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22:00:25

이율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2025 시즌 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8 현원회 · 12 박대온 · 20 조형우 · 24 김민식
· 25 신범수 · 32 이율예 · 59 이지영 · 61 김규민
최종 편집: 2025년 1월 13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SSG 랜더스 등번호 32번
신헌민
(2024)
이율예
(2025~)
현역
파일:이율예가고시마캠프.jpg
<colbgcolor=#ce0e2d><colcolor=#ffffff> SSG 랜더스 No.32
이율예
李律禮 | Lee Yul-ye
출생 2006년 11월 21일 ([age(2006-11-21)]세)
경상남도 마산시 회원구
(現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중리초(함안리틀) - 원동중 - 강릉고
신체 183cm | 95kg
포지션 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25년 1라운드 (전체 8번, SSG)
소속팀 SSG 랜더스 (2025~)
연봉 2025 / 3,000만 원
국가대표
[ 펼치기 · 접기 ]
WBSC U-18 야구 월드컵 1회 (2023)
BFA U-18 야구 선수권 대회 1회 (2024)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e0e2d><colcolor=#fff> 가족
<colbgcolor=#ce0e2d><colcolor=#fff> 부모 <colcolor=#373a3c,#ddd>아버지, 어머니
형제자매 남동생 이에녹[1]
종교 개신교[2]
MBTI ISFJ
}}}}}}}}}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수상 경력
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SSG 랜더스 소속 우투우타 포수.

2. 선수 경력

이율예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이율예/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5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2023년
(U-18)
2024년
(U-18)
아마추어 시절

2.1. 수상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

이율예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수상 경력
2023 2023 WBSC U-18 야구 월드컵 동메달
2024 2024 BFA U-18 야구 선수권 대회 동메달

이율예의 기타 수상 경력
2022 봉황대기 준우승 / 전국체육대회(19세 이하부) 준우승 / 주말리그 전반기 우승 / 주말리그 후반기 우승
2023 이마트배 우수포수상 / 이마트배 준우승 / 황금사자기 3위 / 전국체육대회(18세 이하부) 준우승 / 주말리그 전반기 우승 / 주말리그 후반기 우승
2024 주말리그 전반기 최우수선수상 / 황금사자기 3위 / 청룡기 3위 / 주말리그 전반기 우승 / 주말리그 후반기 준우승

3. 플레이 스타일

팝타임 최고 1.8초대, 평균 1.9에서 2.05초를 기록하며 프로에서도 최상급 팝타임을 보여주고 포구 후 넥스트 동작도 좋은 편으로 강릉고에서 포수 리드의 전권을 위임받을 정도로 수비력에서는 초고교급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만 타격에서는 140km/h 이상의 빠른 공에 대한 대처 능력이 떨어져 프로 1군 무대에서 통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평이지만 매해 가면 갈수록 타격 능력이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줬고 고등학교 3학년 시절에 장타력도 어느 정도 보여준 만큼 얼마나 다듬어서 발전하느냐가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4. 여담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2025 KBO 신인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2010~2024).svg
지명권 양도
NC 다이노스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2007~2024).svg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김희걸
조형식
김동건
제춘모
윤길현
박창근
정정호 윤희상 정근우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김성훈 이창욱 모창민 박현준 문광은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rowcolor=#ea002c> 서진용 문승원 이경재 박규민 조한욱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임석진 김성민 조성훈 김창평 전의산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조형우 신헌민 이로운 박지환 이율예
(1) 지명 후 미입단 }}}}}}}}}
이율예의 수상 경력
[ 펼치기 · 접기 ]
----
파일:hulk foundation_logo.png
이만수 포수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82132,#eeeee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000,#e5e5e5
이만수 포수상 제정 2017 2018 2019 2020
김형준
세광고
김도환
신일고
강현우
유신고
손성빈
장안고
2021 2022 2023 2024 2024
허인서
순천효천고
엄형찬
경기상업고
이상준
경기고
이율예
강릉고

이만수 홈런상 수상자
}}}}}}}}}}}}}}} ||

[1] 신인 드래프트 현장 스케치에서 남동생이 있으며 축구선수라고 밝혔다. #[2] 2025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SSG에 지명된 이후 "이 영광을 하나님께 올려드립니다."라고 말했다.[3] 2분 11초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