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fff> 문화방송 탤런트 | |
1기 (1969) | <colbgcolor=#ffffff,#1c1d1f>김애경 · 박광남† · 박상조 · 박은수 · 서권순 · 이도련† · 임문수† · 임현식 · 조경환† | |
2기 (1970) | 권귀옥 · 김자옥† · 박경현† · 박원숙 · 양정화 · 최은숙 · 한혜숙 | |
3기 (1970) | 국정환† · 김수미† · 김영애† · 박영태 · 손창호† · 안옥희† · 염복순 · 허진 | |
4기 (1971) | 김정 · 김호영 · 나영진† · 박영지 · 신국† · 홍민우 | |
5기 (1972) | 강인덕 · 고두심 · 김동주 · 김정하 · 남영진† · 문회원 · 박정수 · 박종관 · 윤석오† · 이계인 · 정대홍 · 한인수 · 현석 | |
6기 (1973) | 김성찬† · 김주영 · 박윤배† · 백인철 · 송경철 · 오미연 · 유인촌 · 이금복† · 임채무 · 정소녀 · 정태섭† · 홍순창 | |
7기 (1975) | 김동현 · 김해숙 · 노영국† · 송기윤 · 박상규 · 이경진 · 임정하† · 진유영 | |
8기 (1976) | 김보연 · 박병훈 · 이숙 · 이창환 · 전인택 · 한미영 | |
9기 (1977) | 권은아 · 길용우 · 김홍석† · 신신애 · 이원용 · 정한헌 | |
10기 (1978) | 김용선 · 윤순홍 · 이미영 · 이혜숙 · 홍성애 | |
11기 (1979) | 오미희 · 이미지† · 이보희 · 이상숙 · 한영수 | |
12기 (1980) | 김화란† · 나영희 · 송옥숙 · 임영규 · 정선일 | |
13기 (1981) | 김성일 · 박순천 · 최명길 | |
14기 (1981) | 김청 · 김혜정 · 이휘향 · 홍진희 | |
15기 (1982) | 맹상훈 · 박찬환 · 서갑숙 · 신복숙 · 안명숙 · 이동신 · 이상미 · 이영범 · 이원재 · 정성모 · | |
16기 (1983) | 김주승† · 문용민 · 최항석 · 한애경 · 황신혜 | |
17기 (1984) | 견미리 · 김도연 · 노경주 · 윤철형 · 이정훈 · 정호근 · 천호진 · 최재호 · 허윤정 | |
18기 (1986) | 강문영 · 김영석 · 김응석 · 박상원 · 박순애 · 신혜수 · 윤예희 · 이경아 · 이재룡 · 이재훈† · 정명환 · 채유미 | |
19기 (1989) | 김나운 · 김명수 · 김미영 · 김은수 · 김은정 · 김종아 · 김찬우 · 김화영 · 박세준 · 박선영 · 박지영 · 박형준 · 배영옥 · 변소정 · 송경희 · 신윤정 · 양동재 · 오연수 · 유식 · 음정희 · 이명희 · 이진우 · 이창훈 · 임대호 · 임채원 · 장서희 · 정은수 | |
20기 (1991) | 강이은 · 감우성 · 곽진영 · 김소이 · 김현숙 · 박철 · 안신우 · 정경희 · 차광수 · 한석규 | |
21기 (1992) | 김원희 · 박선영 · 박주미 · 안승미 · 윤동환 · 장동건 · 조현숙 · 최범호 | |
22기 (1993) | 김현석 · 손보영 · 심은하 · 왕희지 · 양정아 · 이시은 · 전유진 · | |
23기 (1994) | 손건우 · 안재욱 · 유태웅 · 윤용현 · 이민영 · 이아현 · 이은영 · 이현경 · 최선미 · 최영재 · 최지우 · 황상희 | |
24기 (1995) | 나경미 · 박용우 · 오세정 · 이성재 · 이종수 · 장성원 · 정재곤 · 정준호 · 조미령 · 최지나 | |
25기 (1996) | 강성연 · 구혜진 · 김세아 · 김정은 · 서유정 · 안재환† · 유서진 | |
26기 (1997) | 강지오 · 권연우 · 김승수 · 김옥주 · 박형선 · 손소영 · 정기성 · 홍충민 | |
27기 (1998) | 김용희 · 박솔미 · 박정은 · 박주희 · 송일국 · 이승아 · 허성수 · 홍은희 | |
28기 (1999) | 고정민 · 김철기 · 이세은 · 정소영 | |
29기 (2000) | 박도유 · 박현정 · 손민경 · 손유경 · 인교진 | |
30기 (2001) | 강보라 · 신동미 · 이상이 · 전익령 · 진태현 · 최자혜 | |
31기 (2003) | 김남길 · 김효서 · 이제인 · 장남경 · 전수지 |
※ 특채 탤런트는 제외
※ 나무위키 등재 인물만 기입}}}}}}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62a59> | MBC 성우극회 소속 성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rowcolor=#fff> 기수 및 연도 | 성우 | |
