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2025년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김형준(1999)/선수 경력/2025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형준(1999)/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형준(1999)/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2025년 활약상: }}}[[김형준(1999)/선수 경력/2025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형준(1999)/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형준(1999)/선수 경력/2025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NC 다이노스 2026 시즌 포수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 안중열 · 10 박세혁 · 25 김형준 · 42 김정호 · 102 박성재 · 103 김동현 · 117 신민우 · # 이희성 | ||
| 최종 편집: 2025년 10월 20일 |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응원단 |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 NC 다이노스 등번호 25번 | ||||
| 김성욱 (2023) | → | 김형준 (2024~) | → | 현역 |
| |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fff> NC 다이노스 No.25 | |||
| 김형준 金亨俊 | Kim Hyung-jun | |||
| 출생 | 1999년 11월 2일 ([age(1999-11-02)]세) | ||
| 서울특별시 송파구 | |||
| 국적 | | ||
| 학력 | 서울가동초 - 세광중[1] - 세광고 | ||
| 신체 | 190cm, 98kg, A형[2] | ||
| 포지션 | 포수 | ||
| 투타 | 우투우타 | ||
| 프로 입단 | 2018년 2차 1라운드 (전체 9번, NC) | ||
| 소속팀 | NC 다이노스 (2018~) | ||
| 병역 |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1년 3월 22일~2022년 9월 21일) | ||
| 연봉 | 2025 / 1억 1,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91919;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 ||
| 등장곡 | Zedd (feat. Jon Bellion) - 〈Beautiful Now〉 | ||
|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 |||
| 응원가 | 구단 자작곡[가사] | ||
| {{{#!folding [ 이전 응원가 보기 ] |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15288><colcolor=#ffffff> 소속사 | 리코스포츠에이전시 | |
| {{{#!folding [ 이전 소속사 보기 ] | |||
| 가족 | 부모님[4] 남동생 김승준[5] | ||
| MBTI | ISTJ | ||
| |
1. 개요
NC 다이노스 소속 포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대표팀 주전 포수로 발탁되어 팀이 금메달을 획득하는데 기여하였다.데뷔 시즌부터 인상적인 활약을 보이며 소속팀인 NC와 향후 강민호와 양의지의 뒤를 이어 국가대표팀을 이끌어갈 차세대 포수로 평가받고 있다.
2. 선수 경력
| 김형준의 선수 경력 | ||
| 통합 선수 경력: 김형준(1999)/선수 경력 | ||
| | ||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상무 야구단 | 2023년 | 2024년 |
| 2025년 | ||
| | ||
| 2023년 AG | 2023년 APBC | 2024년 프리미어 12 |
| 아마추어 시절 | ||
2.1. 통산 홈런 일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형준(1999)/통산 홈런 일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형준(1999)/통산 홈런 일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수상 경력
| | |
| KBO 수상 경력 | |
| 2025년 | KBO 수비상 (유격수 부문) |
| |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수상 경력 | |
