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명 | 박용수(朴鎔秀) |
출생 | 1956년 2월 15일 ([age(1956-02-15)]세) |
경상남도 부산시 (現 부산광역시) | |
학력 | 경남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 / 75학번 / 학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 / 석사)[1] |
데뷔 | 1978년 극단 '연우무대' 입단 |
가족관계 | 아내, 슬하 1남 1녀 |
1. 개요
대한민국의 배우.2. 일생
1956년 부산에서 3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는데, 아버지는 선장을 거쳐 도선사로 정년까지 일했다. 경남고등학교 졸업 후 상경하여 서울대학교 성악과로 진학했으나 오페라가 형식에 치중되어 사회적으로 유리되어 있다는 회의감을 느끼던 터에 1976년 삼일로 창고극장에서 생애 처음으로 추송웅, 차혜영, 기정수 등이 나오는 연극 <해변풍경>을 보고 연기에 눈을 떴다. 1978년 3월 창고극장을 찾아가 연출가 이원경(1916~2010)이 지도하는 화술워크숍에서 3개월 배우고 12월 실험극장 제8기 연구생으로 들어가 윤호진이 지도하는 워크숍 작품 <긴 귀항 항로>에도 참여했다.이러한 연극 수업을 거쳐 복학 후 서울대 총연극회에 들어가 연극 활동을 했으나 학교 측의 방해로 잘 안 되다가 가정대학에서 최종률 연출의 <기적을 만드는 사람>에 참여했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1979년 10월 연우무대 작품 <한줌의 흙>에 출연했지만 4학년이 된 1980년 들어 음악미학 공부를 위해 1년여 간 연극에서 손을 뗐다. 1981년 3월 결혼 후 9월 KBS <TV문학관>을 보다가 연기에 대한 열정이 다시 살아나 이해랑, 김동원, 이원경 셋이 만든 배우예술원 1기생으로 연극 공부를 다시 하고 연우무대를 비롯 국립극단, 현대극장, 성좌, 여인극장, 아리랑, 현장, 산울림, 배우극장, 한양레퍼터리 등을 돌며 <한씨연대기>, <변방에 우짖는 새>,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오픈커플>, <아버지마다>, <세일즈맨의 죽음>, <고도를 기다리며>, <갑오세 가보세>, <노동의 새벽>, <붉은 방> 등 숱한 작품들에 나와 입지를 다졌다.
연기 커리어 면에서 장관, 사단장, 검사, 의사, 변호사 류의 지위 높은 역이 많으며 1986년 KBS <백마고지>를 시초로 특집극 위주로 나오면서도 여전히 홈그라운드는 연극이었고, 한동안 선역 위주로 안정된 연기를 주로 하다 1998년 영화 <여고괴담>의 폭력교사 오광구 역으로 악역을 처음 맡아 이미지 변신을 이루어냈다. 당시 폭행신은 학생 인권에 대한 불씨를 당겼다. 이것 말고도 <접속(1997)>, 연극 <미친키스(2000)>를 통해 '일탈자' 이미지를 만들어냈고 2011년 <복사꽃 지면 송화 날리고>를 통해 데뷔 이래 처음으로 고향 부산 사투리 연기를 구사했다.
3. 출연작 목록
3.1. 연극
- 1979년 리전 - 해설자 역
- 1979년 한줌의 흙
- 1980년 돼지꿈 - 노래지도
- 1982년 민달팽이
- 1982년 세 여인
- 1982년 멈춰선 저 상여는 상주도 없다더냐
- 1983년 바리더기 - 일곱 아들 / 소리꾼 역
- 1983년 나래섬 - 조장 역
- 1984년 불타는 여울 - 일본군 장교 2 역
- 1984년 파우스트 - 청년 역
- 1985년 한씨연대기
- 1986년 눈먼 도미 - 개루 역
- 1987년 변방에 우짖는 새
- 1987년 자유혼 - 이생 역
- 1987년 우리들의 사랑 - 사장 역
- 1988년 세일즈맨의 죽음 - 해피 로먼 역
- 1988년 갑오세 가보세 - 먹쇠 역
- 1988년 노동의 새벽
- 1989년 늙은 도둑 이야기
- 1989년 아버지 바다 - 형철 역
- 1989년 오픈 커플
- 1990년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 1990년 고도를 기다리며 - 포조 역
- 1991년 붉은 방 - 오기섭 역
- 1991년 세자매 - 뚜젠바흐 역
- 1991년 길 떠나는 가족 - 구상 역
- 1991년 출세기 - 기자 역
- 1992년 세자매 - 뚜젠바흐 역
