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08:58:07

김구(드라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실존 인물 해당에 대한 내용은 김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5px -1px -11px"
1981
[[대명(드라마)|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흑).png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png
대명
]]
1982
[[풍운(KBS)|파일:풍운 로고(흑).png파일:풍운 로고.png
풍운
]]
1983
[[개국(드라마)|파일:개국 로고.png
개국
]]
1984
[[독립문(드라마)|파일:독립문 로고(흑).png파일:독립문 로고.png
독립문
]]
1985
[[새벽(드라마)|파일:새벽 로고(흑).png파일:새벽 로고.png
새벽
]]
1986~1987
[[노다지(드라마)|파일:노다지 로고(흑).png파일:노다지 로고.png
노다지
]]
1987
[[이화(드라마)|파일:이화 로고(흑).png파일:이화 로고.png
이화
]]
1987~1989
[[토지(1987년 드라마)|파일:토지 로고(흑).png파일:토지 로고.png
토지
]]
1989~1990
[[역사는 흐른다|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흑).png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png
역사는 흐른다
]]
1990
[[여명의 그날|파일:여명의 그날 로고.png
여명의 그날
]]
1991
[[왕도(드라마)|파일:왕도 로고(흑).png파일:왕도 로고.png
왕도
]]
1991~1992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흑).png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png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
1992~1993
[[삼국기|파일:삼국기 로고.png
삼국기
]]
1993~1994
[[먼동|파일:먼동 로고.png
먼동
]]
1995
[[김구(드라마)|파일:김구 로고.png
김구
]]
1995~1996
[[찬란한 여명|파일:찬란한 여명 로고.png
찬란한 여명
]]
1996~1998
[[용의 눈물|파일:용의 눈물 로고 신.png
용의 눈물
]]
1998~2000
[[왕과 비|파일:왕과 비 로고.png
왕과 비
]]
2000~2002
[[태조 왕건|파일:태조 왕건 로고.png
태조 왕건
]]
2002~2003
[[제국의 아침|파일:제국의 아침 로고.png
제국의 아침
]]
2003~2004
[[무인시대|파일:무인시대 로고.png
무인시대
]]
2004~2005
[[불멸의 이순신|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흑).png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png
불멸의 이순신
]]
2006
[[서울 1945|파일:서울 1945 로고(흑).png파일:서울 1945 로고.png
서울 1945
]]
2006~2007
[[대조영(드라마)|파일:대조영 로고.png
대조영
]]
2008
[[대왕 세종|파일:대왕 세종 로고.png
대왕 세종
]]
2009
[[천추태후(드라마)|파일:천추태후 로고.png
천추태후
]]
2010~2011
[[근초고왕(드라마)|파일:근초고왕 로고.png
근초고왕
]]
2011~2012
[[광개토태왕(드라마)|파일:광개토태왕 로고(흑).png파일:광개토태왕 로고.png
광개토태왕
]]
2012~2013
[[대왕의 꿈|파일:대왕의 꿈 로고.png
대왕의 꿈
]]
2014
[[정도전(드라마)|파일:정도전 로고(흑).png파일:정도전 로고.png
정도전
]]
2015
[[징비록(드라마)|파일:징비록 로고.png
징비록
]]
2016
[[장영실(드라마)|파일:장영실 로고(흑).png파일:장영실 로고.png
장영실
]]
2021~2022
[[태종 이방원(드라마)|파일:태종 이방원 로고(B).png파일:태종 이방원 로고.png
태종 이방원
]]
2023~2024
[[고려 거란 전쟁|파일:고려거란전쟁 로고 블랙.png파일:고려 거란 전쟁 로고 화이트.svg
고려 거란 전쟁
]]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
KBS 1TV 광복 50주년 기획드라마
김구 (1995)
金九 / Kim Gu
파일:김구 오프닝 FHD 리마스터축소.png
<colbgcolor=#43453d><colcolor=white>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방송 시간 토요일 / 21:30
방송 기간 1995년 8월 5일 ~ 1995년 9월 24일
방송 횟수 16부작
장르 대하사극
제작 KBS 자체제작
채널 KBS 1TV
제작진 <colbgcolor=#43453d><colcolor=white> 책임프로듀서 윤흥식
연출 김충길
조연출 이명신, 배경수
극본 이봉원, 정경아
기술
총감독
최창근
기술
감독
허창길
조명
감독
이석찬
야외
촬영
우성주, 정연두
편집
감독
이석정
미술
감독
지덕창(KBS아트비전)
음악 임효택
고증 김모암
출연 김상중, 조상건, 심양홍, 임동진, 박규채, 정원중, 이정웅, 이계인, 이창환, 이종만, 정욱
해설 김도현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wavve 아이콘.svg
1. 개요2. 등장인물
2.1. 백범 일가2.2. 동학군2.3. 안태훈 일가2.4. 주변인/측근들2.5. 치하포 사건2.6. 인천감옥2.7. 마곡사2.8. 대한민국 임시정부2.9. 독립군2.10. 의열단2.11. 김가진 일가2.12. 한인애국단 관련자2.13. 일본 제국2.14. 대한민국 제1공화국2.15. 암살사건 당시 관계자들2.16. 안두희 일가2.17. 진상규명운동 인사들2.18. 그 외
3. 여담

