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9 23:40:15

송서규

파일:태극무공훈장 약장.png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태극무공훈장 부장.png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1951
김용식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김용배
육군준장
1951
박노규
육군준장
1951
김백일
육군중장
1951
김홍일
육군중장
1951
함준호
육군중장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1951
최용남
해병소장
1951
김성은
해병중장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1952
이형근
육군대장
1951
권동찬
육군준장
1952
김종오
육군중장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1953
장덕창
공군중장
1953
최용덕
공군중장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1953
김교수
육군대위
1953
김한준
육군대위
1953
김용배
육군대장
1953
민기식
육군대장
1953
임충식
육군대장
1953
한신
육군대장
1953
김점곤
육군소장
1953
이성가
육군소장
1953
이용문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1953
김동빈
육군중장
1953
김종갑
육군중장
1953
백인엽
육군중장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1953
유재흥
육군중장
1953
최영희
육군중장
1953
함병선
육군중장
1953
최치환
총경
1954
김만술
육군대위
1954
허봉익
육군대위
1954
김경진
육군소령
1954
김웅수
육군소장
1954
송석하
육군소장
1954
엄홍섭
육군소장
1954
임선하
육군소장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1954
김옥상
육군일병
1954
조재미
육군준장
1954
안낙규
육군중사
1954
박병권
육군중장
1954
이응준
육군중장
1954
이준식
육군중장
1954
장도영
육군중장
1954
최석
육군중장
1954
최창언
육군중장
1954
박옥규
해군중장
1954
김석범
해병중장
1955
김창룡
육군소장
1955
정긍모
해군중장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1960
미군무명용사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1961
국군무명용사
-
1964
박정희
대통령
1966
이종세
육군상사
1966
강재구
육군소령
1966
이인호
해병소령
1967
송서규
육군대령
1967
채명신
육군중장
1967
지덕칠
해군중사
1967
정경진
해병대위
1967
신원배
해병소위
1968
최규식
경무관
1968
이익수
육군준장
1968
최범섭
육군중령
1970
이세호
육군중장
1972
이무표
육군대위
1972
임동춘
육군대위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1980
전두환(취소)
육군대장
2002
장철부
육군중령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2011
조달진
육군소위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

<colbgcolor=#000><colcolor=#fff> 송서규
宋瑞奎
파일:1000124102.jpg
출생 1933년 5월 11일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제주군 서귀포면
사망 1967년 11월 6일 (향년 34세)
남베트남 닌호아 닌다마을
학력 제주고등농림학교
단국대학교정치외교학과
계급 중령[1]
복무 기간 1952~1967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2. 생애

1931년 10월 28일 전라남도 제주군 서귀포면에서 태어났다. 제주군 대정면, 제주읍에서 유년기를 보냈다.제주고등농림학교를 졸업하고 얼마 안가 6.25 전쟁이 발발하자 육군 갑종 간부 제7기로 육군 소위 임관한 뒤 참전하였고, 육군본부 직할 특수부대인 9172부대 소속으로 강원도 화천 금성지구에서 작전장교, 중대장으로 전투에 참가하여 많은 공을 세웠다.

휴전 후 미 육군 특수전학교에서 특수전교육을 수료하고 심리전학교에서 심리전도 수료했다. 귀국 후 제20보병사단, 제1공수특전단, 육본에서 복무했고 1961년 국가재건최고회의 혁명검찰부에 파견근무를 하고 대한민국 육군포병학교 고등군사반에 입교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 후 다시 대한민국 육군기갑학교 고등군사반을 거쳐 육군정훈학교 고등군사반에도 입교하여 모두 수석으로 졸업했다. 1965년엔 국방대학교도 졸업했다.

이후 다시 1특전단에서 지역대장으로 복무하다가 베트남 전쟁에 파견되어 중령으로 진급해 제9보병사단 제29연대 2대대장으로 임명되었다. 1967년 11월 6일 귀국을 2일 남겨놓고 닌호아에서 2개 대대 규모의 베트콩이 제9사단사령부 남쪽 2㎞ 지역에 위치한 닌호아 시가지를 점령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를 소탕하기 위하여 투입되었다.[2]

닌다마을에서 제6중대가 적과의 교전 중 중대장이 부상하고 소대장이 전사하자 헬리콥터에서 지상으로 직접 랜딩한 후 제6중대를 직접 진두 지휘하며 전투를 벌이다가 농가에서 숨어 사격하던 베트콩을 발견해 2명을 유탄발사기로 사살하였으나 잔적인 저격병의 총탄에 가슴을 맞고 전사하였다.

사후 태극무공훈장이 추서되었으며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3. 여담



[1] 사후 대령 추서[2] 닌호아 2호작전이라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