| 2023년 |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6]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준우승 |
3. 플레이 스타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형준(1999)/플레이 스타일#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형준(1999)/플레이 스타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연도별 주요 성적
| |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sWAR |
| 2018 | NC | 60 | 89 | 13 | 1 | 0 | 0 | 6 | 2 | 0 | 7 | 32 | .160 | .236 | .173 | .409 | -1.3 | -0.87 |
| 2019 | 55 | 119 | 24 | 5 | 0 | 2 | 13 | 9 | 0 | 8 | 24 | .224 | .278 | .327 | .605 | 59.2 | 0.00 | |
| 2020 | 44 | 82 | 22 | 1 | 0 | 3 | 12 | 11 | 0 | 10 | 21 | .306 | .390 | .444 | .834 | 118.9 | 0.63 | |
| 2021 | 군 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 |||||||||||||||||
| 2022 | ||||||||||||||||||
| 2023 | 26 | 82 | 17 | 2 | 0 | 6 | 10 | 13 | 0 | 8 | 24 | .236 | .321 | .514 | .835 | 127.5 | 0.75 | |
| 2024 | 119 | 414 | 69 | 12 | 0 | 17 | 39 | 50 | 0 | 45 | 144 | .195 | .285 | .373 | .658 | 64.9 | 0.43 | |
| 2025 | 127 | 415 | 84 | 10 | 1 | 18 | 51 | 55 | 3 | 45 | 126 | .232 | .320 | .414 | .734 | 100.9 | 3.27 | |
| KBO 통산 (6시즌) | 431 | 1201 | 229 | 31 | 1 | 46 | 131 | 140 | 3 | 123 | 371 | .219 | .303 | .382 | .685 | 78.6 | 4.21 | |
5. 여담
5.1. 야구 관련
- NC에서 큰 기대를 걸고 있는 포수 유망주다. 2012년 11월 20인 외 특별 지명을 통해 김태군을 데려와 팀 주전 포수로 앉힌 뒤 당시 군 미필이었던 김태군의 후계자를 찾기 위해 NC 스카우트팀에서는 꾸준히 포수 유망주들을 최상위 순번에서 뽑아 왔는데[7][8] 2018 신인 2차 1라운드로 김형준을 뽑은 이후에는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았는지 몇 년간 상위라운드에서 포수를 뽑지 않았다. 양의지가 떠난 2023년 이후 NC의 센터라인 핵심이 되어 주어야만 하는 선수로, NC 감독 강인권이 양의지, 김태군, 박세혁 등을 키워 낸 배터리 코치로 유명한 포수 출신 감독이라 팬들 역시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
- 이른 나이에 와일드카드 결정전과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포함되어 두 번의 가을야구 만에 일찌감치 KBO 우승 반지를 획득했고, 생애 첫 성인 국가대표팀에서도 주전 포수로 활약하여 금메달을 목에 거는 등 커리어로서는 왕도를 걷고 있다.
- NC가 대놓고 경험치를 먹이면서 공을 들여 육성하고 있으며 국가대표 전력강화위원회에서도 강민호와 양의지를 이을 국가대표 포수 세대교체의 씨앗으로 김형준을 점찍으며 기대감을 드러낸 선수이기도 하다.
- 이만수 포수상 초대 수상자로 헐크파운데이션의 장학금 수혜를 입은 첫 선수다. 2023년 9월 이만수 이사장이 창원 NC 파크에 물품지원 협약 차 방문하여 시구 행사를 가졌고 김형준이 시포를 맡으면서 의미를 더했다.
[navertv(40075018, height=281)]
- 신인 시절 언급했던 본인이 생각하는 본인의 장점은 수비력과 도루 저지다.#
- 2019 시즌 최악의 포수난을 겪은 롯데 자이언츠의 주전 포수 나종덕과 자주 비교되었다. 둘 다 고교 시절 초고교급 포수라는 평가를 받았고 20대 초반의 비슷한 나이대이기 때문으로 기사 내용은 역시 양의지의 부상 공백 동안 빈자리를 잘 메워 준 김형준에 대한 호평 일색이었다.[9] 이후 투수로 전향한 나균안과 국가대표로 함께 출장해 금메달을 획득한 인연이 있다.[10]
- 2019년 인터뷰에 따르면 아직 본인의 색깔을 가지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그 이유는 색깔이 있는 것도 좋지만 기본기에 충실하는 게 중요하며 타격에서도 기본기를 중심으로 꾸준히 치려고 노력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팀 배터리 코치 용덕한에게도 기본기를 다지는 것에 주력하도록 코칭을 받았다.
