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5 00:50:11

박승규(야구선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2025 시즌 외야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준플레이오프 엔트리
'''5 구자욱 [[주장|
C
]] · 13 이성규 · 25 김태훈 · 32 김헌곤
· 39 김성윤 · 58 김지찬 · 63 홍현빈'''
2군
8 김재혁 · 31 윤정빈 · 40 함수호 · 64 김태근
· 66 박승규 · 104 주한울 · 105 강준서 · 107 김상민
· 117 이진용 · 127 강민성
최종 편집: 2025년 10월 8일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1군 엔트리등록 선수육성선수응원단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6번
박준용
(2024)
박승규
(2025. 5. 23.~)
현역
<nopad> 파일:2025 박승규 프로필.png
<colbgcolor=#074ca1><colcolor=#fff> 삼성 라이온즈 No.66
박승규
朴承奎 | Park Seung-kyu
출생 2000년 9월 2일 ([age(2000-09-02)]세)
서울특별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일산초[1] - 덕수중 - 경기고 - (대구대)[2]
신체 176cm[3], 78kg
포지션 외야수[4][5]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9년 2차 9라운드 (전체 82번,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19~)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3년 1월 16일~2024년 7월 15일)
연봉 2025 / 5,200만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Black Gryph0n & Baasik - 〈Insane〉 (2025~)
응원가 허니크루 - 구단 자작곡[가사]
소속사 팀퓨쳐스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흰색).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외야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박승규(야구선수)/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상무 야구단 2024년 2025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2023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타격포텐이 터지기 시작한 삼성의 외야 코어 유망주.

외야 전 포지션이 가능하며 빠른 발과 투수 출신다운 좋은 어깨 등 외야수로서 지녀야 할 덕목들이 출중하다. 가끔 의욕이 앞서 무리한 수비를 하다가 베이스를 추가로 내어주거나, 첫발 스타트가 늦었지만 빠른 발로 호수프레를 보여주는 경우도 빈번하다. 아직 젊은 선수 답게 포구 위치 포착 능력이 부족하여 호수프레도 실패하며 투수의 자책점을 먹이는 경우도 있다. # 그래도 경험이 더 쌓인다면 삼성의 차기 중견수로 손색없을 것이란 평가. 워크에식도 좋은 편.

주력도 빠른 편이다. 하지만 주루 센스가 좋은 편은 아닌 지라 통산 22번의 도루를 시도해 12번 성공하여 54.5%의 성공률을 보이고 있다.[7]

파워툴이 기대되는 선수는 아니었지만 1군 경기에서도 가끔씩 장타를 생산하며 은근한 갭파워를 보인다. 그러나 그의 발목을 붙잡고 있는 것은 컨택이다. 선구안 역시 아쉽다는 평을 받고 있다.

상무 시절 타격폼을 데릭 지터와 유사하게 바꿨는데 간결한 탭동작으로 전환해 변화구 타이밍을 보완하며 컨택이 좋아졌다.

종합적으로 사이즈는 아쉽지만 타격 능력이 상승한다면 훌륭한 외야수가 될 수 있는 재목이다. 아직까지의 모습은 백업으로서는 준수하지만 주전으로는 무리인 모습. 부상이 은근 많은 편이어서 항상 몸관리도 잘해야 될 선수이다. 현재는 타격이 발전하느냐에 따라 성장세가 크게 변동될 수 있다.

4.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박승규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WAR*
2019 삼성 14 23 4 0 0 0 2 2 1 2 7 .190 .261 .190 .451 28.5 0.05
2020 91 196 47 11 0 1 24 14 4 7 32 .258 .297 .335 .632 63.6 -0.12
2021 59 78 12 1 0 3 13 5 1 9 9 .182 .299 .333 .632 69.3 0.45
2022 62 83 16 2 0 0 10 4 2 3 15 .216 .244 .243 .487 24.6 0.09
2023 군 복무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4
KBO 통산
(4시즌)
226 380 79 14 0 4 49 25 8 21 63 .230 .284 .306 .590 55.9 0.47

5. 여담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박승규의 수상 경력 /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로고.svg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준우승
2023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18번
백승민
(2018~2018. 6. 18.)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박승규
(2019~2019. 8. 26.)
문용익
(2021~2021. 5. 19.)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8번
서주원
(2018~2019. 8. 12.)
박승규
(2019. 8. 27.~2019)
살라디노
(2020~2020. 7. 28.)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5번
구자욱
(2015~2019)
박승규
(2020~2022)
홍원표
(2023~)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07번
송은범
(2024. 7. 26.~2024. 7. 30.)
박승규
(2025~2025. 5. 22.)
김상민
(2025. 6. 18.~)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2023 APBC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0022E,#ddd> 투수 1 문동주 · 11 조병현 · 17 김영규 · 18 원태인
29 오원석 · 39 최지민 · 47 곽빈 · 48 이의리
53 신민혁 · 56 최준용 · 62 정해영 · 64 최승용
포수 22 김동헌 · 25 김형준 · 28 손성빈
내야수 3 김혜성 [[주장|
C
]] · 5 김도영 · 7 김주원 · 8 노시환
12 문현빈 · 33 김휘집 · 41 나승엽
외야수 9 김성윤 · 13 박승규 · 54 최지훈 · 91 윤동희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 류지현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5 장종훈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김동수
QC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이진영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현욱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1] 화곡초에서 전학[2] 프로데뷔 후 입학, 22학번[3] 원래 키는 176cm라고 한다. 프로필 키 178cm는 스파이크를 신고 잰 것이라고.[4] 원래는 투수였으나 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외야수를 시작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호수비를 보여주는 엄청난 재능의 소유자이다.[5]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 모두 가능하며 수비 능력 또한 매우 준수하다.[가사] 안타를 펑펑펑 오 날려라~ 최강 삼성 박승규~ 안타를 펑펑! 펑! 펑! 안타를 펑펑! 펑 박승규 예! ×2[7] 보통 성공률 70% 미만이면 팀에 손해를 준다고 본다.[8] 다만 박승규 본인은 우익수가 더 편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대형이나 전준호도 비슷한 이유로 이러한 테크를 탔다.[9] 본인 이름 해시태그도 팔로우하지 않은 와중에 김상수도 롤모델인지 박해민과 김상수의 이름 해시태그를 팔로우한 적도 있다. 어느 날 팬이나 기자가 찍은 박해민과 박승규가 찍힌 투샷을 배경화면으로 설정하고 증거물을 박해민에게 카톡으로 보냈는데 박해민의 반응은 미쳤냐면서 이젠 무섭다라는 반응을 보였다.[10] 여담으로 그 경기에서 삼성이 승리하여 박승규는 승리 요정이 됐다.[11] 다만 박승규 본인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한다. #[12] 궁디+하이에나[13] 이해승과 박승규는 일명 해승규라고 불린다.[14] 그럼에도 친한 건 여전하기 때문에 종종 굴비즈와 해승규 듀오가 같이 다닐 때도 있다.[15] 권오준은 고교 졸업 후인 1999년에 삼성의 지명을 받고 입단했는데, 2000년생인 박승규가 태어나기도 전에 프로팀 지명을 받아 입단한 셈이다. 둘의 나이차이는 무려 20살 차이다.[16] 부상으로 2군에 내려갔을 때 이원석이 형들에게 그만 좀 전화 돌리라고 할 정도.[17] 68, 65,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