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59 제임스 밴 플리트 군인 | 1960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교육가·독립운동가 | 1969 이인 법조인·독립운동가 | 1969 닐 암스트롱 · 마이클 콜린스 · 버즈 올드린 우주비행사 | ||
1969 제헌국회의원 154명 | 1969 조동식 교육인 | 1969 곽상훈 독립운동가, 국회의장 | 1970 김수환 추기경 | 1970 백낙준 교육인, 국회의장 | ||
1970 이상백 독립운동가, 사회학자 | 1970 이은상 시인, 역사학자 | 1971 유일한 기업인 | 1973 박두병 기업인 | 1974 박태준 기업인 | ||
1976 박일경 교육인 | 1979 김연수 기업인 | 1979 주요한 문학가, 언론인, 정치인 | 1980 권승렬 독립운동가, 법조인 | 1980 김홍일 군인, 독립운동가 | ||
1982 권영대 교육인 | 1982 김상만 언론인 | 1985 이숙종 교육인 | 1985 이항녕 법학자 | 1987 이병철 기업인 | ||
1988 권이혁 교육인, 의사 | 1988 정주영 기업인 | 1989 이방자 교육인, 영친왕비 | 1991 강영훈 국무총리 | 1991 김병관 언론인 | ||
1994 김호길 교육인 | 1994 고형곤 철학자, 교육인, 정치인 | 1994 문병집 교육인 | 1995 곽윤직 법학자 | 1996 장기려 의사 | ||
1996 윤덕선 의사, 교육인 | 1996 정범모 교육인 | 1997 박성용 기업인 | 1998 고흥문 국회부의장 | 1998 주영하 교육인 | ||
2000 이건희 기업인 | 2001 송건호 언론인 | 2002 김재준 종교인 | 2002 문창모 의학자 | 2002 백낙환 의학자, 교육인 | ||
2004 고병익 역사학자 | 2004 이기백 역사학자 | 2004 유봉식 기업인 | 2006 김희수 의학자, 교육인 | 2006 이종욱 의사, WHO 사무총장 | ||
2006 정재헌 법조인 | 2007 권영우 교육인 | 2007 장훈 체육인 | 2008 박관용 국회의장 | 2008 진창현 바이올린 제작자 | ||
2009 김정수 정치인 | 2010 이영덕 국무총리 | 2010 조용기 종교인 | 2010 황장엽 북한정치인, 탈북자 | 2011 류택형 법조인 | ||
2011 이태석 종교인, 의사 | 2011 김준엽 독립운동가, 교육인 | 2012 헬렌 펄 매킨지(매혜란) 선교사 | 2012 김평우 법조인 | 2012 정몽구 기업인 | ||
2013 남덕우 국무총리 | 2013 손경식 기업인 | 2013 맹광호 의학자 | 2013 한덕수 국무총리 | 2014 김승호 기업인 | ||
2015 권광중 법조인 | 2016 이근 의사 | 2017 박한철 헌법재판소장 | 2017 반기문 UN 사무총장 | 2017 양승태 대법원장 | ||
2017 서용달 경영학자 | 2018 김종필 국무총리 | 2018 노회찬 정치인 | 2018 박재갑 의사 | 2018 이석태 법조인 | ||
2018 조규광 헌법재판소장 | 2018 한승헌 법조인, 감사원장 | 2018 정세균 국회의장 | 2019 윤한덕 의사 | 2019 이국종 의사 | ||
2020 이이화 사학자 | 2020 전태일 노동운동가 | 2020 문희상 국회의장 | 2021 최종태 기업인 | 2022 박병석 국회의장 | ||
2022 리차드 위트컴 군인 | 2023 송창근 기업인 | 2023 김박 기업인 | 2023 자승 종교인 | 2024 이임성 법조인 | ||
2024 이상만 지질학자 | 2024 임희섭 사회학자 | 2024 장석진 언어학자 | 2024 김상주 공학자 | 2024 윤대원 의사, 교육인 | }}}}}}}}} |
<colbgcolor=#EEC008><colcolor=#00A99A>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류택형 柳宅馨[1] | Ryu Taek Hyoung | ||
| ||
출생 | 1929년 1월 7일[2] ([age(1929-01-07)]세) | |
경기도 안성군 금광면 오산리 마둔마을 (現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오산리 마둔마을)[3][4] | ||
