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12:58:21

김영진(야구)

김영진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0번
이용철
(1993~1994)
김영진
(1995~1997)
강동우
(1998~1999)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2번
이태일
(1990~1997)
김영진
(1998~2001. 4. 27.)
바에르가
(2001. 7. 19.~2001)
{{{#ffffff [[한화 이글스|한화 이글스]] 등번호 22번}}}
심광호
(1996~1999)
김영진
(2001. 4. 28.~2001)
심광호
(2002~2008. 4. 4.)
}}} ||
파일:삼성_김영진.jpg
김영진
金榮振 | Kim Yeong-Jin
출생 1972년 4월 9일 ([age(1972-04-09)]세)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청원정보고 - 동국대
포지션 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95년 2차 1라운드 (전체 5번,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1995~2001)
한화 이글스 (2001)

1. 개요2. 선수 경력
2.1. 1997년 8월 23일 낫아웃 사건2.2. 낫아웃 사건 후 여파2.3. 여담
3. 연도별 성적4. 관련 문서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 소속의 야구 선수.

KBO 리그 역사상 최악의 포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현역 시절 여러 사건사고와 극도로 부진한 성적으로 팬덤에게 매우 나쁜 인상을 남겼다. 삼성 라이온즈 버전 나종덕으로 평가되기도 한다.[1] 동대문상고[2]동국대학교를 졸업했다.

나균안의 케이스를 봤을 때 어깨가 강하다는 점을 살려 투수 전향을 고려했으면 어땠을까하는 불운한 선수. 실제로 현역 시절에도 포수 수비 센스나 타격은 처참하지만, 어깨는 나쁘지 않다는 말이 많았다.[3]

2. 선수 경력

1990년대 중반의 삼성 라이온즈는 호쾌한 타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약했던 마운드가 문제였는데, 김상엽, 박충식, 김태한 정도가 간신히 지탱하는 상황이라 1994년 이후에는 계속 가을에 경산 볼파크에서 마무리 훈련만 하는 실정이었다.

마운드 외에 포수진 또한 문제였다. 원년부터 함께 해온 이만수가 체력 등의 문제로 주전 포수로 출전하기 힘들게 되자, 1988년 최동원김시진 트레이드 때 같이 온 김성현이나 1993년 시즌 중 빙그레 이글스이상목을 주고 데려온 박선일 등이 포수로 돌아가면서 출전하는 상황이었다. 그나마 남아 있던 박선일김성현마저 각각 방출과 트레이드1996년을 마지막으로 팀을 떠났다.

덕분에 1997년부터 김영진이 주전으로 포수 마스크를 쓰게 되었는데, 어깨나 블로킹은 쓸 만했지만, 단 한 번도 타율이 1할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통산 타율 1할 5푼[4][5] [6][7]에 극악의 투수 리드 등으로 상대 팀 팬들마저 측은지심을 들게 할 정도였다.

전병호가 사인문제로 백인천과 마찰을 빚을 때 사인을 잘못 읽었던 포수가 바로 김영진이며, 이 일로 백인천이 화를 이기지 못해 뇌출혈로 쓰러져 조창수 코치가 감독대행을 맡았다. 그해 준플레이오프에서 삼성은 악재에도 불구하고 김성근이 이끄는 쌍방울 레이더스를 꺾고 플레이오프에서 LG 트윈스에 안타깝게 져 고배를 마셨는데 사실 2연패 뒤 2연승을 기록했고, 5차전에서도 6회까지 2-0으로 앞서 리버스 스윕을 눈앞에 두고 있었는데, 김영진이 포일을 시전한 것을 시작으로 폭풍 7실점(...)하면서 역전패하면서 2승 3패가 된 것이었다. 이렇듯이 삼성의 부침에는 항상 그가 있었다.

통산 sWAR이 -3.60으로 역대 KBO에서 뛰었던 타자들 중 이상호, 김연훈의 뒤를 이은 뒤에서 3등, 통산 공격 WAR은 -5.12로 압도적 꼴찌이다. 42년 KBO 역사 상 통산 sWAR이 -3 이하인 타자는 6명에 불과하고, 통산 공격 WAR이 -5 이하인 선수는 김영진 한 명 뿐이다.

