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표의 20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고영표/선수 경력/2024년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 kt wiz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 고영표 · 13 문용익 · 17 이채호 · 20 김태오 · 21 우규민 · 26 김민수 · 29 전용주 · 30 소형준 · 32 쿠에바스 · 33 박세진 · 37 이상동 · 38 주권 · 41 손동현 · 43 벤자민 · 45 이태규 · 51 이정현 · 54 조이현 · 59 한차현 · 60 박영현 · 61 이선우 · 63 원상현 · 64 육청명 · 66 이종혁 · 68 지명성 · 93 한지웅 · 95 성재헌 · 98 김주완 · 99 강건 · 101 이준명 · 106 최윤서 · 110 이근혁· 112 이승언 · 114 이현민 · 115 최용준 · # 오원석· # 최동환 · # 한승주 · # 김동현 · # 박건우· # 김재원 · # 박준혁 · # 윤상인 · # 장민호 |
최종 편집: 2024년 11월 19일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고영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고영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2021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 KBO 페어플레이상 역대 수상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d0ad67>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박진만 현대 유니콘스 |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 최기문 롯데 자이언츠 | 김기태 SK 와이번스 | 김태균 한화 이글스 | |
<rowcolor=#d0ad67>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이숭용 현대 유니콘스 | 윤석민 KIA 타이거즈 | 강봉규 삼성 라이온즈 | 양현종 KIA 타이거즈 | |
<rowcolor=#d0ad67>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
김선우 두산 베어스 | 박석민 삼성 라이온즈 | 박용택 LG 트윈스 | 손승락 넥센 히어로즈 | 차우찬 삼성 라이온즈 | |
<rowcolor=#d0ad67>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김재호 두산 베어스 | 유한준 kt wiz | 김광현 SK 와이번스 | 채은성 LG 트윈스 | 나성범 NC 다이노스 | |
<rowcolor=#d0ad67>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고영표 kt wiz | 이지영 키움 히어로즈 |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561> | KBO 리그 2021~2025 월간 MVP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21 시즌 | |||||
<rowcolor=#fff> 4월 | 5월 | 6월 | 7~8월 | 9월 | 10월 | |
원태인 삼성 라이온즈 |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소형준 kt wiz | 백정현 삼성 라이온즈 | 고영표 kt wiz | 미란다 두산 베어스 | |
2022 시즌 | ||||||
<rowcolor=#fff>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
한동희 롯데 자이언츠 | 소크라테스 KIA 타이거즈 |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이창진 KIA 타이거즈 | 양의지 NC 다이노스 |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
2023 시즌 | ||||||
<rowcolor=#fff>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
나균안 롯데 자이언츠 | 박동원 LG 트윈스 | 최정 SSG 랜더스 | 노시환 한화 이글스 | 쿠에바스 kt wiz | 페디 NC 다이노스 | |
2024 시즌 | ||||||
<rowcolor=#fff>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
김도영 KIA 타이거즈 | 곽빈 두산 베어스 | 김도영 KIA 타이거즈 | 강민호 삼성 라이온즈 | 오스틴 LG 트윈스 | 구자욱 삼성 라이온즈 | |
2023 리얼글러브 어워드 리얼글러브 선발 투수 |
