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16:38:32

최지광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최지광의 20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최지광/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이호성 · 3 최원태 · 4 육선엽 · 11 최지광
· 15 이상민 · 17 김대우 · 18 원태인 · 19 양현
· 20 이승현 · 21 오승환 · 26 이재익 · 27 김태훈
· 28 이승민 · 29 백정현 · 37 최하늘 · 41 권현우
· 42 양창섭 · 43 레예스 · 44 김대호 · 45 임창민
· 46 송은범 · 48 김무신 · 51 최충연 · 54 최성훈
· 55 배찬승 · 57 이승현 · 59 이재희 · 61 황동재
· 62 김재윤 · 65 홍원표 · 75 후라도 · 101 박주혁
· 102 유병선 · 109 최예한 · 110 신경민 · 112 홍준영
· 113 박준용 · 114 천겸 · 115 진희성 · 119 김유현
· 120 김백산 · 122 김성경 · 123 김동현 · 128 우승완
· 148 정민성 · # 박시원
최종 편집: 2025년 1월 16일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1군 엔트리등록 선수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최지광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1번
오승환
(2005~2013)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최지광
(2017)
오승환
(2019~)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9번
황선도
(2016~2017)
최지광
(2018)
임대한
(2019)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40번
안규현
(2017~2018)
최지광
(2019~2021)
신정환
(2022~2023)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6번
이원석
(2018~2023.4.26.)
최지광
(2023.6.13.~2023)
류지혁
(2024~)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40번
신정환
(2022~2023)
최지광
(2024)
함수호
(2025~)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1번
홍정우
(2021~2024)
최지광
(2025~)
현역
}}} ||
파일:24 최지광3.jpg
<colbgcolor=#074ca1><colcolor=#fff> 삼성 라이온즈 No.11
최지광
崔池光 | Choi Ji-Gwang
출생 1998년 3월 13일 ([age(1998-03-13)]세)
부산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감천초 - 대신중 - 부산고
신체 173cm[1], 80kg
포지션 중간 계투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7년 2차 1라운드 (전체 9번,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17~)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1년 12월 13일~2023년 6월 12일)
연봉 2025 / 1억 7,000만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세븐틴 - 박수 (2024~)
[ 이전 등장곡 보기 ]
Fall Out Boy - 《Immortals》 (2023~)
phao, CM1X - 《Hai Phút Hơn》 (2021)[2]
소속사 유에이컴퍼니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흰색).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주요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우완 오버핸드 투수. 중간 계투를 맡고 있으며 140km 중반대에 육박하는 수준급의 고속 슬라이더를 주무기로 사용하는 뛰어난 잠재력을 가진 투수이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최지광/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군 복무 2023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colbgcolor=#074ca1><colcolor=#FFFFFF>
파일:지팡이 포심.gif
151km/h 포심 패스트볼
파일:지팡이 슬라.gif
142km/h 고속 슬라이더

키는 170cm 정도로 매우 작은 편이지만 최고 151km/h의 패스트볼과 최고 144km/h의 고속 슬라이더를 뿌리는 전형적인 파워피처.[3]

구위는 좋은 편이지만 제구력이 상당히 좋지 못한데, 위기 상황이 아니어도 제구가 날리는 경우가 있으며 BB/9 또한 3점대 이하를 기록한 시즌이 한 번도 없을 정도로 좋지 못한 편이다. 하지만 구위가 매우 좋아 탈삼진이 많은 편이다.

최지광의 통산 기록을 살펴보면 그날 그날의 기복이 심한 투수로,[4] 이를 증명하듯 컨디션이 좋은 날과 좋지 못한 날의 투구폼이 격차가 크다. 밸런스가 좋은 날에는 독도킥을 갈기며 활처럼 휘어지는 유연한 투구폼을 보이지만, 제구가 영 좋지 못한 날에는 몸이 뻣뻣한 느낌을 많이 받는다.

4. 연도별 주요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최지광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17 삼성 11 0 2 0 0 25 6.48 28 2 22 1 23 2.00 121.82 0.15
2018 6 0 0 0 0 8⅔ 11.42 11 0 7 0 7 2.08 203.09 -0.13
2019 63 3 8 2 10 68 4.10 64 4 40 5 60 1.53 90.34 1.20
2020 51 1 3 0 15 44⅓ 4.87 34 2 31 3 45 1.47 95.46 0.87
2021 60 7 1 0 14 51⅓ 4.91 53 5 27 2 49 1.56 105.21 0.52
2022 군 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3 22 2 0 0 1 17⅓ 5.19 17 4 9 1 18 1.50 121.25 -0.13
2024 35 3 2 0 7 36⅓ 2.23 22 1 21 4 38 1.18 42.82 1.63
KBO 통산
(6시즌)
248 16 16 2 47 251 4.70 229 18 157 16 240 1.54 96.57 4.12

5. 여담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장태수 구영석(1) 김운영(1) 미지명 강대호(1)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이현택 고장량(1) 박용준 김우현 윤용하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동봉철 박충식 김한수 김영진 박태순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변대수 김수관 권오준 김주찬 김덕윤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조동찬 강명구 윤성환 오승환 차우찬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백정현 최원제 박민규 임진우 심창민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이현동 정현 안규현 장필준 김승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최지광 양창섭 이학주 허윤동 이재희
2022년
김영웅 이호성 육선엽 배찬승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


[1] KBO 홈페이지 기준. 이는 착화신장으로 실제 키는 168~170cm 정도다.[2] 제로투 댄스의 그 곡이다. 신나는 노래를 찾다가 이 노래를 발견해서 선택했다고. 원래는 시즌 초에는 이무진 '누구없소'였다.[3] 큰 키를 가진 투수가 당연히 빠른 공을 던지는 데는 유리하지만, 타고난 재능과 노력이 합쳐져 최지광처럼 작은 키로도 파이어볼러 소리를 듣는 투수들도 꽤 있다.[4] 실제로 최지광이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일 때는 첫 타자를 상대할 때부터 제구가 날리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5] 2m 정도인데, 이는 외국인 더스틴 니퍼트 등을 제외하면 거의 없다.[6] 약 168~170cm.[7] 라식 수술의 효과가 미미한 것인지는 몰라도 사석에서는 가끔씩 안경을 쓸 때도 있다.[8] 2021년 5월 8일, 아웃카운트를 잡지 못하는 동안 안타 세개를 맞아 3실점, 평균자책점 99.99를 기록하며 속꽉남 타이틀까지 닮아버렸다.[9] 지는 날에는 따로 가고 이기는 날에만 같이 퇴근한다고 한다.[10] 키요타는 2년 전 불륜이 발각되어 논란이 된 적이 있었는데, 이 시기에도 불륜을 몰래 이어가고 있다는 점이 약 3년 후에 밝혀졌다. 세 번이나 불륜 문제를 터트렸고, 은퇴도 불륜 문제로 인해 팀에서 시즌 중 방출을 해버려서 강제로 은퇴당했던, 여자 문제 하나로 팀을 제대로 괴롭혔던 선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