김영진의 성적을 다른 선수와 비교하자면, 2024시즌 커리어하이를 기록한 구자욱의 공격 WAR이 5.61이다. 김영진의 통산 성적은 24시즌 구자욱의 팀 기여도만큼이나 팀에 마이너스 요인이었던 셈이다. 또한 김영진의 통산 성적은 팬들에게 온갖 욕을 먹던 2022시즌 김헌곤의 sWAR(-2.45)보다도 더 낮다. 2010년대 후반 들어 김영진과 자주 비교되곤 하는 포수 시절 나균안의 통산 sWAR이 겨우 -2.81에 불과한 것을 봤을 때 김영진의 성적이 얼마나 심각한 지 알 수 있다.[8] 정리하면 현역 시절 김영진은 오로지 야구를 못한다는 이유만으로 사생활과 워크에식 측면에서 문제를 일으킨 나균안만큼 욕을 먹는 선수였다.

2.1. 1997년 8월 23일 낫아웃 사건

무엇보다 김영진이라는 이름이 야구 팬들의 기억 속에 깊이 남게 한 사건은, 1997년 8월 23일, 김성근 감독이 이끄는 쌍방울 레이더스와의 대구 DH 1차전에서 일어났다.



파일:김영진1.jpg
4:1로 삼성이 이기고 있던 9회초 쌍방울의 공격 2사 주자 1, 2루 상황에서 대타로 타석에 들어온 장재중이 볼 카운트 2-1[9]에서 원 바운드 볼을 헛스윙했다. 투수 김태한이 던진 원 바운드 볼을 타자가 힘차게(?) 휘둘렀지만 맞지 않고 그대로 포수 미트로 들어가서 김동앙 주심은 삼진을 선언했고, 동시에 김영진은 관중석으로 공을 던져 버렸다.

야구 규정상, 2아웃일 때 2S에서 원 바운드 볼을 헛쳤을 때는 타자한테 스트라이크가 주어져서 삼진 처리되지만, 아웃되지 않는다. 병살 유도를 방지하기 위해 1루에 주자가 있을 경우 낫 아웃 조건이 되더라도 낫 아웃이 적용되지 않지만, 2아웃일 때는 병살이 필요없기 때문에 1루에 주자가 있어도 낫 아웃이 될 수 있다. 그래서 포수가 타자 주자를 태그하거나 공을 1루로 보내야 아웃 처리되는데….

당시 삼성의 사령탑이던 백인천 감독이 덕아웃을 뛰쳐나오며 1루로 공을 던지라는 제스처를 취했지만, 이미 공은 관중석으로…. 셀프 포일 그리고 덕아웃으로 들어오던 장재중은 쌍방울 주루코치와 선수단의 외침에 황급히 1루로 달려갔다.

심판진은 경기 종료를 선언한 후 3루 측 본부석까지 이동했고 당시 중계 방송사인 SBS는 엔딩 자막을 냈으며 KBO 홈페이지에는 승패 투수까지 띄워둔 상황이었다.

김성근 감독은 본부석으로 들어가는 심판진 앞을 막아서서 강력히 항의했고 일단 주심은 김성근 감독을 퇴장 조치했다. 4심 합의 후 오심을 인정하고, 야구 규칙에 의거하여 김영진이 장재중을 아웃시키지 않고 그냥 관중석으로 공을 던져서 볼데드를 만들어 버렸기 때문에 악송구에 대한 안전 진루권을 부여, 타자와 주자를 모두 2루씩 진루시킨 후 경기를 재개했다(4:2 2사 2, 3루). 이후 최태원의 2타점 동점 적시타 등에 힘입어 쌍방울은 4:1로 진 경기를 4:6으로 역전승했다.

물론 백인천 감독도 김영진에게 1루로 공을 던지라고 덕아웃에서 소리를 질렀지만 경기가 끝났다는 안도감에 도취된 김영진은 감독의 지시를 듣지 못하고 이런 일을 저질렀다. 백인천 감독의 혈압을 왕창 올리는데 일조한 셈.

여담으로 이 해프닝은 2010년 이후로 나올 수가 없게 되었다. 2010년 KBO의 룰 개정에서 낫 아웃의 타자주자 아웃 시점을 기존 타자가 덕아웃으로 들어가는 시점에서 타자가 타석 주변 흙으로 이뤄진 서클을 벗어나는 시점으로[10] 변경했기 때문. 이는 2009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룰 개정을 그대로 따른 것으로 2010년 이후의 룰에 따른다면 타자 장재중은 타석 주변 서클을 벗어났기 때문에 자동으로 아웃 처리된다.