2023 리얼글러브 어워드 베스트 배터리 |
2023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최고투수상 |
kt wiz 등번호 1번 | ||||
팀 창단 | → | <colbgcolor=#eb1c24><colcolor=#fff> 고영표 (2014) | → | 장성호 (2015) |
kt wiz 등번호 39번 | ||||
이준형 (2014) | → | 고영표 (2015) | → | 한승지 (2016~2017) |
kt wiz 등번호 1번 | ||||
장성호 (2015) | → | 고영표 (2016~2018) | → | 정성곤 (2019~2020) |
정성곤 (2019~2020) | → | 고영표 (2021~) | → | 현역 |
A대표팀 참가 경력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 kt wiz No.1 | |||
고영표 高永表 | Ko Young-pyo | |||
출생 | 1991년 9월 16일 ([age(1991-09-16)]세) | ||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광이리[1]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광주대성초 - 광주동성중 - 화순고[2] - 동국대[3] | ||
신체 | 187cm | 88kg | AB형 | 300mm | ||
포지션 | 선발 투수 | ||
투타 | 우사우타[4] | ||
프로 입단 | 2014년 2차 1라운드 (전체 10번, kt) | ||
소속팀 | kt wiz (2014~) | ||
병역 | 사회복무요원 소집해제 (2019년 1월 24일~2020년 11월 23일) | ||
계약 | 2024 - 2028 / 107억 원[계약내용] | ||
연봉 | 2024 / 20억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 ||
등장곡 | Nickelback - 《Burn It to the Ground》 | ||
| |||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가족 | 아버지 고남연, 형 고장혁 아내(2021년 12월 11일 결혼) 아들 고차민(2022년 11월 2일생) | |
MBTI | ESTJ | ||
종교 | 불교[6] | ||
소속사 | 리코스포츠에이전시[7] | }}}}}}}}} | |
| | |
[clearfix]
1. 개요
kt wiz 소속 우완 사이드암 선발 투수.2. 선수 경력
고영표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고영표/선수 경력 |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1년 | 2023년 | 2024년 |
아마추어 시절 |
3. 플레이 스타일
KBO 리그를 대표하는 최고의 사이드암 선발 투수.고영표를 리그 최정상급 토종 선발로 만든 구종은 바로 체인지업이다. 2023 시즌 체인지업의 낮은 피안타율(0.164)과 피OPS(0.395)는 혀를 내두르게 할 정도.
군에서 제대한 2021 시즌부터 3시즌 연속 체인지업 구종 가치 부문에서 리그 1위[8]를 마크하고 있어 리그에서 체인지업을 가장 잘 구사하는 선수로 항상 언급되는 선수이다.
주무기인 체인지업, 타자는 김민식, 이명기, 최정민 |
커브볼, 타자는 다린 러프 |
패스트볼[9]. 타자는 민병헌 |
고영표의 체인지업이 유독 특별한 이유는 속구와 체인지업이 투수의 손에서 빠져 나와서 피치 터널을 지날 때, 팔 스윙의 차이가 거의 없어 타자는 고영표의 속구와 체인지업을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나, 고영표의 체인지업은 커브에 버금갈 정도로 떨어지는 각이 크기 때문에 헛스윙 유도는 물론 땅볼 유도에 특화되어 있다.[10]
또한 투구할 때 손목을 2루 방향으로 틀어 던지기 때문에, 체인지업의 회전 수가 상대적으로 높고 무브먼트도 뛰어날 수밖에 없다.[11]
또한 언더/사이드암의 고질병인 좌상바 기질도 거의 없는 수준이다. 고영표가 구사하는 서클 체인지업의 위력이 상당하기 때문에 좌타자든 우타자든 비슷한 피안타율과 피OPS 지표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무브먼트가 큰 체인지업을 고영표는 스트라이크 존 밖에 많이 던지며, 본인의 다른 구종에 비해 많은 스윙을 유도하고, 그 중 헛스윙이 되는 비율도 높다. 이 체인지업 덕분에 고영표의 스트라이크 존 밖의 공은 리그 평균에 비해 10% 정도 더 많이 스윙을 이끌어내며, 이는 고영표가 얻는 볼 판정을 줄이게 해 고영표가 스트라이크 존에 공을 무작정 꽂아넣는 투수가 아니면서도 매우 높은 스트라이크 비율를 가지는 데에 기여한다.
다만 체인지업을 제외한 구종은 시즌마다 편차는 있지만 평이한 수준으로, 스윙시 컨택률이 높은 편이다. 컨택되었을 때의 타구도 안타가 되는 경우가 많아서, 고영표의 BABIP는 0.343으로 300이닝 투구자 중 8번째로 높다.