<colbgcolor=#262a59> 제1기 (1961) | <colbgcolor=#ffffff,#191919> 남 | ||
여 | |||
제2기 (1965) | 남 | ||
여 | |||
제3기 (1968) | 남 | ||
여 | 김은영, 박소현, 안정현, | ||
제4기 (1970) | 남 | ||
여 | |||
제5기 (1972) | 남 | 김용식, 김태훈, 박태호, 전국근, | |
여 | 강미, 이명숙, 전임복, 홍승옥, | ||
제6기 (1974) | 남 | 김명수, | |
여 | 김성란, | ||
제7기 (1976) | 남 | 권혁수, | |
여 | 기경옥, 김순선, 김윤정, | ||
제8기 (1982) | 남 | 곽대홍, | |
여 | |||
제9기 (1983) | 남 | 김관철, 박영화, 이우신, 이윤연, 이종혁, 황윤걸 | |
여 | |||
제10기 (1985) | 남 | 김강산, 김동현, 김영훈, 손원일, | |
여 | 정미연, 황미영, | ||
제11기 (1993) | 남 | ||
여 | 배주영, 우정신, | ||
제12기 (1994) | 남 | ||
여 | 강수진, 유은숙, 이영란, 임유진 | ||
제13기 (1996) | 남 | 김영선, | |
여 | 박소라, 엄현정, 윤성혜, 정남 | ||
제14기 (1997) | 남 | 김기철, 김민성, 김용준, 송준석, 이상범 | |
여 | 김아영, 박선영, 오주연, 최수진, 한수림 | ||
제15기 (1999. 11.) | 남 | 고성일, 노계현, 이상훈, 최한, 표영재 | |
여 | 김서영, 김지영, 배정민, 이자옥, 채의진 | ||
제16기 (2002) | 남 | 방성준, 이원찬, 정재헌 | |
여 | 문남숙, 박신희, 조현정 | ||
제17기 (2004) | 남 | 김두희, 류승곤, 양준건 | |
여 | |||
CM 1기 (1973) | 남 | 정명옥 | |
여 | |||
CM 2기 (1976) | 남 | ||
여 | 정숙경, | ||
CM 3기 (1979) | 남 | 권영운, 신현식 | |
여 | 김수희, 김춘방 | ||
CM 4기 (1983) | 남 | ||
여 | |||
CM 5기 (1984) | 남 | ||
여 | |||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KBS · PBC | |||
※ 제명 및 소속을 옮기거나 은퇴 또는 사망한 성우는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박영지 朴英知|Park Young-ji | |
본명 | <colbgcolor=#fff,#191919>국중호 |
출생 | 1951년 3월 10일 ([age(1951-03-10)]세) |
전라남도 담양군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중앙대학교 (연극영화학 / 중퇴) |
가족 | 아내, 딸 |
종교 | 개신교[1] |
데뷔 | 1968년 연극배우 1971년 MBC 4기 공채 탤런트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배우.2. 생애
1951년 3월 10일 전라남도 담양군의 농사를 짓는 집안에서 태어났다. #1968년부터 연극배우로 활동하다가 1971년 MBC 4기로 정식 데뷔하였다. 원래는 성우로 활동하다가 연기자로 전향했다. 성우 시절 로보트 태권 V의 윤박사역도 했었다. 악역도 어울리고, 선한 역도 어울리는 중립적인 인상을 주는 배우이다. 악역으로는 주로 사장(사극에서는 영의정) 자리를 빼앗으려는, 야심많고 지략있는 고위급 임원[2](사극에서는 고관 정승)이나 착한 사람을 박대하는 고위급 임원이나 중진 정치인이나 정승으로 출연하는데 이때도 사람 자체가 나쁘다기 보다는 대세에 순응해서 자신의 이익을 쫓는 즉 지위는 높은데 사람은 속물인 어찌보면 현실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그런 악역을 맡는다. 그래서 그런지 악역치고는 뭔가 대화가 통한다거나 타협의 여지를 가지고 있는 악역으로 주로 나온다. 선한 역으로는 중저음의 신뢰감을 주는 목소리와 함께 바른 소리하는 정승이나 사심없이 왕을 보필하는 최측근 역할을 맡는데 장희빈의 상선 역이 대표적이다.