- 1992년 핏줄
- 1993년 레 미제라블
- 1993년 심바세매: 유령 - 만데르스 목사 역
- 1993년 돼지와 오토바이
- 1994년 심바세매: 유령 - 만데르스 목사 역
- 1994년 빈방 있습니까 - 연출교사 역
- 1995년 바람분다 문열어라! - 이용식 역
- 1995년 러브레터 - 앤디 역(신용욱과 더블캐스팅)
- 1996년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 1997년 아들과 함께 걷는 길 - 아버지 역
- 1998년 좋은 녀석들
- 1998년 매직타임
- 1999년 흉가에 볕들어라 - 남부자 역
- 2000년 미친키스 - 인호 역
- 2001년 교황청의 지하도 - 쥴리우스 역
- 2001년 가시고기 - 정호연 역
- 2002년 고도를 기다리며 - 에스트라공 역
- 2002년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 - 강문규 역
- 2003년 산소 - 프리스틀리 / 올프 역
- 2003년 고도를 기다리며 - 에스트라공 역
- 2004년 흉가에 볕들어라 - 남부자 역
- 2004년 아! 난설헌 - 허균 역
- 2005년 소풍 - 시장 역
- 2005년 고도를 기다리며 - 에스트라공 역
- 2005년 목화밭의 고독속에서 - 딜러 역
- 2006년 산소 - 프리스틀리 / 올프 역(박경근과 더블캐스팅)
- 2007년 골드베르크 변주곡 - Mr. 제이 역
- 2008년 연극열전 2: 리타 길들이기 - 프랭크 역
- 2009년 산소 - 프리스틀리 / 올프 역
- 2011년 복사꽃 지면 송화 날리고 - 아버지 역
- 2012년 돈키호테 - 산초 역
- 2012년 복사꽃 지면 송화 날리고 - 아버지 역
- 2012년 니 부모 얼굴이 보고싶다 - 이예림의 할아버지 역
- 2012년 아워 타운 - 깁스 의사 역
- 2012년 사라지다 - 말복 역
- 2013년 빨간시 - 아비 역
- 2014년 거울속의 은하수 - 의친왕 역
- 2014년 우리는 영원한 챔피언 - 감독 역
- 2015년 고도를 기다리며 - 에스트라공 역
- 2017년 복사꽃 지면 송화 날리고 - 아버지 역
- 2019년 고도를 기다리며 - 에스트라공 역
- 2021년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 - 영공 역
- 2021년 리어왕 - 켄트 백작 역
- 2021년 금조 이야기 - 정무총감 / 늑대 역
- 2022년 세인트 조앤 - 랭스의 대주교 역
- 2023년 리어왕 - 켄트 백작 역
3.2. 드라마/시트콤
- 1984년 KBS1 1984 빅브라더 임종을 맞이했다
- 1986년 KBS1 백마고지 - 김종오 역
- 1987년 MBC 한힌샘 - 주시경 역
- 1987년 MBC 전원일기: 그리운 사람 - 김민재의 아버지 역
- 1989년 KBS1 두 석양
- 1989년 MBC 베스트셀러극장: 시선에 대하여
- 1989년 MBC 베스트셀러극장: 정거장
- 1989년 MBC 베스트셀러극장: 신용비어천가 - 백 기자 역
- 1989년 MBC 베스트셀러극장: 상어
- 1989년 MBC TV피처: 아담의 초상
- 1990년 MBC 반민특위
- 1991년 MBC 행복어사전
- 1991년 MBC 동의보감 - 선조 역
- 1991년 MBC 여명의 눈동자 - 이주환 역
- 1992년 MBC 춘원 이광수
- 1993년 SBS 제3극장: 창백한 자화상
- 1993년 MBC 베스트극장: 부자지효
- 1994년 SBS 박봉숙 변호사: 여자라는 이름으로
- 1995년 SBS 박봉숙 변호사: 흔들리는 별
- 1995년 KBS1 김구 - 우종서 역
- 1996년 MBC 베스트극장: 남편이 에이즈에 걸렸어요 - 김 과장 역
- 1996년 MBC 이야기속으로: 건망증도 부전자전
- 1997년 MBC 신데렐라
- 1997년 MBC 남자셋 여자셋
- 1997년 MBC 짝: 로맨스 마마
- 1998년 MBC 환상여행: 사라진 일요일
- 1998년 SBS 삼김시대 - 이규현 역
- 1998년 MBC 베스트극장: 반가사유상 - 교수 역
- 1998년 MBC 베스트극장: 신데렐라 죽이기
- 1999년 MBC 사랑과 성공
- 1999년 MBC 봄: 아주 특별한 선물
- 1999년 MBC 성공시대: 뮤지컬 '명성황후' 연출가 윤호진
- 1999년 SBS 고스트 - 의사 역
- 2000년 MBC 허준 - 고을 수령 역