- 양의지는 2019년 인터뷰에서 2년 차 신인 김형준이 베테랑 포수 선배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1군 백업 포수 역할을 맡고 있는 것에 무척 대견해 했다. 또다른 인터뷰에서는 어린 나이에도 잘하고 있으며 타격과 투수와의 수싸움 등을 좀 더 보완하면 좋은 선수가 될 거라고 호평해 주었다. 수비부분은 경기를 계속 나가다 보면 성장하는 모습이 보일 거라며 항상 조언해 주는데 김형준이 잘 안 물어 봐서 양의지가 "너 왜 안 물어 봐" 하면 김형준이 "죄송합니다" 라고 사과하곤 한다고 얘기했다.[11] 김형준에게 항상 더 과감하게 플레이하라고 많이 조언해준다고 한다.[12]
- 이후 둘은 2023년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양팀의 주전 포수로 맞대결을 펼치기도 했다. 경기 종료 직후 김형준은 동료들과 승리의 기쁨을 나눈 뒤 3루 두산측 더그아웃을 찾았는데, 양의지가 따뜻한 손길로 반겼다. 양의지는 김형준에게 자신의 배트 한 자루를 건네며 준플레이오프에서 잘하라는 마음을 함께 전했다.#
- 2025 KBO 올스타전 홈런 더비에서 김주원이 던진 배팅에 맞았다. 이는 홈런 더비 사상 최초로 몸에 맞는 공이 나온 사례이며 비공식이긴 하나 NC는 모든 팀에게 몸에 맞는 공이 나온 최초의 팀이 되었다. 2024 시즌부터 팀의 주전 자리를 차지하면서 팬들의 투표로 선발되는 올스타 홈런 레이스에 꾸준히 참가하고 있다.[13]
- 사인 미스에 민감한 편이라 솔직하게 감정을 표현하다 프로에 와서 곤욕을 치른 적이 있다. 강인권 NC 감독은 김형준에 대해 '세심한 성격'이라고 언급한 적이 있으며# 상무 동기 최준우에 의하면 과묵해 보이지만 장난기가 많고 착하며 행동이 귀엽고 외모에 대한 자부심도 있다고 한다.#
5.2. 야구 외
| 2023년 12월 스브스스포츠 <야구에 산다> 인터뷰 |
- 경기에 나서지 않을 때는 커다란 안경을 쓸 정도로 시력이 좋지 않았는데, 2022년 전반기에 스마일라식 시술을 받으면서[15] 안경을 벗었다.
- 이성적인 편이지만 의외로 눈물이 많아서 주변에서 자주 놀림받는다. 이에 대해 물어본 인터뷰에선 '화날 때 눈물이 나오는 것 같다'고 답했다.
- 과거 NC에서도 오래 뛰었던 박석민의 별명이 브콜돼, 퇘지 등이었던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NC 팬들은 김형준이 큰 덩치와 느린 발 때문에 추가진루를 하지 못할 때나 좋은 수비로 듬직한 모습을 보여줄 때 때지라고 애정을 담아 부르곤 한다.[17] 2025년 엔튜브가 열심히 놀리고 있다.
- 한국에서 천년돌로 불리는 하시모토 칸나와 비슷한 구도로 찍힌 사진 때문에 일부 NC 팬덤에서 '천년돼', '돼시모토 칸나' 등으로 불린다. 덩치가 커서 그런지 구단에서도 배틀크러쉬 콜라보 유니폼 홍보 모델로 고블린 캐릭터인 '롭스'와 김형준을 매칭하고, 엔튜브도 닮은꼴이라고 놀리고 있다.
- 이호준이 NC 4대 감독으로 선임된 직후 선수들에게 전화를 많이 받았는데 엔튜브와의 인터뷰에서 이호준이 콕 집어 "김형준이 아직 전화가 안 왔다. 넌 죽었다"며 너스레를 떨었다. 며칠 후 프리미어12 국가대표팀 소집 훈련으로 서울에 있던 김형준에게 기자들과 엔튜브가 이에 대해 직접 물어봤고 김형준은 "바쁘실 것 같아 취임식 마치신 후 전화를 드리려고 했다", "김주원도 전화를 안 했더라"며 여러 차례 해명했다.[18] 이호준은 감독 취임 후 첫 기자 회견에서 2024년 NC의 아쉬웠던 부분으로 김형준과 김주원의 타격 부진을 지목하며 안타까움을 표하기도 했는데 즉 이런 농담은 입담이 좋은 이호준 감독의 관심 표현 방식 중 하나인 것이다.