2.2. 낫아웃 사건 후 여파

김영진의 낫아웃 사건에 충격과 분통을 터뜨린 삼성 라이온즈는 이후 많은 돈을 들여 동시에 여기저기서 포수들을 미친듯이 수집했다.[11] 1998년 해태의 정회열, 1999년 시즌 중에는 두산의 진갑용을 현금 트레이드까지 하면서 데려오는 데 이어 2000년에는 FA 시장에서 김동수까지 질렀다. 결국 이 분노의 영입 속에 2000년 김영진은 주전 자리를 완전히 뺏겨 그 해 1군에 올라오지 못했고, 2001년 4월 27일 내야수 김승권을 상대로 외야수 조정권과 함께 한화 이글스에 트레이드되었다. 그 해 1군 7경기에 그친 뒤 시즌을 마치고 소리 없이 은퇴했다. 더 굴욕적이었던 건 98시즌 포수수비가 은퇴를 앞둔 외야수 노장인 이순철보다도 한참 형편없다는 혹평까지 받았다.[12]

2.3. 여담

사실 위의 모든 사실은 애교로 봐 줄 수 있는데, 바로 삼성 라이온즈가 1995 드래프트 때 투수 진필중을 대신해서 지명했던 선수가 김영진이었기 때문이었다. 진거김 그래도 변명거리가 있는 게, 대학 시절만 해도 김영진과 진필중은 넘사벽이었다. 김영진은 동국대 시절 4년 동안 줄곧 태릉선수촌 밥을 먹은 91학번 최고의 포수였지만, 진필중중앙대 4학년 당시 어깨 부상으로 인해 1승밖에 거두지 못했던 투수였다. 하지만 프로에 들어와서 위상이 완전히 바뀌고 말았다. 야만없이지만, 만약 진필중이 두산에서만큼 모습을 보이며 삼성에서 활약했다면 굳이 임창용양준혁+현금 20억을 쓰며 데려올 일도 없었다.[13] 게다가 진필중은 1995년 한국시리즈에서 6차전 승리투수가 되면서, 2승3패로 몰리는 상황에서 숨을 돌림과 동시에 OB가 패권을 가져갔으니, 그렇다면 롯데가 우승을 못한 건 2024년 현재 32년이 아니라 29년이 됐을 수도 있다 프로야구의 판도를 완전히 바꾼 드래프트였다고 볼 수 있다.

이문한 전 삼성 스카우트의 회고에 따르면, 자신은 진필중의 잠재력을 믿고서 2차지명 2라운드에서 뽑기로 진필중의 가족과 약속했는데, OB 측에서 이를 간파하고 2라운드에서 진필중을 뽑아서 허탈해했었다고 한다. 전성기가 지난 2003년 이후 먹튀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진필중임창용과 더불어 한국프로야구 최고의 마무리 투수로 군림했다. 더군다나 삼성이 두산에게 하극상을 당했던 2001년 한국시리즈에서 양 팀 투수들 중에서 유일하게 철벽으로 막았던 그를 생각하면 아쉬운 대목이다.[14][15]

3. 연도별 성적

역대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95 삼성 라이온즈 36 31 .161 5 0 0 0 3 4 0 4 .161 .250
1996 90 149 .134 20 4 0 0 6 9 1 8 .161 .178
1997 76 156 .167 26 4 3 3 14 17 0 19 .288 .257
1998 100 178 .180 32 10 0 0 8 8 0 14 .236 .240
1999 97 189 .138 26 4 0 2 13 8 0 11 .190 .185
2000 1군 기록 없음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2001 삼성 / 한화 7 11 .182 2 0 0 0 1 1 2 3 .182 .357
KBO 통산
(6시즌)
<rowcolor=#191919> 406 714 .155 111 22 3 5 45 47 3 59 .216 .220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장태수 구영석(1) 김운영(1) 미지명 강대호(1)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이현택 고장량(1) 박용준 김우현 윤용하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동봉철 박충식 김한수 김영진 박태순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변대수 김수관 권오준 김주찬 김덕윤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조동찬 강명구 윤성환 오승환 차우찬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백정현 최원제 박민규 임진우 심창민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이현동 정현 안규현 장필준 김승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최지광 양창섭 이학주 허윤동 이재희
2022년
김영웅 이호성 육선엽 배찬승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


