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외무부장관 (1948~1998)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
초대 장택상 | 제2대 임병직 | 제3대 변영태 | 제4대 조정환 | 제5대 허정 |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
제6대 정일형 | 제7대 김홍일 | 제8대 송요찬 | 제9대 최덕신 | 제10대 김용식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1대 정일권 | 제12대 이동원 | 제13대 정일권 | 제14대 최규하 | 제15대 김용식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16대 김동조 | 제17대 박동진 | 제18대 노신영 | 제19대 이범석 | 제20대 이원경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21대 최광수 | 제22대 최호중 | 제23대 이상옥 | 제24대 한승주 | ||
<nopad> 문민정부 | |||||
제25대 공로명 | 제26대 유종하 | ||||
외교통상부장관 (1998~2013) |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27대 박정수 | 제28대 홍순영 | 제29대 이정빈 | 제30대 한승수 | 제31대 최성홍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32대 윤영관 | 제33대 반기문 | 제34대 송민순 | 제35대 유명환 | 제36대 김성환 | |
외교부장관 (2013~현재)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37대 윤병세 | 제38대 강경화 | 제39대 정의용 | 제40대 박진 | 제41대 조태열 | |
조선 예조판서 · 대한제국 외부대신 · 임시정부 외무부장 | }}}}}}}}} |
임병직 관련 틀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대한민국 제2대 외무부장관 임병직 林炳稷 | Yim Byeong-jik | |||
출생 | 1893년 10월 26일 | ||
충청도 부여현 초촌면 응평리 (現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금백로859번길 7-12) | |||
사망 | 1976년 9월 21일 (향년 82세) | ||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동 84번지 자택 |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제2유공자 묘역-6호 | ||
본관 | 나주 임씨[1] | ||
호 | 소죽(小竹) | ||
재임기간 | 제2대 외무부장관 | ||
1949년 1월 31일 ~ 1951년 4월 15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부모 | 아버지 임연상, 어머니 대구 서씨 | |
형제자매 | 2남 1녀 중 첫째 남동생 임병설[2] | ||
배우자 | 창원 황씨[3] | ||
이봉선[4] | |||
자녀 | 슬하 3남 1녀 | ||
학력 | 보성고등보통학교 (중퇴) 관립한성외국어학교 (영어과 / 졸업)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법학 / 학사) | ||
약력 | 한국학생평론 편집장 필라델피아 재미한인교포 대회 서기장 구미외교위원부 위원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 비서관 구미위원부 무관 UN창립총회 옵서버 제2대 외무부장관 제5차 유엔총회 한국대표단장 국토통일원 고문 제9·10대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 ||
서훈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정치인, 외교관. 1976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받았다.2. 생애
2.1. 해방 이전
1913년 이승만의 도움으로 미국으로 유학한다. 1918년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농학과에 입학한다. 재학 중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고 '한국학생평론'을 발행하여 일제 식민통치의 진상을 알린다. 1919년 이승만, 서재필 등과 함께 필라델피아에서 한인자유대회를 개최하고 대회의 서기장을 맡는다. 이후 이승만의 비서로 활동한다. 이승만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통령이 됐을 때는 그와 함께 상하이로 가기도 했다. 이 때 이승만과 임병직은 일제의 눈을 피하기 위해 하와이에서 상하이로 중국인들의 시신을 싣고 가는 배를 타고 밀항을 하여 상하이로 갔다.
2.2. 해방 이후
앞줄 왼쪽부터 송헌주, 이승만, 이살음. 뒷줄 왼쪽부터 윤병구, 정한경, 유경상, 임병직. |
그는 외무장관이 된 후 국제무대에서 대한민국 정부의 정통성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주한미군 철수를 막기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결국 주한미군은 1950년 철수했다.
몇달 후 6.25 전쟁이 발발하자 외무장관 겸 UN 한국대표단 단장으로 다자외교를 이끌며, 유엔 총회에서 여러차례 대한민국의 입장을 전하는 발언을 했다.##
이후 1951년 주 UN 대한민국대표부 대사에 임명되어 1960년까지 재임했다. 주유엔대사로 재임 중 제네바 회담에 참여했으며 국교 정상화를 위한 제4차 한일회담의 수석 대표를 겸직하기도 했다. 제2공화국이 수립된 이후에도 UN 대사 고문으로 뉴욕에 머물렀다. 1963년 민주공화당 고문 직을 맡으며 귀국했다. 1964년부터 1967년까지 주 뉴델리 대한민국 총영사를 지냈다. 1974년 한국반공연맹 이사장을 지냈으며 세계반공연맹 의장을 맡기도 했다.