- 2001년 MBC 성공시대: 교양 만화의 선구자 만화가 이원복
- 2001년 MBC 베스트극장: 동행 2
- 2004년 MBC 별의 소리[2]
- 2004년 MBC 영웅시대 - 송씨 역
- 2004년 SBS 토지 - 김영팔 역
- 2004년 KBS1 불멸의 이순신 - 박남경 역[3]
- 2005년 MBC 제5공화국 - 안상수 역
- 2005년 MBC 변호사들
- 2006년 MBC 이제 사랑은 끝났다
- 2006년 SBS 천국보다 낮선 - 유봉찬 역
- 2006년 SBS 연개소문 - 이문진 역
- 2006년 KBS2 특수 수사일지: 1호관 사건 - 곽석진 역
- 2007년 KBS1 HD TV문학관: 카스테라
- 2007년 KBS2 드라마시티: GOD
- 2007년 KBS2 드라마시티: 늙은 양아치의 노래
- 2008년 MBC 스포트라이트
- 2008년 KBS2 대왕 세종 - 한영로 역
- 2008년 SBS 신의 저울 - 윤태섭 역
- 2008년 SBS 타짜 - 최장군 역
- 2009~2010년 MBC 보석비빔밥
- 2009년 MBC 맨땅에 헤딩
- 2010년 KBS2 추노 - 조정 대신 역
- 2010년 SBS 제중원 - 병조판서 역
- 2010년 SBS 자이언트 - 박창우 역
- 2010년 SBS 아테나: 전쟁의 여신 - 황호영 역
- 2011년 KBS2 강력반 - 박용석 역
- 2011년 SBS 폼나게 살거야 - 신문석 역
- 2012년 SBS 샐러리맨 초한지 - 노광수 역
- 2014년 TV조선 불꽃 속으로 - 고헤이 역
- 2014년 MBC 야경꾼 일지 - 최영경 역
- 2015년 KBS2 복면검사 - 송만석 역
- 2015년 SBS 가면 - 서종훈 역
- 2015년 SBS 돌아온 황금복 - 변호사 역
- 2018년 tvN 크로스 - 최 회장 역
- 2020년 SBS 엄마가 바람났다
3.3. 영화
- 1984년 봄이 오면 산에 들에[4]
- 1984년 이별 없는 세대[5]
- 1987년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 1990년 꼴찌부터 일등까지 우리 반을 찾습니다
- 1991년 수잔 브링크의 아리랑
- 1995년 엄마에게 애인이 생겼어요 - 부장 역
- 1995년 꼬리치는 남자 - 수의사 역
- 1995년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 평화시장주식회사 사장 역
- 1997년 접속 - 태호 역
- 1998년 여고괴담 - 오광구 역
- 1998년 해가 서쪽에서 뜬다면 - 심판 B 역
- 1998년 소년기[6]
- 1999년 간첩 리철진 - 수사팀장 1 역
- 2000년 종합병원(천일동안) - 김현일 역
- 2001년 베사메무쵸 - 선배 역
- 2002년 H - 장 국장 역
- 2004년 효자동 이발사 - 박종만 역
- 2005년 공공의 적 2 - 신 부장 역
- 2005년 연애술사 - 희원의 아버지 역
- 2006년 한반도 - 대통령비서실장 역
- 2007년 화려한 휴가 - 정 소장 역
- 2007년 스카우트 - 우정출연
- 2008년 슈퍼맨이었던 사나이 - 김 박사 역
- 2009년 트라이앵글[7] - 간부 1 역
- 2009년 홍길동의 후예 - 부장검사 역
- 2010년 꿈은 이루어진다 - 사단장 역
- 2012년 타워 - 박 원장 역
- 2013년 노리개 - 윤기남 역
- 2014년 제보자 - 방송국 간부 1 역
- 2017년 그래, 가족 - 김종도 의원 역(우정출연)
- 2018년 허스토리 - 뇌신경매독 의사 역
- 2020년 바운서[8]
3.4. 오페라
- 1975년 라 보엠 - 베이스
- 1979년 나비부인 - 고로 역(정학수와 더블캐스팅)
4. 수상 경력
- 2005년 제31회 영희연극상 (고도를 기다리며)
- 2011년 제32회 서울연극제 연기상 (복사꽃 지면 송화 날리고)[9]
- 2012년 제48회 동아연극상 남자 연기상 (복사꽃 지면 송화 날리고)
5. 여담
- "100인의 배우, 우리 문학을 읽다" 라는 오디오북에서 전광용의 '꺼삐딴 리'를 읽었다.
6. 출처
- 한국영상자료원 KMDb 항목
- 국립극단 아카이브 항목
- <한국연극> 1991년 4월호 '무대 위의 얼굴 - 박용수(구히서 글)' p86~89.
- 1986년 6월 27일 <경향신문> 기사
- 2000년 5월 3일 <한국일보> 기사
- 2022년 1월 22일 <뉴시스>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