[1] 포수 시절 나종덕과 성적이 매우 유사하다. 기대주 선수였으나, 프로에 올라온 이후 극도의 부진을 보인 것도 유사하다. 다만 나종덕의 경우, 나균안으로 개명하고 투수가 된 현재는 롯데 자이언츠의 1군 투수로 활약 중이었으나.. 2024년에 성적을 말아먹은데다 구설까지 일으키며 평판이 좋지 않다.[2] 청원정보산업고로 되어 있었는데, 이거는 1998년에 바꾼 교명이다. 2000년에 야구부를 청원고에 이관한 후 2003년에 청원여자고등학교로 전환.[3] 동시대에 어깨가 좋다는 이유로 포지션 변경에 성공해 투수로 안착한 권준헌의 사례가 있다. 훗날 김재윤 역시 포수였다가 투수로 포지션 변경해 선수생활을 길게 이어나갈 수 있었다.[4] 못 치니까 9번 타순에 기용되는 건 둘째치고, 나중에는 아예 타격 폼을 번트를 대는 듯한 폼으로 바꿨다. 어차피 못 치는 건 매한가지니까 영 안되면 번트라도 대라는 뜻에서 그렇게 치게 했다고.[5] 당시 이 타격폼을 이식한 감독이 백인천이었는데 롯데 시절의 행보로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지만 삼성 감독 시절까지만 해도 이승엽의 타격폼을 바꾸어 교타자 유망주였던 이승엽을 한국을 대표하는 거포로 육성하는 등 한국 내 손꼽히는 타격 지도자였다. 단순한 거포가 아니라 한국 내 타격은 정교함을 겸비한 완전체였고 좀 더 난이도가 높은 NBP에서 정교함보다 장타력으로 어필하는 타자가 되었다.[6] 김영진의 경우 배트스피드가 느리다보니 일단 투수가 던지는 공을 맞추고나 그 결과를 기대해보자는 심정으로 이 타격폼을 가르친게 본 뜻이고 그 폼이 너무 특이해서 주변에서 하는 질문에 했던 농담이 와전되었을 수도 있다.[7] 이 선수가 94경기만 더 나갔다면, 염경엽을 능가하는 통산타율 최하위가 되었을 것이다. 김영진 통산타율이 1할 5푼, 염경엽은 그나마 나은 1할9푼5리.[8] 더군다나 나균안은 투수 전향 이후 단 2년 만에 포수 시절의 승리 기여도를 메꾸는 데 성공했다.[9] 그 당시에는 S-B-O 순서로 전광판에 표기했다. 2012년부터 미국처럼 B-S-O 순서로 표기한다.[10] 2010년 이후 KBO 리그 1군 야구장의 내야는 모두 타석과 홈플레이트 주변의 둥근 흙과 뒤편 파울 구역이 잔디로 확실히 구분돼 있다. 다만 1997년까지만 해도 타석 주변 구역과 파울 구역이 모두 흙으로 덮여있던 구장이 있었다. 낫아웃 사건이 일어난 대구구장은 인조잔디 구장이었기에 확실히 구분됐지만 광주 무등야구장, 인천 숭의야구장, 청주 야구장의 그라운드는 그렇지 않았다.[11] 다만 출전 경기 및 타석 수를 보면 당시 팀 내 젊은 포수 자원이 부족한데다 정회열의 경우 나이가 있어서 장기간 기용을 기대하기는 무리였던지라, 진갑용을 영입하기 전까지는 김영진이 주전 자리를 지켰다가 98년 후반기부턴 해태출신 최고참인 정회열에게 빼앗겼다. 그 정회열도 진갑용이 영입된 직후 도로 백업으로 밀려났다.[12] 이순철이 프로에서 포수를 본 게 삼성시절 이때가 딱 한 번인데 대구아재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때마침 팀도 이겼고.[13] 진필중은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에 임창용과 쌍벽을 다투는 최고의 마무리 투수였다.[14] 반대로 임창용은 두산의 우승이 결정된 6차전에 등판했음에도 불구하고 불을 질러 1997년 한국시리즈 당시의 씽씽투 모습은 전혀 찾아 볼 수 없었다.[15] 하지만 이 경기 패전투수일지라도 임창용을 비난하기는 힘든게 임창용은 직전 경기인 한국시리즈 5차전에 선발투수로 등판하여 시리즈 내 양팀투수들 중 유일한 선발승을 거두었으며 갈베스, 김진웅 모두 무너졌던 당시의 삼성의 투수진 중 더 믿을만한 투수가 없어서 등판했고 등판 자체가 무리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