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08:07:28

김택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김택연의 2024 시즌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김택연/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131230>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두산 베어스
2024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1 박치국 · 12 박정수 · 17 홍건희 · 19 김민규
29 이병헌 · 42 최지강 · 43 알칸타라 · 46 김명신
47 곽빈 · 59 최준호 · 61 최원준 · 62 김유성
63 김택연 · 65 정철원
<2군>
18 박소준 · 24 제환유 · 27 김강률 · 28 최승용
30 김정우 · 35 전형근 · 38 조제영 · 39 권휘
40 최종인 · 41 김동주 · 48 브랜든 · 49 박신지
50 이영하 · 55 이승진 · 56 김호준 · 64 이원재
69 백승우 · 94 남호 · 99 이교훈 · 100 문원
103 이상연 · 106 이주엽 · 107 남율 · 108 최세창
110 한충희 · 111 배창현 · 112 이민혁 · 113 박지호
115 김무빈 · 117 김태완 · 120 김도윤 · 121 장원호
2024년 4월 23일 경기 기준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김택연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131230>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두산 베어스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
(7명)
장호연
정선두
박종훈
이선웅
송일섭
정구선
한대화
(16명)
한오종
장훈
김성호
윤석환
김남수
기세봉
김수남
홍희섭
사인상
김영하
이광국
김광림
김명구
김진욱
배원영
오덕환
(11명)
김형석
김영신
이승희
윤수봉(1)
김문수(1)
이종융(1)
권광운(1)
천성호(1)
박상석
이종원(1)
도이석
(10명)
박노준
박형열
임채섭
이복근
조석진(1)
김희식(1)
김현찬(1)
정광식(1)
차재택(1)
박상익(1)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조재환
김경남
김태진(1)
이석재(1)
김원식
정삼룡
이진
김동현
김보선
임형석
김경원
황일권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손경수 추성건 류택현 송재용 최기문
(고졸)
김선우
박명환
한명윤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이경필
(고졸)
김덕용
김성환
최경훈
김동주
(고졸)
유재웅
윤상무
이경수
홍성흔
(고졸)
구자운
문상호 황규택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이재영 노경은 김재호 김명제 남윤희(1)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이용찬
임태훈
진야곱 성영훈 장민익(2) 최현진(2)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윤명준(2) 김인태(2) 한주성 남경호 이영하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최동현 곽빈 김대한 이주엽 안재석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이병헌 최준호(2) 김택연(2) (2) (2)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1차 지명 미시행 년도 (1라운드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마산용마고

강릉고

인천고

유신고

충암고
2023년

인천고
}}}}}}}}} ||

김택연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두산 베어스 등번호 63번
고봉재
(2023)
김택연
(2024~)
현역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2024 서울 시리즈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0022E,#ddd> 투수 1 문동주 · 4 박명근 · 11 조병현 · 15 황준서
18 원태인 · 21 이병헌 · 29 오원석 · 39 최지민
41 손동현 · 47 이의리 · 48 곽빈 · 53 신민혁
56 최준용 · 60 박영현 · 62 정해영 · 63 김택연
92 이로운
포수 22 김동헌 · 25 김형준 · 28 손성빈
내야수 2 문보경 · 3 김혜성 [[주장|
C
]] · 6 박성한 · 7 김주원
8 노시환 · 12 문현빈 · 13 이유찬 · 23 한태양
41 나승엽
외야수 9 김성윤 · 17 조세진 · 36 추재현 · 50 강백호
54 최지훈 · 91 윤동희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 류지현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5 장종훈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강성우
QC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윤진호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정민철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파일:김택연2024.png
<colbgcolor=#131230><colcolor=#ffffff> 두산 베어스 No.63
김택연
Kim Taek-Yeon
출생 2005년 6월 3일 ([age(2005-06-03)]세)
인천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동막초[1] - 상인천중 - 인천고
신체 182cm[2] | 88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24년 1라운드 (전체 2번, 두산)
소속팀 두산 베어스 (2024~)
연봉 2024 / 3,000만 원
등장곡
[ 이전 등장곡 보기 ]
Dok2 - 《It's me》 (Feat. 주영)[3]
Fort Minor - 《Remember the Name》
MBTI ISFP
파일:두산 베어스 홈 심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
4.1. 김택연에 대한 언사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두산 베어스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김택연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김택연/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4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2023년 (U-18)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colbgcolor=#131230><colcolor=#FFFFFF>
파일:김택연 직구.gif
최고 153km/h가 찍힌 포심 패스트볼[4]
파일:김택연 슬라.gif
130km/h대 초중반의 슬라이더[5]주무기이자 결정구이다.]
파일:커브 김택연.gif
120km/h대 초반의 커브[6]