고영표의 기록 중 가장 특이하고 뛰어난 점은 꾸준히 높은 스트라이크 비율이다. 고영표는 50이닝 이상 투구한 선수 중 17, 18년에는 스트라이크 비율 2위, 21, 22, 23, 24년에는 4년 연속 스트라이크 비율 1위를 기록했다. 스트라이크 비율이 높은 만큼 볼넷을 잘 내주지 않아 2024년 기준 300이닝 이상 투구한 선수 중 BB%, BB/9, K/BB가 각각 3.7%, 1.43, 5.29로 KBO 통산 1위이다. 또한, 높은 스트라이크 비율을 통해 빠르게 타자를 잡아내어, 21, 22, 23년 50이닝 이상 투구한 선수 중 이닝당 투구수 1위를 기록했고, 다른 시즌에도 상위권에 속한다.
적은 볼넷과 대조적으로 몸에 맞는 볼이 많은 편[12]에 속한다. 2017 시즌은 아예 볼넷(16개)보다 몸에 맞는 공(18개)이 많았을 정도이다. 또한 구속도 빠른 편이 아니라 일단 공이 몰리면 피홈런 허용율이 높다. 본인 말로는 사사구를 주는 걸 정말 싫어하기 때문에 몸 쪽 빠른 공을 깊숙히 던지질 못해서 그런 것 같다고 한다.[13][14] 또한, SSG의 박종훈처럼 도루 허용이 잦다는 것도 약점이다.[15][16]
종합하자면, 매우 큰 무브먼트를 가진 체인지업을 바탕으로 스트라이크 존 밖의 공에 스윙을 하도록 유도, 타자와의 볼카운트 승부를 유리하게 가져가며 투구수를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닝을 최대한 많이 끌어가는 스타일이다. 즉 현대야구에서 요구하는 선발의 덕목을 모두 갖춘 선수라고 할 수 있다.
4. 여담
- 어린 시절 형인 고장혁이 먼저 야구를 시작했고 형을 따라다니면서 공을 올려주면서 야구에 관심이 생겼다고 한다. 부모님께 야구를 시켜달라고 했으나 어리다는 이유로 안 시켜주셨고 초등학교 3학년이 되기 전 겨울방학에 야구를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 투수를 하게 된 계기는 어린 시절 마르고 키도 작아서 초등학교 3학년 때 감독님의 권유로 언더투수로 던지게 되었다고 한다. 그때부터 투수가 되고 싶었다고 한다.
- 고등학교 1학년 때까지 170cm도 되지 않았고 야구를 포기하려고 했으나 감독님과 코치님들이 야구를 하지 말고 신장을 키우라고 했다고 한다. 고 1때는 야구를 거의 안하다시피 했다. 야수로서는 기회가 줄면서 언더투수를 본격적으로 하게 되었다고 한다.
- 고등학교 1학년 때 야구를 거의 쉬다시피 하면서 고등학교 2학년 때 10cm가 컸고 대학교 가서도 키가 컸다고 한다.
- 본인이 생각하는 언더투수로서의 장점은 더러운 무브먼트라고 한다.
- KT 입단부터 등번호 1번을 사용하며 번호에 애착을 갖고 있는 모습이다. 전역 후 인터뷰에서 "군대에 갈 때 1번을 뺏기지 않을까 생각했다. 구단에서 다녀오면 1번 달게 해줄 테니 걱정하지 말고 다녀오라고 했다."고 밝혔다. 생애 첫 태극마크를 달았던 도쿄 올림픽에서도 1번을 사용했다.
- 2020 도쿄 올림픽을 통해 같이 엔트리에 발탁된 이의리와 매우 친하다. 추석에는 이의리가 고영표에게 고기를 보냈다.[17]
- SSG 랜더스에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추신수가 SSG 랜더스와의 1년 계약을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가장 상대하기 까다로웠다는 투수로 꼽았다.[18] 또한 서동민은 2021 시즌 중 타자로 나온 고영표에게 볼넷을 내주며 은퇴 후까지도 '고영표에게 볼넷 준 투수'로 불리고 있다. 2024년에도 벤저민 프랭클린의 발언에서 따온 세금, 죽음, 그리고 고영표 라는 기사 워딩까지 나올 정도다.
