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00:55:01

홍창기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홍창기의 2025년 시즌}}}에 대한 내용은 [[홍창기/선수 경력/2025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홍창기/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홍창기/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홍창기의 2025년 시즌: }}}[[홍창기/선수 경력/2025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홍창기/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홍창기/선수 경력/2025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2025 시즌 외야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군
'''3 최원영 · 8 문성주 · 14 송찬의 · 17 박해민 [[주장|
C
]]
· 22 김현수 · 51 홍창기'''
2군
15 안익훈 · 24 함창건 · 60 서영준 · 62 최승민
· 64 박관우 · 66 김현종 · 108 심규빈
최종 편집: 2025년 4월 9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홍창기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c30452> 파일:홍창기 실루엣2.png 홍창기
관련 문서
Hong Chang Ki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아마추어 시절
프로 경력
파일:LG 트윈스 엠블럼(2006~2014).svg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LG TWINS
2016년 · 경찰 야구단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rowcolor=#ffffff> 2024년 프리미어 12
파일:질롱 코리아 엠블럼.svg 질롱 코리아
GEELONG KOREA
2019-20 시즌
기타
박신홍문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164d> 파일:질롱 코리아 엠블럼.svg질롱 코리아
2019-20 시즌 엔트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1164d><colcolor=#FFF> 투수 1 이인복# · 11 장국헌 · 14 정태승 · 17 허민혁
18 김인범 · 21 신효승 · 30 이찬석# · 32 박정배
38 노경은# · 51 박종무 · 55 양기현 · 60 호키#
98 휴즈# · 99 박주홍
포수 12 박재욱 · 22 주성원 · 47 배현호
내야수 2 배지환# · 5 김민수 · 6 김대륙# · 7 백승현
16 김주형 · 36 전병우# · 95 그린할즈# · 98 우드#
외야수 '''1 강로한 · 9 홍창기 · 25 이재원 · 33 허일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34 임지열 · 52 고승민# · 53 송우현# · 62 추재현'''
''' 파일:호주 국기.svg 그램 로이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경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완'''
# 중도 이탈 선수 }}}}}}}}}

홍창기의 역대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LG 트윈스 우승 엠블럼 V3.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23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로고.svgKBO 골든글러브
외야수 부문 수상자
(202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0ad67> 2020 2021
로하스
kt wiz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김현수
LG 트윈스
구자욱
삼성 라이온즈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홍창기
LG 트윈스
<rowcolor=#d0ad67> 2022 2023
피렐라
삼성 라이온즈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나성범
KIA 타이거즈
구자욱
삼성 라이온즈
박건우
NC 다이노스
홍창기
LG 트윈스
<rowcolor=#d0ad67> 2024 2025
구자욱
삼성 라이온즈
레이예스
롯데 자이언츠
로하스
kt wiz
}}}}}}}}}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출루율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백인천
MBC 청룡 / 0.497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475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424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467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436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461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0.459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 0.409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 0.432
장효조
롯데 자이언츠 / 0.452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 0.461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436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0.452
장종훈
한화 이글스 / 0.424
홍현우
해태 타이거즈 / 0.453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 0.453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450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0.458
장성호
해태 타이거즈 / 0.436
호세
롯데 자이언츠 / 0.503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장성호
KIA 타이거즈 / 0.445
심정수
현대 유니콘스 / 0.478
브룸바
현대 유니콘스 / 0.468
김재현
SK 와이번스 / 0.445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445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김동주
두산 베어스 / 0.457
김현수
두산 베어스 / 0.454
페타지니
LG 트윈스 / 0.468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444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433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김태균
한화 이글스 / 0.474
김태균
한화 이글스 / 0.444
김태균
한화 이글스 / 0.463
테임즈
NC 다이노스 / 0.497
김태균
한화 이글스 / 0.475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최형우
KIA 타이거즈 / 0.450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0.457
양의지
NC 다이노스 / 0.438
박석민
NC 다이노스 / 0.436
홍창기
LG 트윈스 / 0.456
<rowcolor=#fff> 2022 2023 2024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0.421
홍창기
LG 트윈스 / 0.444
홍창기
LG 트윈스 / 0.447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득점 1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55득점
백인천
MBC 청룡 / 55득점
이해창
MBC 청룡 / 65득점
이해창
MBC 청룡 / 62득점
홍문종
해태 타이거즈 / 62득점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67득점
김재박
MBC 청룡 / 67득점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이광은
MBC 청룡 / 67득점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81득점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93득점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 91득점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91득점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106득점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85개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113득점
전준호
롯데 자이언츠 / 93득점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94득점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112득점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00타점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28타점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09타점
이병규
LG 트윈스 / 107타점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23타점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15타점
이종범
KIA 타이거즈 / 100득점
박용택
LG 트윈스 / 90득점
데이비스
한화 이글스 / 90득점
박한이
삼성 라이온즈 / 89득점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고영민
두산 베어스 / 89득점
이종욱
두산 베어스 / 89득점
정근우
SK 와이번스 / 98득점
최희섭
KIA 타이거즈 / 98득점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99득점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97득점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이용규
KIA 타이거즈 / 86득점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91득점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135득점
테임즈
NC 다이노스 / 130득점
정근우
한화 이글스 / 121득점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버나디나
KIA 타이거즈 / 118득점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118득점
김하성
키움 히어로즈 / 112득점
로하스
kt wiz / 116득점
구자욱
삼성 라이온즈 / 107득점
<rowcolor=#fff> 2022 2023 2024
피렐라
삼성 라이온즈 / 102득점
홍창기
LG 트윈스 / 109득점
김도영
KIA 타이거즈 / 143득점
* 득점왕은 2000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시상식 로고.svgKBO 수비상
우익수 부문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ba628> 2023 2024 2025 2026 2027
홍창기
LG 트윈스
홍창기
LG 트윈스
}}}}}}}}}