최고 153km/h, 평균 140km/h대 중반의 포심 패스트볼이 주무기인 우완 강속구 투수이다. 구속도 빠른 편이지만 눈에 보이는 구속보다 뛰어난 구위를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회전수가 평균 2300RPM, 최고 2400RPM으로 리그 평균 이상의 회전수를 가지고 있으며, 수직 무브먼트도 10 이하가 나올 정도로 뛰어난 구위를 가지고 있다.[7] 구속을 140km/h 초반 정도로 완급조절을 할 때도 여전히 강력한 구위를 보여준다. 컴패리즌으로는 고교 시절의 고우석박영현이 언급된다.

변화구로는 130km/h대 초중반의 슬라이더와 120km/h대 초반의 커브를 구사하며, 주무기인 슬라이더는 떨어지는 각이 예리해서 프로에서도 통할 것이라고 평가받는다. 재미난 사실은 인천고 1학년 재학 시절은 뻣뻣한 손가락 때문에 변화구를 못던졌었다. 2학년 시절 우연하게 아는형의 추천으로 너클 커브 및 슬라이더를 익히며 만개하기 시작했다. 익스텐션[8]이 길고 그 익스텐션에 맞춰 힘을 전달하는 감각이 타고났단 평가를 받는다.

고등학교 3학년 시절 64⅓이닝 동안 97K 10사사구라는 인상적인 볼삼비와 함께 0.66에 불과하는 WHIP를 기록하면서 안정적인 제구력을 보여줬다. K/9는 13.56으로 고교 최상위권의 삼진 비율을 기록하면서 뛰어난 구위까지 갖추고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볼 끝에 힘이 있고 공의 무브먼트도 뛰어나서 정타를 잘 허용하지 않는다. kt wiz에 소속되어 있는 박영현의 고교 시절과 흡사하다는 평가가 많다. 고교 시절 박영현에 비해 변화구 완성도는 조금 떨어지지만 직구의 구위는 한 수 위라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파일:김택연투구폼.gif
김택연의 투구폼

또한 100구가 넘어가도 140km/h대 중후반의 패스트볼을 던지는 모습을 보여줄 정도의 스태미너를 갖추고 있고, 수직 무브먼트, 경기 운영 능력, 멘탈리티 모두 당해 드래프티 중 최고란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장점 덕택에 투수치고는 다소 작은 키, 직구와 슬라이더 위주의 투 피치 투수란 단점에도 불구하고 최소 2순위 지명이 확실시 될 정도이다. 전상일 기자는 빠른 구속과 뛰어난 제구력을 갖춘 모습을 통해 김택연에게 즉전감 불펜이라는 고교 선수한테 있어선 드문 평가를 내렸고관련 영상, 이승엽 감독 또한 고교선수 답지 않은 안정감을 가지고 있단 호평을 내렸다. 윤희상 역시 매우 유연한 신체와 자연스러운 투구폼으로 인해 빠른 직구의 힘이 배가 된다는 평가를 내렸다.

또 하나의 장점으로 투구와 투구 사이의 간격이 짧고 탬포가 빠르다는 점이다. 강속구를 던지면서 동시에 타자가 자신의 타이밍을 쉽게 가져가지 못하도록 하는 빠른 투구를 통해 타자와의 타이밍 싸움에서 앞서 나간다.