- 2021년 12월 11일 결혼식을 올렸다. 그리고 2022년 11월 2일 득남했다. #
- 2022 시즌 스프링캠프~시범경기 기간에 잠시 수염을 기르고 나타난 적이 있다. 마운드 위에서 세보이고 싶어서 기르고 나온 건데, 정작 반응이 좋지 않자 고영표 본인도 스트레스를 받았으며 이후에는 면도를 꾸준히 하는 것으로 보인다.
- 키움 히어로즈에서 뛰었던 야시엘 푸이그에게 매우 약했는데 통산 맞대결 성적이 무려 9타수 7안타(1홈런)로 피안타율이 .778였다. 그리고 2022년 준플레이오프 3차전에서도 선발로 나와 1회에 푸이그에게 3점 홈런을 허용하며 다시 한번 약한 모습을 보였고 조기 강판을 당하며 팀도 패배하고 말았다.
- 롯데 자이언츠에 굉장히 강한 모습을 보였다. 2017년까지는 상대 전적이 평범했지만 2018년부터 롯데 상대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2018년~23년까지의 롯데전 통산 성적이 91이닝 13실점 ERA 1.29., WHIP 0.84으로 상당히 좋다. 그러나 ABS가 도입되고 롯데 타선이 좌타 일색으로 바뀐 2024년[19]에는 3경기 ERA 11.05, 피안타율 0.446, 피OPS 1.112으로 롯데에게 강했던 투수가 맞나 싶을 정도로 바뀌면서 로나쌩의 이미지는 점점 옅어지고 있다.[20]
-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도 매우 강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래서 2023년 올스타전에서 철웅이가 고영표를 공격하였다.[21]
- 아들 고차민의 인스타그램을 직접 운영한다. 아들의 사진을 매일 올리는데, 아기가 아빠를 닮아 잘생겼고 매우 귀엽다.
- 승수는 크게 의식하지 않지만, QS(퀄리티 스타트)기록은 항상 의식하고 있다고 한다. 그 이유로 감독님 입장에서 불펜 운용을 할 때 계산이 서고, 중간 투수에게 가해지는 체력적인 부담이 덜하다는 것이다.[22]
- 힙합 듀오 y2k92의 지빈이 사촌동생이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투수 (11) | 포수 (2) | 내야수 (7) | 외야수 (4) | |
1 고영표 | 11 조상우 | 25 양의지 | 2 오지환 | 17 박해민 | |
15 김진욱 | 18 원태인 | 47 강민호 | 3 김혜성 | 22 김현수 | |
19 고우석 | 21 오승환 | 10 황재균 | 37 박건우 | ||
23 차우찬 | 32 박세웅 | 13 허경민 | 51 이정후 | ||
48 이의리 | 55 김민우 | 44 오재일 | |||
61 최원준 | 50 강백호 | ||||
53 최주환 | }}}}}}}}} |
[1] 출처[2] 광주동성고에서 전학[3] 체육교육과 10학번[4] 고영표만의 덮어 던지는 체인지업 팔 각도 때문에 높은 언더핸드 투수라고 볼 수 있지만 실질적인 사이드암 투수이다. # 5분 35초에 고영표 피칭을 슬로우 옆에서 보여주니 각자 판단하자. 다만 이강철 감독은 고영표를 언더핸드 투수라고 말을 하고, 구단 홈페이지에도 우언우타로 나온다.[계약내용] 보장액 95억 원 / 옵션 12억 원.[6] 팔에 염주를 착용하고, 글러브에도 불교 관련 문구가 적혀 있다. 우연인지 영향인지는 모르겠으나 불교 재단의 학교 동국대학교를 졸업했다.[7] 에이전시 & 선수 매니지먼트.