본관 | 진주 류씨(晉州 柳氏)[5] | |
수훈 | 국민훈장 무궁화장 (2011년 추서) | |
부모 | 아버지 류해문[6], 어머니 홍순철[7][8] | |
배우자 | 진옥순[9][10] (2024년 4월 30일 사별) | |
자녀 | 슬하 2남 2녀 | |
학력 | 금광공립국민학교 (졸업) 서울공립공업중학교(중퇴) 5년제 경복중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률학과 (법학 / 학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법학 / 석사)[11] 한양대학교 대학원 (법학 / 박사)[12] | |
병역 | 육군본부 고등군법회의 법무사 보통군법회의 수석검찰관 (군법무관) | |
종교 | 기독교 | |
약력 | 제5회 고등고시 사법 수석합격 제6회 고등고시 행정과 합격 서울지방검찰청 강력부 검사 서울지방변호사회 통일문제연구위원장(1975~1977) 대한변호사협회 통일문제연구위원장(1982~1984) 대한변호사협회 인권위원장(1983~1987) 민주통일당 정치위원 민주통일당 대변인 민주통일당 인권옹호위원 제18회 변호사대회 집행위원회 위원장 및 총회의장(2007~2009) 율곡문화원장 대한법조원로회 회장 | |
호 | 석담(石潭)·청곡(菁谷) |
1. 개요
대한민국의 법조인 및 정치인이다. 본관은 진주(晉州)[13], 호는 석담(石潭)[14]·청곡(菁谷), 초명은 류태형(柳泰馨)이다.2. 생애
1929년 1월 7일 경기도 안성군(현 안성시) 금광면 오산리 마둔마을[15]에서 아버지 류해문(柳海文, 1898. 6. 13 ~ 1931. 11. 3)과 어머니 남양 홍씨 홍순철(洪淳喆, 1895. 1. 15 ~ 1986. 4. ?)[16] 사이의 2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금광공립국민학교, 서울공립공업중학교 중퇴, 5년제 경복중학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률학과를 졸업하고, 1977년 8월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석사 학위[17], 1981년 2월 동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학위[18]를 취득했다.
1953년 제5회 고등고시 사법과 및 1954년 제6회 고등고시 행정과에 합격하였으며, 이 중 사법과는 수석합격이었다. 군법무관으로 육군본부 고등군법회의 법무사, 보통군법회의 수석검찰관 등을 역임하였으며, 병역을 마친 뒤에는 검사로 근무하며 서울지방검찰청 강력부 검사 등을 역임했다.
이후에는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성균관대학교·동국대학교·한양대학교·고려대학교 대학원·국민대학교 등에서 법률학 강사로 출강하기도 했다.
1960~70년대 윤보선, 장준하, 함석헌, 양일동, 김대중, 노무현, 윤반웅, 함세웅 등의 인사들을 변호하며 정치인, 종교인, 일반시민의 기본적인 인권보장을 위하여 헌신하였고, 인권옹호와 사회정의 실현을 사명으로 하는 대한변호사협회 통일문제연구원장과 인권위원장을 역임하면서 남북통일 법제 연구를 시도하여 법률 인식의 지평을 넓히는 등, 헌법과 법률에 근거한 법치주의 확립을 위해 평생에 걸쳐 노력하였다.
육군본부 군법회의 수석검찰관 시절 5.16 군사정변을 일으킨 장성들이 의견 차이로 소요를 일으켜 군법회의에 회부되었는데, 중앙정보부장 김형욱이 이들을 '내란죄’로 기소해 달라는 의견을 전했다. 그러나 류택형은 김형욱에게 “내란죄로 기소했다가는 무죄로 석방 될 수도 있니 벌금형이라도 가능한 소요죄로 기소하자”고 설득하였고, 결국 장성 전원이 벌금형으로 석방됐다.[19]
이후 박정희 대통령은 같은 고등고시 사법, 행정 양과 합격 후배인 장덕진 문화체육부 장관을 보내 류택형에게 민주공화당 서울 성북구 당협위원장 자리를 제의해 왔지만, “박정희는 위에서 내리누르는 逆의 정치를 하고 있다”고 거절했으며,[20] 해당 사건 이후 중앙정보부에 세 번이나 끌려가 고초를 겪었다.
