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00205c><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205c>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사회복지수석비서관 (1995~1999)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초대 박세일 | 초대 조규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복지노동수석비서관 (1999~2003) | <nopad> (2003~2004) | |||||||
<nopad> 국민의 정부 | 폐지 | ||||||||||
초대 김유배 | 제2대 최규학 | 제3대 이태복 | 제4대 김상남 | ||||||||
사회정책수석비서관 (2004~2010)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초대 이원덕 | 제2대 김용익 | 초대 박미석 | 제2대 강윤구 | 제3대 진영곤 | |||||||
고용복지수석비서관 (2010~2017)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초대 진영곤 | 제2대 노연홍 | 초대 최성재 | 제2대 최원영 | 제3대 김현숙 | |||||||
사회수석비서관 (2017~현재)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초대 김수현 | 제2대 김연명 | 제3대 윤창렬 | 제4대 이태한 | 초대 안상훈 |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2대 장상윤 | }}}}}}}}}}}} |
박세일 관련 틀 | ||||||||||||||||||||||||||||||||||||||||||||||||||||||||||||||||||||||||||||||||||||||||||||||||||||||||||||||||||||||||||||||||||||||||||||||||||||||||||||||||||||||||||||||||||||||||||||||||||||||||||||||||||||||||||||||||||||||||||||||||||||||||||||||||||||||||||||||||||||||||||||||||||||||||||||||||||||||||||||||||||||||||||||||||||||||||||||||||||||
|
<colbgcolor=#082e59><colcolor=#fff> 문민정부 초대 사회복지수석비서관 박세일 朴世逸 | Park Sae-il | |
출생 | 1948년 4월 4일[1] |
서울특별시 중구 만리동 | |
사망 | 2017년 1월 13일 (향년 68세)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 |
재임기간 | 문민정부 초대 정책기획수석비서관 |
1994년 12월 23일 ~ 1995년 12월 20일 | |
문민정부 초대 사회복지수석비서관 | |
1995년 12월 20일 ~ 1998년 2월 24일 | |
호 | 위공(爲公) |
본관 | 밀양 박씨 |
배우자 | 조미경 |
자녀 | 1남 1녀 |
학력 | 서울중학교 (졸업) 서울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66 / 학사) 도쿄대학 대학원 (경제학 / 석사 과정 수료) 코넬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석사·박사) |
병역 | 병역면제 (고도근시) |
종교 | 불교 (법명: 영성(領星))[2] |
의원 선수 | 1 |
의원 대수 | 17 |
약력 | 한국개발연구원 수석연구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대통령비서실 정책기획수석비서관 (문민정부) 대통령비서실 사회복지수석비서관 (문민정부) 한국개발연구원 정책경영대학원 초빙석좌교수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한나라당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한나라당 비례대표 공천심사위원회 위원장 제17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2번 / 한나라당)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의장 제7대 여의도연구소장 국민생각 대표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경제학 전공 교수, 청와대 수석비서관, 국회의원 등을 지냈다.2. 생애
1948년 음력 4월 4일(양력 5월 12일) 서울특별시 중구 만리동에서 태어났다. 서울중학교, 서울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66학번)를 졸업하고 1973년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경제학과 석사 과정에 입학해 노사경제학을 수학한 뒤 1975년 수료했다. 1975년 미국 코넬 대학교 대학원에 입학해 노동경제 전공으로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1980년 노동경제 및 법경제학 전공으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서울대학교 졸업 후 한국산업은행 조사부 법제조사과에서 근무했으며, 박사 학위 취득 후 귀국해 1980년부터 1985년까지 한국개발연구원 수석연구원을 지냈다. 1982년부터 모교인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강사로 출강했으며, 1985년에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법경제학 전공 교수로 부임했다. 1989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창립을 주도했다.
1994년부터 1998년까지 김영삼 정부의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정책기획수석비서관 및 사회복지수석비서관을 지냈다. 당시 정책기획수석비서관으로서 김영삼 대통령이 1994년 말 호주 시드니]에서 발표했던 세계화 선언을 주도하였다. 사실상 21세기 대한민국을 규정하고 있는 신자유주의 세계화 혹은 미국화 노선을 국내에 처음 제시한 인물이다. 박세일의 세계화론은 이후 대한민국 보수정당의 지배적인 이념이 되었고,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집권한 민주당계의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도 이를 받아들이면서 박세일이 제시한 정책과제들이 차례로 실현되었다. 김영삼 정부에서 추진하다가 실패했던 법학전문대학원이 대표적이다. 참고 시론.