[8] 2021 시즌 19.9(1위), 2022 시즌 22.3(1위), 2023 시즌 23.6(1위)[9] 151km/h의 구속은 스피드건 오류일 가능성이 높다. 당시 문자 중계 상 저 공은 약 138km/h의 포심으로 기록되었으며, 고영표의 18시즌 평균 구속 역시 약 135km/h로 빠른 편이 아니기 때문이다.[10] 실제로 스탯티즈 기준 2023년 고영표의 땅볼/뜬공 비율은 1.51로 에릭 페디, 데이비드 뷰캐넌에 이어 전체 3위를 기록했다. 심지어 이 시즌을 제외하고 고영표의 땅볼/뜬공 비율은 평균 1 후반대를 기록했다.[11] 물론 손목을 틀어 던진다는 것 자체가 특별한 것은 아니다. 선수마다 차이는 있으나 투구나 송구시에 강하게 채서 던지다보면 어느 정도 내회전을 자연스럽게 하게된다. 다만 고영표의 경우 이 정도가 매우 강한 편 이라는 것.[12] 사실 이건 고영표뿐 아니라 모든 잠수함 투수들의 숙명이다. 포심 투구의 회전 방향 특성상 테일링 무브번트가 우타자 몸쪽으로 들어오게 되며 사이드 암의 경우 팔의 내회전 특상상 투구할 때 채는 힘이 조금만 빠지면 그대로 우타자의 몸으로 직격하기 때문. 반대로 릴리스 타이밍이 늦으면 좌타자의 몸으로 직격한다. 오버핸드 투수가 손목 힘이 빠지면 나로호를 발사하고, 릴리스 타이밍이 늦으면 땅바닥으로 쳐박히는 것과는 상반되는 점이다. 주자가 없을 때 폭투를 저지르는 건 그냥 볼 한 개지만 사구는 얄짤없이 주자 출루며, 심하면 퇴장까지 당할 수도 있다.[13] 팟캐스트 '뭐니볼' 2017년 12월 17일 방송에 나와서 직접 한 말이다.[14] 2021 시즌 후반기에 들어서는 몸 쪽 공략을 하는 모습이 보이기 시작했다. 이순철 위원에 따르면 국가대표에서 양의지와 배터리 조합 당시에 양의지가 고영표에게 몸 쪽을 많이 요구했다고 한다. 고영표도 몸 쪽으로 던지다 보니 제구가 잡혔다는 이야기가 있다.[15] 이 역시 투구시 몸을 크게 젖히고 던져야 하는 사이드암의 태생적인 한계 때문이다. 대신, 주자를 견제하고 묶어두는 능력이 좋아서 어느정도는 상쇄되는 편이다.[16] 사실 이 약점이 두드러지는 이유는 주전 포수 장성우와 백업 포수 김준태의 도루 저지 능력이 리그 최하위권일 정도로 처참해서 그렇다.[17] 이의리의 부모님은 고깃집을 운영한다.[18] 실제로 추신수는 고영표를 상대로 2021 시즌 7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19] 심지어 팔꿈치 부상에서 돌아온 경기도 이강철 감독이 롯데전을 선택했는데, 그 경기도 초장부터 5연속 안타를 맞는등 털리면서 패전투수가 되었다.[20] ABS로 인해 사이드암은 특히나 불리해졌다만 SSG와 KIA한테는 여전히 강한 면모를 드러낸 걸 보면, 롯데 타선의 변화가 주 원인으로 파악된다[21] 철웅이는 2022년 올스타전에서도 고영표와 마찬가지로 두산에게 강했던 소형준을 공격했다.[22] 고영표가 본격적으로 자리잡기 시작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QS는 61회 기록, QS+은 39회 기록했다(둘 다 리그 1위). 같은 기간 QS+ 2위가 26개인 데이비드 뷰캐넌.[23] 체육특기자들은 원칙적으로 체육 관련 학과에만 진학이 가능하다. 선수들 역시 이를 선호하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