파일:리얼글러브 어워드 로고.png 2022, 2023 마구마구 리얼글러브 어워드 리얼글러브 외야수

파일:리얼글러브 어워드 로고.png 2024 컴투스프로야구 리얼글러브 어워드 리얼글러브 외야수

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
2017 KBO 퓨처스 북부리그 타격왕

보유 기록
0.430 통산 최고 출루율[1]
}}} ||
홍창기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LG 트윈스 등번호 108번
류형우
(2015)
<colbgcolor=#000><colcolor=#fff> 홍창기
(2016~2016. 8. 8.)
류형우
(2017~2018)
LG 트윈스 등번호 57번
최민창
(2015)
홍창기
(2016. 8. 9.~2016)
오상엽
(2017)
LG 트윈스 등번호 00번
백승현
(2017)
홍창기
(2018)
구본혁
(2019)
LG 트윈스 등번호 24번
임훈
(2015. 7. 24.~2018)
홍창기
(2019)
이재원
(2020)
질롱 코리아 등번호 9번
장민도
(2018-19)
홍창기
(2019-20)
이병규
(2022-23)
LG 트윈스 등번호 51번
임지섭
(2019)
홍창기
(2020~)
현역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2024 프리미어 12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0022E,#ddd> 투수 0 곽도규 · 1 고영표 · 19 조병현 · 28 최승용
29 임찬규 · 30 소형준 · 39 최지민 · 44 김서현
47 곽빈 · 50 이영하 · 54 유영찬 · 60 박영현
62 정해영 · 63 김택연
포수 25 김형준 · 27 박동원
내야수 2 박성한 · 4 신민재 · 5 김도영 · 7 김주원
10 문보경 · 17 나승엽 · 24 송성문 [[주장|
C
]] · 33 김휘집
외야수 16 최원준 · 41 이주형 · 51 홍창기 · 91 윤동희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류지현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8 장종훈
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2 김재걸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최기문
QC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5 이진영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현욱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파일:홍창기 2025 프로필.png
<colbgcolor=#c30452><colcolor=#fff> LG 트윈스 No.51
홍창기
洪昌基 | Hong Chang-Ki
출생 1993년 11월 21일 ([age(1993-11-21)]세)
경기도 성남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대일초[2] - 매송중 - 안산공고 - 건국대[3]
신체 189cm | 94kg
포지션 우익수[4], 중견수
투타 우투좌타
프로 입단 2016년 2차 3라운드 (전체 27번, LG)
소속팀 LG 트윈스 (2016~)
질롱 코리아 (2019/20)
국가대표
[ 펼치기 · 접기 ]
WBSC 프리미어 12 1회 (2024)
병역 경찰 야구단
(2016년 12월 8일~2018년 9월 7일)
연봉 2025 / 6억 5,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Panic! At The Disco - 〈Victorious〉
응원가 홍경민 - 자작곡 (2020~)[]홍창기 안타 안타날려 홍창기~ 홍창기 안타 날려버려라~ 홍창기 안타 안타날려 홍창기~ 무적 LG의 승리를 위해~×2][6][율동]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30452><colcolor=#fff> 가족 <colcolor=#373a3c,#ddd>부모님, 여동생(2001년생), 반려견 레오
MBTI ISFP
차량 BMW X5
본관 남양 홍씨[8]
소속사 MVP스포츠
후원사 미즈노[9]
}}}}}}}}} ||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LG 트윈스 소속 우투좌타 외야수. 포지션은 우익수.