1998년에는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브루킹스 연구소에서 수학하였고, 귀국 후 한국개발연구원 정책경영대학원 초빙석좌교수,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를 지냈다. 2002년에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의연구소 이사장을 지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비례대표제 국회의원 제2번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4년 8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제7대 여의도연구원장을 지냈고, 2005년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의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러나 2005년 3월 신 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군·공주시 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 통과에 반발하여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였고 이후 이성구 전 서울특별시의회 의장이 비례대표 국회의원직을 승계하였다.
2006년 9월 새로운 보수의 과제로 선진화 개념을 주장하면서 한반도선진화재단을 창립하여 이사장에 취임했다. 2011년에는 선진통일연합을 창립해 상임의장에 취임했다.
2012년 초 국민생각을 창당하였다. 같은 해 치러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생각 후보로 서울특별시 서초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김회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7년 1월 13일 오후, 위암으로 사망했다. 향년 68세. #
3. 여담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던 1980년대 초, 법대생들에게 경제 관련 과목들을 가르치며 학생들에게 사법시험보다 행정고시를 볼 것을 권했다. 로스쿨이 도입되기 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은 대한민국 최고의 엘리트들이 가는 곳이었고 법과대학 특성상 사법시험을 준비하는 게 당연한 것이었는데 박세일은 학생들에게 자주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사시 패스한 사람은 어떤 사건이 벌어진 다음, 잘잘못을 따져 뒤처리하는 일을 주로 한다. 필요하고 중요한 일이지만 지금 한국에는 그보다 더 시급하고 중요한 일이 있다. 후진국에서 이제 막 벗어난 대한민국을 어떻게 발전시켜 다음 세대에게 선진국을 물려줄 것이냐 하는 과제가 여러분 어깨에 달려 있다. 공직자가 돼 나라를 발전시키려면 무슨 정책을 펴야 하는지, 선진국이 되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남보다 앞장서 고민하기 바란다.
이 말에 감동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82학번들은 법경제학회라는 학회를 만들었고 여기 참여한 학생들 대부분은 사법시험 대신 행정고시를 택하고 공무원이 되어 공직에 진출하였다. #
- 2002년 4월 한국법경제학회의 초대 회장에 취임해 2004년 9월까지 지냈는데, 한국법경제학회는 그가 출연한 기금을 토대로 2009년부터 매년 위공법경제학상을 시상하고 있다.# '위공'(爲公)은 《예기》의 '天下爲公'이라는 구절에서 따온, 박세일의 아호이다. #
- 2019년에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들이 그의 주저 《법경제학》의 개정판을 냈다.
4.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82e59><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rowcolor=#fff><rowbgcolor=#082e59>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 7,613,660 (35.76%) | 당선 (2번) | 초선[3]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서초 갑 | [[국민생각|]] | 7,101 (7.32%) | 낙선 (3위) |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7대 총선 (한나라당 비례대표 2번) | 19대 총선 (서울 서초구 갑) | }}}}}}}}} |
5. 둘러보기
비례대표 제17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열린우리당 23석 | |||||||
장향숙 | <colbgcolor=#419639> | 홍창선 | <colbgcolor=#419639> | 김명자 | <colbgcolor=#606060> | | ||
이경숙 | 박찬석 | 홍미영 | 조성태 | |||||
박영선 | 정의용 | 김현미 | 박명광 | |||||
김영주 | 조성래 | 강혜숙 | | |||||
이은영 | 민병두 | 윤원호 | | |||||
유승희 | 장복심 | 김재홍 | 서혜석 | |||||
신명 | 김영대 | |||||||
한나라당 21석 | ||||||||
김애실 | | 박찬숙 | 윤건영 | |||||
| 황진하 | 전여옥 | 정화원 | |||||
이계경 | 박재완 | 나경원 | 이주호 | |||||
김영숙 | | 고경화 | 이군현 | |||||
진수희 | 배일도 | 안명옥 | 서상기 | |||||
박순자 | 이성구 | 문희 | ||||||
민주노동당 8석 | ||||||||
| | 이영순 | 천영세 | |||||
최순영 | 강기갑 | 현애자 | | |||||
새천년민주당 4석 | ||||||||
손봉숙 | 김종인 | 이승희 | | |||||
김송자 | ||||||||
◀ 16대 18대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