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가행정기관에 대한 내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서
, 1948년부터 1994년까지 존속한 대한민국의 국가행정기관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체신부 문서
, 1994년부터 2008년까지 존속한 대한민국의 국가행정기관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정보통신부 문서
참고하십시오.기능별 국가행정조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가나다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건설부 | 공안부 | 과학부 | 교육부 | 교통부 | ||||
국방부 | 내무부 | 노동부 | 농업부 | 문화부 | |||||
법무부 | 보건부 | 복지부 | 상공부 | 수산부 | |||||
여성부 | 외무부 | 이민부 | 자원부 | 재무부 | |||||
체신부 | 환경부 | 식민지부 | }}}}}}}}} |
1. 개요
遞信部 / Ministry of Communication[1]체신부[2]는 우편·전화·전신·인터넷 등 정보·통신 전반을 담당하는 국가행정조직이다.
기원은 우편과 전보를 담당하던 행정기관이다. 우편이 주된 통신 수단이었던 시절에는 별로 힘이 없던 조직이었으나 현재는 여러가지 전기 통신 수단들의 발달로 정부부처 중에서 노른자위 부처가 되기도 한다. 1970년대, 한국의 체신부는 다른 나라 정부 조직에서 체신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장관급 부처가 많지 않아 해외에서는 인정받는 행정기관이기도 했다. 하지만 과거에도 체신장관이 정보통신 전반을 담당하던 국가도 없지는 않았는데 당장 미국도 1971년까지 체신부장관이 있었고, 최초로 전파법을 제정하고 전파통신을 담당할 행정기관인 연방 라디오위원회(현 FCC)를 설치한 국가이기도 하다. 일제시대에는 일본의 체신성[3]이 한국에 통신시설을 설비하기도 했다. 과거 프랑스나 네덜란드 등에서 사용했던 PTT(Post, Telephone & Telegraph)[4]란 명칭도 각각 체신성과 우정성으로 번역되곤 했다.
2. 업무
3. 국가별 체신부
- 대한민국 방송통신위원회[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미국 미국우정공사, 연방통신위원회
- 북한 정보산업성[9]
- 일본 총무성
- 일본 제국 체신성
- 중화인민공화국 공업정보화부
- 대만 수위발전부
- 태국 정보기술통신부
- 영국 통신국 (OFCOM)
- 베트남 정보통신부[10]
- 프랑스 문화통신부
- 러시아 디지털 개발, 통신, 대중 매체부
- 아일랜드 정보통신부
[1] 우정부인 경우는 Ministry of Postal Service를 쓰는 경우가 많고, 체신부 또는 정보통신부는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등도 쓰인다.[2] 또는 정보통신부(情報通信部), 우정부(郵政部)[3] 일본 체신성은 통신업뿐만 아니라 간이보험, 철도, 운수, 교통, 전기 등도 관할하기도 했다.[4] 사실 직역하면 전신전화우정부정도가 된다.[5] 과거 공기업이었던 KT를 생각하면 된다.[6] 방송 관련 업무는 문화부 소관인 경우도 많다.[7] 이 업무들은 내무부 소관인 경우도 많다. 혹은 국군지휘통신사령부처럼 군사 통신망은 운영하는 군부대의 지원을 받기도 한다.[8] 이름은 방송통신위원회지만 실제 업무는 오히려 문화부에 가깝다.[9] 2021년에 체신성에서 정보산업성으로 명칭변경[10] 실제로 한국의 정보통신부를 벤치마킹해서 만든 조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