- 2025년 6월 13일 본인의 플레이어 데이에 남동생이 시구를 했는데 건장한 체격의 김형준과 달리 마른 체형에 상당히 잘생긴 외모로 커뮤니티상에서 큰 화제가 되었다.[19] 본인에게 동생의 인스타그램 아이디를 물어보는 팬들이 꽤 많았는지 인스타 스토리를 통해 동생은 인스타를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가 뒤늦게 동생의 인스타 계정의 존재를 알고 내용을 정정해 다시 올렸다.# 이후 엔튜브에 올라온 비하인드 영상을 통해 밝혀진 바로는 동생이 롯데월드에 놀러갔다가 캐스팅 제안을 받은 적이 있다고 한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형제가 함께 콜라보 유니폼 모델을 하기도 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 <colkeepall>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315288> | 관련 문서 김형준 Kim Hyung-jun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마추어 경력 | |
| 아마추어 시절 | ||
| 프로 경력 | ||
| | NC 다이노스 NC Dinos | |
| 2018년 · 2019년 · 2020년 · 상무 피닉스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국가대표 경력 | ||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 |
| 2022 AG · 2023 APBC · 2024 프리미어 12 | ||
| 평가 | ||
| 플레이 스타일 | 통산 홈런 일지 | |
| 기타 | ||
| 여담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315288> | NC 다이노스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 | ||
| <bgcolor=#af917b,#af917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박민우 | 장현식 | 배재환 | 구창모 | 정수민 |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 신진호 | 김형준 | 송명기 | 정구범 | 김주원 |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
| 이준혁 | 신영우 | 김휘건 | 지명권 양도 | 신재인 | |
|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철회 | |||||
| 김형준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준우승 |
| 2023 |
| 이만수 포수상 수상자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82132,#eeeee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000,#e5e5e5 | 이만수 포수상 제정 | 2017 | 2018 | 2019 | 2020 |
| 김형준 세광고 | 김도환 신일고 | 강현우 유신고 | 손성빈 장안고 | ||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 허인서 순천효천고 | 엄형찬 경기상업고 | 이상준 경기고 | 이율예 강릉고 | | |
| 이만수 홈런상 수상자 |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 |
| 2020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
| 2022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 KBO 수비상 포수 부문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dba628>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 양의지 두산 베어스 | 박동원 LG 트윈스 | 김형준 NC 다이노스 | }}}}}}}}} |
| NC 다이노스 등번호 12번 | ||||
| 김태우 (2017) | → | <colbgcolor=#af917b><colcolor=#00275a> 김형준 (2018) | → | 신진호 (2019) |
| NC 다이노스 등번호 22번 | ||||
| 이준평 (2016~2018) | → | 김형준 (2019~2020) | → | 이용찬 (2021~2024) |