1979년 10.26 사건이 일어나자 김재규의 변호인단으로 합류하였으며, 동년 11월 30일 남한산성 육군교도소(現 국군교도소)에 수감된 김재규를 면회하여 김재규의 최초 육성진술을 녹음하는 데 성공한다.
1982년에는 사할린 교포 및 재일 원자폭탄 피해자의 실상을 국내, 해외에 공론화하여 소련 및 일본이 이들의 인권에 소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특히 사할린 한인의 국내 영주 귀국 활동에 적극 공헌하였다.
대한변호사협회 인권위원장 시절에는 최초로 인권보고서를 발간하였는데, 조영래 변호사가 집필을 맡았다.
2011년 4월 25일 제48회 법의 날 기념식에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상했다.
2.1. 정치 활동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일당 후보로 경기도 평택군-안성군-용인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당 유치송 후보와 민주공화당 서상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종로구·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당 정대철 후보와 민주공화당 민관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중랑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평화민주당 이상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1999, 2001, 2005년 대한변호사협회 회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모두 낙선하였다.
3.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980122><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980122><rowcolor=#fff>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1973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도 평택군-안성군-용인군 | | 19,638 (12.27%) | 낙선 (3위) |
1978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종로구·중구 | | 4,938 (1.98%) | 낙선 (4위)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중랑 갑 | [[통일민주당| | 17,052 (17.30%) | 낙선 (3위) |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9대 총선 (경기도 평택군-안성군-용인군) | 10대 총선 (서울 종로구·중구) | |
| ||
13대 총선 (서울 중랑구 갑) | }}}}}}}}} |
[1] 로앤비에는 "유택형"으로 나와 있다.[2] 음력 1928년 11월 27일.[3] 진주류씨 백참판공파(문정공파)집성촌이다.[4] 충청남도 공주군(현 공주시)에서 태어났다는 설도 있다.[5] 토류계 백참판공파(문정공파) 27세 형(馨) 항렬. 족보에 기록된 일명(一名)은 류무형(柳茂馨), 초명은 류태형(柳泰馨)이다.족보[6] 柳海文 (1898. 6. 13 ~ 1931. 11. 3)[7] 洪淳喆, (1895. 1. 15 ~ 1986. 4.)[8] 남양 홍씨 홍종국(洪鍾國)의 딸이다.[9] 陳玉純, (1929. 2. 14 ~ 2024. 4. 30)[10] 여양 진씨 진정범(陳正範)의 딸이다.[11] 석사 학위 논문 : 不法行爲에 있어 違法性 槪念의 變遷動向(불법행위에 있어 위법성 개념의 변천동향).[12] 박사 학위 논문 : 栗谷의 變法思想을 通해서본 私法理論에 관한 硏究 : 信義誠實의 原則과 不法行爲 및 債務不履行에 있어 新,舊 兩訴訟物理論의 變遷動向을 中心으로(율곡의 변법사상을 통해서본 사법이론에 관한 연구 : 신의성실의 원칙과 불법행위 및 채무불이행에 있어 신,구 양소송물리론의 변천동향을 중심으로).[13] 토류계 백참판공파(문정공파) 27세 형(馨) 항렬.족보[14] 평생 숭상한 인물인 율곡 이이의 다른 호와 같다.[15] 진주류씨 백참판공파(문정공파)집성촌이다.[16] 홍종국(洪鍾國)의 딸이다.[17] 석사 학위 논문 : 不法行爲에 있어 違法性 槪念의 變遷動向(불법행위에 있어 위법성 개념의 변천동향).[18] 박사 학위 논문 : 栗谷의 變法思想을 通해서본 私法理論에 관한 硏究 : 信義誠實의 原則과 不法行爲 및 債務不履行에 있어 新,舊 兩訴訟物理論의 變遷動向을 中心으로(율곡의 변법사상을 통해서본 사법이론에 관한 연구 : 신의성실의 원칙과 불법행위 및 채무불이행에 있어 신,구 양소송물리론의 변천동향을 중심으로).[19] 출처 : 법조신문(https://news.koreanbar.or.kr)[20] 긴급조치가 율곡 이이의 정치철학에 반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