LG 트윈스를 넘어 2020년대 KBO를 대표하는 선수로, 엄청난 선구안과 컨택 능력을 바탕으로 현재 LG 트윈스 최고의 스타 플레이어 중 한 명이자 리그를 호령하는 외야수로 활약 중이다.[10]

2. 선수 경력

홍창기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홍창기/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6년 경찰 야구단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파일:ABL 로고.svg
2019-20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2024년 프리미어 12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홍창기/플레이 스타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홍창기/플레이 스타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홍창기/플레이 스타일#|]][[홍창기/플레이 스타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파일:조수행홍창기.gif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c30452> 파일:홍창기 실루엣2.png 홍창기
관련 문서
Hong Chang Ki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아마추어 시절
프로 경력
파일:LG 트윈스 엠블럼(2006~2014).svg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LG TWINS
2016년 · 경찰 야구단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rowcolor=#ffffff> 2024년 프리미어 12
파일:질롱 코리아 엠블럼.svg 질롱 코리아
GEELONG KOREA
2019-20 시즌
기타
박신홍문 플레이 스타일
}}}}}}}}} ||



[1] 3000타석 이상 기준[2] 최정과 동문, 최항과는 매송중때까지 동창이다.[3] 글로컬캠퍼스 생활체육학과 12학번[4] 외야 전 포지션을 맡을 수 있으며 주전으로 도약한 2020~21 시즌에는 코너 외야 자원이 많은 팀 사정상 주로 중견수로 출장했다. 2022 시즌에는 박해민이 FA로 LG에 합류함에 따라 우익수로 이동했다가, 2023 시즌에는 좌익수도 같이 맡고 있다. 하지만 역시 강한 어깨를 살릴 수 있는 우익수가 홍창기에겐 가장 적합한 포지션이다. #[] [6] 홍경민이 출시한 응원가들은 전체적으로 혹평을 받는 편이지만 이 응원가만큼은 꽤 괜찮다고 평가받는다. 실제로 그중 2024년 현재까지 살아남은 유일한 응원가이다. 발랄하지만 중독성 있다는 평이 주를 이룬다. 참고로 노래방에서도 부를 수 있다. 여담으로 노래방에 프로야구 선수 응원가가 등록 된 것은 홍창기가 최초이며, 등록 4일 만에 5만 번 이상 불리며 그 인기를 입증하고 있다고 한다. (TJ 47812) #[율동] 양 팔꿈치를 들고 어깨를 펴는 동작 4번(오른쪽부터 좌우 2번씩)-9시 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양 주먹을 감아 돌리면서 한 바퀴 돌리기[8] 남양 홍씨 당홍계 36세손 基(기) 항렬. 대부분의 '기'자 돌림 홍씨는 다 36대손이라 보면 된다. 37대손인 홍진호가 홍창기의 아들뻘이다.[9] 미즈노 코리아 후원[10] 20~24 5시즌간 SWAR가 26.63으로, 양의지에 이은 2위이며 2021년2023년 외야수 골든글러브를 차지했다.[11] 둘 다 "우투좌타 51번 외야수"이다. 그리고, 건대도 서울캠이 아닌 충주캠 출신이다.[12] 현재 윤형준으로 개명.[13] 문상훈은 180cm 130kg의 거구이다.[14] 악마창기, 출루의 악마. LG 팬뿐만 아니라 타 팀 팬들도 홍창기를 극찬하는 의미에서 자주 이렇게 부른다. 같은 팀의 이지강 역시 엘튜브에서 홍창기를 이 별명으로 부른 적이 있다.[15] 이병규는 대표적인 좀 나쁜 공도 쳐서 안타를 만들어 출루하는 스타일로서, 대표적인 배드볼 히터이다.[16] 참고로 꽃게 껍데기에는 타우린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타우린은 망막을 구성하는 중요 요소이다. 박카스에도 이 타우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고양이는 이 타우린이 건강, 특히 시력의 중요 요소일 정도이다. 그래서 홍창기의 눈야구 비결이 꽃게 껍데기라는 드립이 성행하고 있다.[17] 2018년에 김현수가 LG로 이적해 같은 팀에서 뛰게 되어 성공한 덕후가 되었다.[18] 반대로 팀 선배인 김용의, 박해민, 팀 후배인 문보경, 신민재, 정우영은 투구와 필기만 오른손으로 하는 왼손잡이 우투좌타이다.[19] 김윤식이 하루에 인사를 200번씩 하는데, 나중에는 자신이 먼저 "어 그래" 라고 선수를 친다고 한다.[20] 1위는 당연히 이병규. 물론 격차는 아직 넘사벽으로 난다.[21] 최동환은 트윈스 타자들을 전부 만나기 싫다고 몰표를 줘버렸다.[22] 다만 허도환은 그냥 빨리 치게 해서 내보내면 그만이라며 동의하지 않았다.[23] 참고로 해원이 홍창기 응원가를 알고 있는 이유는 워크돌 촬영을 하며 치어리더 알바잠실 LG 트윈스 치어리더단에 합류했을 때 배웠기 때문이라고 한다. 아쉽게도 해원이 촬영하기로 한 날은 어린이날 당일이었는데(시구도 예정되어 있었다.) 하필 경기가 우천 취소되어 치어리더로 직접 야구팬들과 만나지는 못했다.[24] 현재 LG팬들로서는 믿기 힘들다는 반응이 많다. 웃음이 정말 많고 얌전한 성격이기에…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