| NC 다이노스 등번호 47번 | ||||
| 나성범 (2012~2021) | → | 김형준 (2023) | → | 전루건 (2024~) |
| A대표팀 참가 경력 | ||||||||||||||||||||||||||||||||||||||||||||||||||||||||||||||||||||||
| ||||||||||||||||||||||||||||||||||||||||||||||||||||||||||||||||||||||
[1] 휘문중에서 전학[2] 다음 프로필 기준[가사] 오~ 오오 NC 김형준 오오 오오오오~ 다이노스 승리를 위해~ NC 김형준~ 김! 형! 준! ×2[4] 2025년 플레이어데이 비하인드에서 그의 어머님이 모습을 비췄다. #[5] 인스타 계정, 2025년 시구, 시구 비하인드[6] 당초 2022년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중국 현지의 코로나19 사정 악화로 2023년 9월 23일로 개막이 연기되었다. 명칭은 그대로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이다.[7] 2014년 2차 2R 박대온, 2015년 2차 3R 송동욱, 2017년 2차 1R 신진호.[8] 2015 시즌 김태군이 포수로서 144경기 전 경기 출장이라는 말도 안 되는 기록을 세울 정도로 NC에는 (김태군을 제외하면) 1군 무대에서 활약할 만한 괜찮은 포수가 없었다. 따라서 계속 포수 전력 수집을 해 왔는데, 2015년 6월에는 트레이드를 통해 베테랑 포수 용덕한을 데려왔고 그가 2016 시즌을 끝으로 은퇴한 뒤 김태군이 경찰청 야구단에 입단하며 2년간 공백이 불가피해진 2018년 초까지도 포수 유망주들의 성장이 더디자 2018년 3월 정범모를 트레이드로 또 데려왔다. 그럼에도 시즌 팀 폭투 및 포일 1위라는 불명예를 기록하면서 팀이 최하위로 떨어지자 2019년 외국인 포수 크리스티안 베탄코트를 영입함과 동시에 4년 125억 원이라는 거금을 들여 양의지까지 모셔오기에 이른다. 김태군이 군 입대하고 주전 포수자리가 공백이었던 2018년 윤호솔을 주고 정범모를 데려오면서 구단 내에서도 학습한 바가 있는지, 2022년 신인 드래프트 직후 민동근 NC 스카우트 팀장이 인터뷰에서 "포수는 급하다고 그때 뽑으면 늦는다. 우리 팀은 이미 한번 그런 경험이 있다. 포수는 신인이 와서 할 수 있는 포지션이 절대 아니다. 빨리 키울 수도 없다. 무엇보다 트레이드 시에 출혈이 엄청나게 심하다. 미리 준비해야 한다." 라고 말한 적이 있다.#[9] [배지헌의 브러시백] '특급 유망주' 김형준과 나종덕의 엇갈린 출발, 무엇이 달랐나 "20살 믿기지 않아" 김형준 폭풍 성장, 포수 왕국된 NC[10] 다만 나균안의 선발 출장 경기인 태국전에선 김동헌이 주전 포수 마스크를 쓰면서 배터리 호흡을 맞추지는 않았다.[11] 이 얘기를 하면서 양의지도 예전에 홍성흔이 어려웠다고 말했고 열 살 넘게 차이나는 대선배다 보니 당연히 어려울 만하다고 진행자 박지영 아나운서도 거들어 주었다.[12] 양의지랑 친해지고 싶다고 늘 얘기하지만 12살 차이라 그런지 꼬박꼬박 선배님이라고 부르는 듯 하다. 헌데 10살 차이나는 김태군한테는 형이라고 부른다.[13] 2025년 비하인드 영상[14] [SW인터뷰] 김형준의 고백 "많이 아팠고, 이제 괜찮습니다" [SW릴레이] SSG 최준우가 NC 김형준에게 "다시 일어서자" [SW인터뷰] 삼성 이병헌이 NC 김형준에게 "곧, 멋지게 뛸 거야"[15] 구창모가 시술받으면서 NC 팬들 사이에서 유명해진 창원 파티마안과에서 받았다.[16] 데뷔 첫 4번 타자 출장 경기의 라인업지를 붙여놓았다.[17] 팬들에겐 듬직한 선수에 대한 애정과 장난이 섞인 애칭이고 비하의 의도는 전혀 없다지만, 만약 당사자가 원하지 않는다면 실례일 수도 있다. 굳이 따지자면 김형준은 그냥 덩치가 큰 것이지 최준석 같이 뚱뚱한 체형으로 언급되는 선수는 아니기 때문이다.[18] 2018년 데뷔한 김형준은 2017 시즌을 끝으로 은퇴한 이호준의 현역 선수 시절에는 함께 뛰지 못했으나 2020년 NC 타격 코치였던 이호준과 함께 우승 반지를 꼈다.[19] 이날 엔씨-기아전을 제외한 모든 경기가 우천 취소가 되었다 보니 자연스럽게 야구 팬들의 관심이 창원으로 쏠린 점도 있었다. 일각에서는 외모만 놓고 봤을 때 이날 선발 투수였던 신민혁과 더 형제 같다는 말이 많았을 정도다.# 사실 김형준 본인도 포수라는 포지션 때문에 거구를 유지하고 있는 것 치고 이목구비와 외모가 괜찮은 편이다.[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