[clearfix]

1. 개요


1995년 8월 5일부터 1995년 9월 24일까지 방영된 15번째 KBS 대하드라마. 총 16부작이며 대하드라마 사상 최초로 밤 9시 50분에 방영된 작품이다. 다만 방영 당시 타이틀에서 보듯 '대하드라마'가 아니기에 KBS 대하드라마 계보에서 빠지기도 하는데, 2009~2010년까지 방영된 K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와 같은 맥락이다.

제작 당시 가제는 <그날이 오면>이었는데, 해당 제목은 주제가의 제목으로 쓰였다. 독립운동가 정정화의 자서전 <녹두꽃>과 <백범일지>를 바탕으로 했으며 극본은 이봉원과 정경아, 연출은 김충길 PD이며 타이틀 제작을 서울디지탈에 맡겼고, 로고는 이일구가 맡았다.

줄거리 구성에서 1회를 빼고 2~8회까지는 '청년 김구'의 성장 과정을 다뤘는데, 고향 해주에서 인천, 공주, 평양 등을 떠돌며 극을 진행했다. 9회 인천감옥 가출옥 때부터 백범 역을 연극배우 조상건으로 바꾸며 중국 상하이, 충칭 등지에서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해방정국 당시 정치활동, 남북협상, 암살 등의 인생 마지막 반을 다루고 최종화에서 백범 암살 진상규명 활동을 다루는 것으로 끝이 난다. 여타 광복 특집극과 달리 철저한 고증과 잘 짜인 연출, 걸출한 연기력으로 높은 완성도를 자랑했다.(#) 또한 캐스팅 면에서 이미지가 고착화된 유명 배우들보다 연극배우 및 무명 배우들을 적극 등용했고, 심양홍과 임동진, 박규채, 신혜수 등 일부 유명 배우들도 투입했다.

2. 등장인물

2.1. 백범 일가

2.2. 동학군

2.3. 안태훈 일가

2.4. 주변인/측근들

2.5. 치하포 사건

2.6. 인천감옥

2.7. 마곡사

2.8. 대한민국 임시정부

2.9. 독립군

2.10. 의열단

2.11. 김가진 일가

2.12. 한인애국단 관련자

2.13. 일본 제국

2.14. 대한민국 제1공화국

2.15. 암살사건 당시 관계자들

2.16. 안두희 일가

2.17. 진상규명운동 인사들

2.18. 그 외

3. 여담



[1] 기획 당시 배우 이종원이 물망에 올랐으나, 사극인 데다 연기력 부족을 이유로 출연을 고사했다.[2] 크레딧상 '조재현'으로 오기됨.[3] SBS 드라마 <야인시대>에서 정팔 역을 맡던 배우와 동명이인.[4] 태조 왕건에서 깐족대다가 처형당하는 수문장과 유폐된 견훤의 처소를 지키다가 탈출 계획에 낚인걸 알게 되고 뒤늦게 파달에게 보고하는 병졸 역으로 나왔다.[5] 백범 암살 진상규명 위원회 위원장 역도 연기함.[6] 1998년 그룹명 변경에 따라 'SK창고'로 바꾼 후 SK상사에 합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