4. 여담

4.1. 김택연에 대한 언사

항상 기대하던 대로 해줘서 너무 고맙다.
계기범 출처
한국야구를 대표하는 마무리 투수로 키워야 할 대형 자원이다. 기본적으로 완성형 투수, 즉시 전력감이다. 공을 찍어 누르는 게 타고났다.
김선우 출처
빠르면 2~3년안에 두산의 스토퍼로 성장할 것.
김태룡 출처
공의 회전도 좋고, 구력도 좋아보인다. 변화구도 괜찮다. 공 스피드 역시 훌륭하다. 폼도 안정된 편이다. 고등학교 수준의 선수치고는 아주 좋아보인다.
김성근 출처
지금껏 본 신인들과는 달리 완성되어 있다는 느낌이 든다.
홍건희 출처
레벨이 다르다. 자신감도 넘치고 신인에게서 나올 수 없는 직구를 가지고 있다.
곽빈 출처
체력, 템포, 제구력 모두 좋아서 선발과 구원 어느 위치에서나 잘할 수 있는 투수.
이승엽 출처
갓 고교를 졸업한 선수 같지 않다. 자기 공을 오승환 형처럼 그냥 자신 있게 꽂아넣는 게 보인다.
최근 본 신인 중 최고 투수가 아닌가 싶다. 앞으로 기회가 되면 더 큰 무대까지 갈 수 있을 것 같다

양의지 출처
직구라는 것을 알고 풀스윙을 돌리는데 공이 안맞는다.
전미르 출처
이제 졸업했나? 정말인가?
야마카와 호타카[15][16] 출처
홈플레이트 부근에서 치고 들어오는 힘이 좋다.
토요다 키요시[17] 출처
어린 우완 투수가 한 명 있었다. 이름은 기억나지 않지만 제임스 아웃맨을 상대로 멋진 투구를 했다.
아웃먼이 삼진을 당하고 들어온 후 스트라이크존 높은 쪽에 공이 들어왔는데 91마일 공이 95~96마일 공처럼 보였다고 했다.
좋은 어깨를 가진 투수였다. 팔을 잘 썼다.

데이브 로버츠[18] 출처

5. 관련 문서



[1] 초등학교 5학년 때 야구부에 들어가기 위해 야구부가 있는 동막초로 전학하였다. 관련영상[2] 프로필 상 184cm로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 키는 181~182cm를 오간다고 본인이 썸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3] 소프트뱅크와의 교류전에서부터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김승회의 현역 시절 등장곡과 같다.[4] 최고 153km/h, 평균 140km/h대 중반의 위력적인 페스트볼을 구사한다.[5] 세컨드 피치로 사용하는 구종으로 김택연의[6] 써드 피치로 사용하는 구종으로 카운트를 잡을 때 종종 사용하며 구사 비율이 낮은 편이다.[7] 서울 시리즈 당시 김택연의 직구 수직 무브먼트는 서번트 기준 9가 나왔는데, 평균적인 수직 무브먼트가 16이니 김택연의 직구는 보통 투수보다 공 한두개는 덜 떨어진다는 얘기다. 그렇기 때문에 김택연의 직구는 구속에 비해 원래 공이 들어와야 할 위치보다 덜 떨어져서 상대적으로 높게 들어오고 마지막에 공이 휘기에 정타를 맞추기도 어렵다. 이런 식으로 구속 대비 수직 무브먼트가 뛰어나서 구위가 좋다고 평가받는 선수는 대표적으로 우에하라 고지가 있다.[8] 투구를 할 때 릴리즈 포인트를 앞으로 끌고 나오는 정도를 이른다. 익스텐션이 길수록 공을 앞에서 '때리는' 것이기에 공의 위력이 배가되며, 타자의 타이밍을 빼앗기 용이하다.[9] 실제로 아직 데뷔하기도 전이지만 팬들의 DM에 꼬박꼬박 답장도 해준다고 한다.[10] 드래프트 당시 스카우트들도 워크에씩과 인성이 정말 돋보인다는 평을 남겼다.[11] 현재는 taekyeon_63[12] 손이 파르르 떨리는 게 카메라에 잡혔으며 함성 소리 자체도 커서 주심이 바로 옆에 있던 서동욱의 목소리도 알아듣지 못 할 정도였다.[13] 간혹 팬들은 최준호 대신 같은 팀 선배 포수인 윤준호와 엮어서 부르기도 한다. 두PM 배터리[14] 그러나 생각 외로 경쟁력을 보여주는 김택연의 모습으로 인해 구단과 감독도 첫 시즌 마무리 투수 고정에 대한 고민을 조금씩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스프링캠프에서도 팀 불펜을 통틀어 가장 위력적인 공을 뿌렸다.[15] 소프트뱅크 호크스 내야수[16] 두산 베어스와의 연습 경기에서 김택연에게 파울 플라이 아웃을 당한 후 인터뷰에서 김택연이 고졸 루키라는 사실을 알자 놀란 반응을 보였다.[17]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1군 투수코치[18] LA 다저스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