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 1951 김용식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김용배 육군준장 |
1951 박노규 육군준장 | 1951 김백일 육군중장 | 1951 김홍일 육군중장 | 1951 함준호 육군중장 |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
1951 최용남 해병소장 | 1951 김성은 해병중장 |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 1952 이형근 육군대장 | 1951 권동찬 육군준장 |
1952 김종오 육군중장 |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 1953 장덕창 공군중장 | 1953 최용덕 공군중장 |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
1953 김교수 육군대위 | 1953 김한준 육군대위 | 1953 김용배 육군대장 | 1953 민기식 육군대장 | 1953 임충식 육군대장 |
1953 한신 육군대장 | 1953 김점곤 육군소장 | 1953 이성가 육군소장 | 1953 이용문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 1953 김동빈 육군중장 | 1953 김종갑 육군중장 | 1953 백인엽 육군중장 |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
1953 유재흥 육군중장 | 1953 최영희 육군중장 | 1953 함병선 육군중장 | 1953 최치환 총경 | 1954 김만술 육군대위 |
1954 허봉익 육군대위 | 1954 김경진 육군소령 | 1954 김웅수 육군소장 | 1954 송석하 육군소장 | 1954 엄홍섭 육군소장 |
1954 임선하 육군소장 |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 1954 김옥상 육군일병 | 1954 조재미 육군준장 |
1954 안낙규 육군중사 | 1954 박병권 육군중장 | 1954 이응준 육군중장 | 1954 이준식 육군중장 | 1954 장도영 육군중장 |
1954 최석 육군중장 | 1954 최창언 육군중장 | 1954 박옥규 해군중장 | 1954 김석범 해병중장 | 1955 김창룡 육군소장 |
1955 정긍모 해군중장 |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 1960 미군무명용사 -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 1961 국군무명용사 - |
1964 박정희 대통령 | 1966 이종세 육군상사 | 1966 강재구 육군소령 | 1966 이인호 해병소령 | 1967 송서규 육군대령 |
1967 채명신 육군중장 | 1967 지덕칠 해군중사 | 1967 정경진 해병대위 | 1967 신원배 해병소위 | 1968 최규식 경무관 |
1968 이익수 육군준장 | 1968 최범섭 육군중령 | 1970 이세호 육군중장 | 1972 이무표 육군대위 | 1972 임동춘 육군대위 |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 1980 육군대장 | 2002 장철부 육군중령 |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 2011 조달진 육군소위 |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찰스 브래드퍼드 스미스 Charles Bradford Smith | |
출생 | 1916년 5월 7일 |
미국 뉴저지주 램버트빌 | |
사망 | 2004년 5월 27일 (향년 88세) |
미국 애리조나주 스코츠데일 | |
복무 | 미합중국 육군 |
최종 계급 | 미국 육군 준장 |
복무 기간 | 1939~1965 |
학력 | 미국육군사관학교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군인.2. 생애
1916년 5월 7일 미국 뉴저지주 렘버트빌에서 출생했다. 1939년 뉴욕의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해 하와이의 오아후 지역 미국 제25보병사단 제35연대 스코필드 배럭스에 배치되어 첫 근무를 시작했고, 35연대의 한 중대를 지휘했다.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진주만 공습 당시 일본군이 진주만과 오아후의 다른 섬을 공격하자 스미스는 본부의 부대와 함께 섬의 수비 위치로 가서 방어하였으며 또한 바다에 빠진 조종사를 구출한 공로로 훈장을 수상했다.1942년 말, 제25보병사단 소속으로 과달카날 전역에서 일본군과 싸웠다. 1944년에 미국으로 돌아와 캔자스주의 포트 리븐워스지휘부에 근무하며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에 다녔다. 그리고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서 교관으로 근무하고, 그 후 워싱턴 DC에 있는 국방부에 배치되어 3년 반 동안 근무했다. 1949년 일본 구마모토에 있는 제24보병사단 21보병연대 1대대장에 부임했다.
1950년 6월 30일 한반도에 미국 지상군 투입이 결정되자, 특수임무부대장으로 임명되어 1대대의 B중대와 C중대를 중심으로 406명으로 편성된 부대를 이끌고 이다츠게 비행장을 출발해 7월 1일 08시 45분 부산에 도착하였으며, 이날 20시에 기차로 부산에서 출발하여 7월 2일 08시에 대전에 도착한 후, 그날 밤 경기도 오산 북방 죽미령을 점령하고 진지공사를 실시해 대대지휘소를 평택에 설치하였다.
7월 4일 사단포병 제52포병대대장 밀러 O. 페리중령이 A포대를 인솔해 와 합류함으로써 보병과 포병을 통합한 하나의 특수임무부대가 되었다.
7시 비가오는 날씨속에서 수원방향에 T-34 35대, 북한군 4사단을 확인하고 적절한 포격요청과 사격통제를 바탕으로 북한군에게 화력을 퍼부었으나 선두에 있는 2대만 피해입고 후속 전차들은 계속 전진했고 피해가 커졌다. 설상가상으로 탄약마저 떨어지자 퇴각을 결정했다. C중대만 성공적으로 퇴각하고 B중대는 철수명령을 듣지 못했고 B중대의 대부분의 인원들은 전사했다.
이후 포병대와 합류했지만 오산은 점령당했고 안성을 거쳐 천안으로 퇴각했다. 비록 패배했지만 적은 병력과 부족한 장비에도 용감히 싸운 공로로 수훈십자장을 수여받았다. 이후 계속 제24보병사단 제21보병연대 1대대장으로 활동한 스미스는 1950년 10월 17일 황해도 해주에서 전공을 세워 은성훈장을 받았다. 1950년 11월 1일 신의주 남쪽 30km 지점까지 북진했다가 중공군의 기습적인 개입으로 후퇴한 뒤 11월 10일 전출 명령을 받고 미국으로 돌아갔다.
버지니아주의 포트 먼로, 포트 맥아더, 캘리포니아주 그리고 펜실베이니아주의 칼라일에 있는 육군 대학과 부대에서 근무했다.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3년 동안 나토 남부 사령부에서 근무했다.
그 후 조지아주의 포트 베닝에서 제3보병사단 제15보병연대를 지휘했다. 독일 뷔르츠부르크에 부임했고 3년간 선임 참모를 지냈다. 버지니아주 노퍽에 있는 육군 해군 대학의 조교로 근무했다.
그 후 메릴랜드주 포트 미드에서 제2군 참모장이 되었다. 준장으로 진급해 콜로라도주 포트 카슨에서 제5사단 부사단장으로 근무했다. 1965년에 준장으로 퇴역했다.
퇴역 후 2번 내한해 추도식에 참가했으며 1975년 태극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 애리조나주 스코츠데일에 거주하며 모토로라에서 이사로 근무하기도 했다. 2004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