군소위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

<colbgcolor=#000038><colcolor=#fff> 윌리엄 스피크먼
William Speakman
VC
파일:1000141621.jpg
본명 윌리엄 스피크먼피트
William Speakman-Pitt
출생 1927년 9월 21일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그레이터맨체스터주 올트링엄
사망 2018년 6월 20일 (향년 90세)
영국 그레이터런던 첼시 왕립첼시군인병원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직업 군인
복무 영국군 (1945~1968)
병과 보병
최종 계급 병장
참전 6.25 전쟁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아덴 비상사태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영국의 군인.

2. 생애

1921년 그레이터맨체스터주 올트럼에서 태어났다. 웰링턴 로드 스쿨를 졸업했고 1945년 2차대전 말 육군에 입대했다. 왕립스코틀랜드국경연대 1대대대 즉 블랙워치부대원으로 배속되었다.

6.25 전쟁이 발발하자 한국으로 건너왔고 1951년 11월 4일 군사 요충지였던 경기도 연천의 마량산에서 중공군의 공세에 중대원 대부분이 부상을 입는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 당시 이병임에도 불구하고 리더십을 발휘했다. 온전한 전우 6명과 함께 수류탄 투척 후 백병전을 감행했다. 탄환이 떨어지면 주변의 돌, 전투식량의 캔까지 던지며 저항했다. 그 과정에서 어깨와 다리에 심한 부상을 입었으나 4시간 동안의 전투에서 중공군의 남하를 저지하고 중대 철수작전을 완수했다.

1952년 1월 부상 때문에 영국으로 후송되었지만, 3개월 뒤 자진해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그해 8월까지 전선에 있었다. 이후 전공을 인정받아 1952년 2월 최고무공훈장인 빅토리아 십자훈장을 받았다.

이후 SAS와 함께 말레이시아 사태, 아덴사태에 투입되었고 공산주의자와 민족주의자들과 전투를 치렀다. 1968년 병장으로 제대했다. 제대후 금전적인 문제로 자신이 입었던 전투복을 팔았다. 2006년 6.25 전쟁 다큐드라마 빅토리아 십자훈장의 영웅들에 출연했다.

2015년 4월 21일 참전용사 자격으로 한국으로 입국해 빅토리아 십자훈장을 기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5년 7월 태극무공훈장을 수여하며 숭고한 희생정신에 감사를 표했다.

2018년 첼시에 있는 왕립군인병원에서 사망했으며 "군인은 언제나 자기가 싸웠던 장소를 생각하게 마련이다. 죽으면 재가 돼 이곳에 묻혀 영면하고 싶다"는 유언에 따라 유해를 ’19년 2월에 봉환식을 거쳐 부산 대연동에 있는 재한유엔기념공원에 안장했다.

3.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