3. 활동
2001년 명성황후에서는 김병학 역을 맡아 “인생에서 친구란 무엇인가”를 제대로 보여주는 명연을 보여줬다. 평생 흥선대원군의 유일한 이해자이자 대원군과 고종 일가 사이의 중재역을 해주고, 반드시 그의 편을 들어주며[3], 그에게 싫은 소리 한 번 하지 않고, 죽는 순간까지 고집을 버리지 못하고 휘지 못하는 그의 성격을 걱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2008년에 방송된 대왕 세종에서는 박은 역할이었는데, 실제로는 황희와 더 닮았다고 해서 사극팬들 사이에 화제가 되기도 했다.[4]높으신 분들을 잘 맡아서 국무총리, 장차관, 로펌 대표, 경찰청장, 경찰 고위층, 검사장, 검찰총장, 대법관, 국회의원, 여당 대표, 군 장성, 법원장, 대법원장, 국회의장, 재벌 총수, 대기업 회장, 기업 오너, 대학병원 병원장 등을 잘 맡는다.
일본어를 독학으로 마스터해서 드라마에서 일본인 배역을 맡기도 했다. 1981년 수사반장의 한 에피소드에서는 일본인 마약 밀매범, 제4공화국에서는 박정희 저격 미수 사건 당시의 주한 일본대사 우시로쿠 도라오, 신상옥, 최은희 부부의 탈북을 도운 일본인 기자 에노키 아키라로 나왔고, 야인시대에서는 종로경찰서장역인 오까 서장으로 출연하여 작중의 일본인 캐릭터 중 유일하게 원어민급의 일본인 실력을 발휘하기도 했다. 또한 1981년 10월 15일에 방영된 제1공화국(제목: 평화선)에서는 한일 회담 당시에 한국측 대표단의 일본어 통역사 역할을 맡은 적도 있다.
출세작인 제1공화국에서 김두봉 역할을 할 때에는 해당 인물에 대해 알려진 것이 거의 없었기에[5] 독창적으로 연기하여 호평을 받았다.
제5공화국 드라마에서 장태완 장군과 전화통화를 하다가 반란군놈의 새끼로 낙인찍힌 분을 맡았는데[6] 20년 뉴스 보기를 통해 1980년대 후반 MBC 뉴스데스크를 보면 실제 인물과 목소리가 매우 흡사하다. #
은근히 내시 역할을 많이 맡았는데, 장희빈에서도 상선을 맡았고, 인수대비에서도 전균이라는 이름의 내시를 맡았다.
기업인의 성공일화를 재현한 다큐멘터리 MBC 성공시대에서 최종현 前 SK그룹 회장 역을 맡았는데 놀랄 만큼의 싱크로율을 보여주었다.
굵고 개성있는 목소리 덕분에 카리스마가 돋보이는 배우이다. 장희빈에서 판내시부사 최상앙 역을 맡았을 때나 여러 사극에서 맡은 역할에서도 굵고도 정확한 톤으로 연기를 하여 장면 몰입도가 높다.
4. 출연작
4.1. 영화
4.2. 드라마
5. 여담
- 의외로 팬카페도 있다. 요기. 박영태와 헷갈리면 안된다. 공교롭게도 두 사람은 MBC의 선후배 사이이다. 같은 배우인 황범식과 비슷하게 생겼다. 실제로는 황범식이 5살 위.
- 김성태 의원하고도 많이 닮았다. 김성태 의원 본인도 제6공화국이 드라마로 만들어지게 된다면 자신의 배역에 박영지를 추천하고 싶다고 할 정도.
- 비슷한 시대를 다뤘던 시대극 3편(제4공화국, 제5공화국, 코리아게이트)에 모두 출연하였다.
- 딸이 경희대학교 의대 출신 의사인데 이 인연으로 경희의료원 홍보대사를 하기도 했다.
- 모든 공화국 시리즈에 출연한 기록을 가졌다. 박영지 외에도 배우 이대로도 공화국 시리즈 전부 출연하기도 했다.[7]
[1] 여의도순복음교회 장로이다.[2] 대기업 임원으로 출연한 작품 중에 '현정아 사랑해'가 있는데, 이쪽은 선한 역으로 주인공인 회장의 자제가 기업을 물려받는 것을 거부하자 엉겁결에 회장 자리를 물려받는다.[3] 심지어 집안 동생인 김병국이 중전을 편들어야 살 수 있다고 설득하자 “자네는 중전마마 편을 드시게, 나는 대원위를 택할 테니. 둘 중 하나는 살겠지!”라며 정치적으로 외로워진 대원군의 편에 남기 위해 생사를 치지도외하는 태도를 보여준다.[4] 나무위키 황희 관련 항목에도 그런 내용이 있다.[5] 해방 후 북한 정부에 참여했고, 8월 종파사건으로 숙청되어 관련 자료가 거의 없다.[6] 앞서 장세동은 물론이고 황영시도 장태완의 포스에밀려 아무말도 못했는데 유학성은 장태완에게 밀리지않고 만만치않게 몰아붙여 결국 장태완이 폭발하는 원인이 된다.[7] 실제 유학성은 장태완보다 3살 위이기 때문에 제5공화국에서 장태완이 유학성에게 형님이라고 부르지만 실제 박영지의 나이는 장태완 역의 김기현보다 6살이나 어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