말년에 모습 |
3. 여담
- 대한야구협회의 3대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 1913년 조선을 떠나 1949년에야 귀국해서 36년만에 만난 첫 부인 창원 황씨[8]를 알아 보지 못했다고 한다. 임병직은 웬 모르는 부인이 인사하길래 그냥 타인을 대하듯이 마주 인사했는데 옆에 있던 친구가 어떻게 마누라도 못알아보냐고 일깨워줘서 그제야 알아봤다고 한다. 임병직은 미국 시절 사귄 미국 여자와 사실상 새 살림을 차렸는데 황씨에 대한 의리를 지키느라 공식적으로 결혼하진 않았다. 얼굴도 모르는 부인이지만 부모님 봉양을 한 조강지처를 내칠 수 없다는 이유였다. 그런데 어느 증언에는 혈육이 없었다고 나오지만 1976년 부고에는 둘째 부인 전주 이씨 이봉선[9]과 1남 1녀의 자식이 있다고 하므로 틀린 정보이다.
4. 둘러보기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1271B5; border-right: 10px solid #1271B5; text-align: center; margin: -0px -11px; margin-top: -12.5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17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f2024><tablebgcolor=#fff,#1f2024> | }}}{{{#!wiki style="padding: 0px; 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 <tablebordercolor=#fff,#1f202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4>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254170; border-right: 10px solid #25417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181818,#e5e5e5 | 직위 | 명단 | ||
외무부장관 | <colbgcolor=#fff,#1f2024><colcolor=#254170> 장택상 → 임병직 → 변영태 → 조정환 → 허 정 | |||
내무부장관 | 윤치영 → 신성모 → 김효석 → 백성욱 → 조병옥 → 이순용 → 장석윤 → 이범석 → 김태선 → 진헌식 → 황호현 → 백한성 → 김형근 → 이익흥 → 장경근 → 이근직 → 민병기 → 김일환 → 최인규 → 홍진기 → 이호 | |||
재무부장관 | 김도연 → 최순주 → 백두진 → 박희현 → 이중재 → 김현철 → 인태식 → 김현철 → 송인상 → 윤호병 | |||
법무부장관 | 이 인 → 권승렬 → 이우익 → 김준연 → 조진만 → 서상환 → 조용순 → 이 호 → 홍진기 → 권승렬 | |||
국방부장관 | 이범석 → 신성모 → 이기붕 → 신태영 → 손원일 → 김용우 → 김정렬 → 이종찬 | |||
문교부장관 | 안호상 → 백낙준 → 김법린 → 이선근 → 최규남 → 최재유 → 이병도 | |||
부흥부장관 | 유완창 → 김현철 → 송인상 → 신현확 → 전예용 | |||
농림부장관 | 조봉암 → 이종현 → 윤영선 → 공진항 → 임문환 → 함인섭 → 신중목 → 정재설(서리) → 양성봉 → 윤건중 → 최규옥 → 임철호 → 정낙훈 → 정운갑 → 정재설 → 이근직 → 이해익 | |||
상공부장관 | 임영신 → 윤보선 → 김 훈 → 이교선 → 이재형 → 안동혁 → 박희현 → 강성태 → 김일환 → 구용서 → 김영찬 → 전택보 → 오정수 | |||
사회부장관 / 보건부장관 → 보건사회부장관 | 전진한 → 이윤영 → 허 정 → 최창순 → 박술음 / 구영숙 → 오한영 → 최재유 → 최재유 → 정준모 → 손창환 → 김성진 | |||
교통부장관 | 민희식 → 허 정 → 김석관 → 윤성순 → 이종림 → 문봉제 → 최인규 → 김일환 → 석상옥 | |||
체신부장관 | 윤석구 → 장기영 → 이순용 → 조주영 → 강인택 → 이 광 → 이응준 → 곽의영 → 오정수 → 최용덕 | }}}}}} }}}}}}}}} |
[1] 절도공파 27세 병(炳) 묵(默) 항렬.[2] 林炳卨. 1902. 7. 7 ~ 1970. 8. 3.[3] 1893. 1. 27 ~ 1974. 6. 3. 황우덕(黃祐悳)의 딸이다.[4] 李鳳仙. 1976년 9월 21일 부고기사에는 李鳳善으로 기재되어 있다. 1930년 5월 21일생. 전주 이씨이다.[5] 現 충청남도 부여군[6] 林淵相, 1870. 8. 14 ~ 1938. 3. 21[7] 충청남도 관찰사를 지낸 서만보(徐晩輔)의 딸이다. (1868. 2. 23 ~ 1938. 2. 19)[8] 황우덕(黃祐悳)의 딸이다. (1893. 1. 27 ~ 1974. 6. 3)[9] 李鳳仙, (1930. 5. 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