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1 16:13:02

이성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이름을 사용하는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성규(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2024 시즌 외야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5 구자욱 [[주장|
C
]] · 13 이성규 · 32 김헌곤 · 39 김성윤
· 41 김현준
<2군>
8 김재혁 · 25 김태훈 · 31 윤정빈 · 38 김동엽
· 50 류승민 · 104 주한울
2024년 4월 21일 경기 기준'''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이성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퓨처스리그 로고 가로형.svgKBO 퓨처스리그
북부리그 홈런왕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2561>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김홍기
태평양 / 8개
길홍규
OB / 5개
김원근 외
4명(A)
5개
이전진 외
1명(B)
5개
이보형
OB / 8개
<rowcolor=#002561>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공의식
현대 / 14개
임노병
LG / 16개
안재만
LG / 12개
추성건
두산 / 12개
문희성
두산 / 14개
<rowcolor=#002561>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강병식
상무 / 9개
정원석
1명(C)
9개
장익현
상무 / 10개
김재구
상무 / 13개
최길성
LG / 13개
<rowcolor=#002561>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김상현
상무 / 23개
최형우
2명(D)
22개
박병호
1명(E)
24개
조영훈
경찰 / 24개
최주환
상무 / 24개
<rowcolor=#002561>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문선재
상무 / 21개
김회성
경찰 / 18개
최승준
LG / 19개
김사연
KT / 23개
한동민
상무 / 21개
<rowcolor=#002561>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이성곤
경찰 / 19개
윤대영
경찰 / 24개
이성규
경찰 / 31개
허정협
1명(F)
10개
이재원
LG / 13개
<rowcolor=#002561>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이재원
LG / 16개
김민혁
2명(G)
10개
홍성호
두산 / 15개
A: 김원근, 황대연(빙그레), 소상영(OB), 김성기(LG)
B: 이전진, 곽연수(OB)
C: 정원석(상무), 윤형국(SK)
D: 최형우, 곽용섭(경찰), 박석민(상무)
E: 박병호(상무), 조영훈(경찰)
F: 허정협(고양), 국해성(두산)
G: 김민혁, 홍성호(두산), 주성원(고양)
}}}}}}}}} ||


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
2018 KBO 퓨처스 북부리그 타점왕

파일:PLAYERS_CHOICE_AWARDS_LOGO_1.png2016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퓨처스리그 우수선수상(삼성)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9번
이영욱
(2015)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이성규
(2016)
강한울
(2017~2018)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3번
윤영수
(2016)
이성규
(2017)
윤정빈
(2018~2020.6.7.)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3번
맥과이어
(2019~2019.8.7.)
이성규
(2019.8.13.~2019)
박해민
(2020~2021)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번
손주인
(2018~2019)
이성규
(2020)
강한울
(2021~)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6번
장필준
(2016~2020)
이성규
(2021)
장필준
(2022~)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3번
박해민
(2020~2021)
이성규
(2022~)
현역
}}} ||
파일:24 이성규3.jpg
<colbgcolor=#074ca1><colcolor=#fff> 삼성 라이온즈 No.13
이성규
李聖圭 | Lee Sung-Gyu
출생 1993년 8월 3일 ([age(1993-08-03)]세)
광주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광주대성초 - 광주동성중 - 광주동성고 - 인하대
신체 178cm, 82kg
포지션 내·외야 유틸리티(외야수[1], 1루수)[2][3]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6년 2차 4라운드 (전체 31번,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16~)
병역 경찰 야구단 (2018~2019)
연봉 2024 / 6,000만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Jagwar Twin - 《Happy Face
[ 이전 등장곡 보기 ]
구단 자작곡 (2020~2023)
응원가 구단 자작곡2020ver[가사2][5]
[ 이전 응원가 보기 ]
구단 자작곡2019ver[가사1][7]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 및 주루3.2. 수비3.3. 총평
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우투우타 외야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이성규/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6년 2017년 경찰 야구단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 및 주루

대표적인 2군 본즈 중 한명이다. 즉 수준이 낮은 투수들 상대로는 매우 강력하나 수준이 조금만 높아져도 제대로 상대하지 못한다. 미국에서 박병호가 차지하는 입지와 제일 유사할 듯.[8]

178cm에 82kg로 야구선수치고 하드웨어가 특출나진 않지만 탄탄한 근육질 몸을 바탕으로 엄청난 손목 힘만으로 홈런을 기대할 수 있는 선수이다. 실제로 2022, 2023년 타구 속도 평균에서 이성규는 삼성 타자 중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다. 파워히터가 희귀한 삼성에서 굉장히 드문 유형의 선수. 주력은 아주 준족까진 아니지만 그 다음 가는 주루능력을 보유해서 대주자 요원으로도 가치가 있는 선수. 결론적으로 운동 능력으로 때우는 타입이다.

다만 타격에서 매우 뛰어난 파워에도 불구하고 기술적인 문제를 고치지 못해 1군에서 자리잡지 못했다. 이성규는 극단적으로 찍어치고, 또 극단적으로 당겨치는 유형의 타자이다. 거기에, 거의 모든 스윙을 풀스윙으로 일관한다. 이러한 유형의 스윙은 파워만 좋으면 2군이나 아마추어에서는 리그 폭격이 가능하나,[9] 140 중반 이상의 패스트볼, 그리고 다양한 변화구로 승부하는 1군에서는 타이밍은 물론이고 공이 면에 제대로 맞을리가 없으니 좋은 컨택을 기대하기 힘들다. 결국 밑의 불량한 선구안과 겹쳐 삼진을 많이 당하게 되며, 어쩌다가 얻어걸려도 파울플라이 등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보여준 수준 자체는 동급은 아니나 2023시즌 브라이언 오그레디와 근본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다.

거기다가 선구안 역시 대단히 좋지 않은데, 그래도 기본 컨택이 없는 수준은 아니라 볼삼비가 심각하거나 타출갭이 매우 낮거나 한 수준은 아니지만 김헌곤처럼 터무니없는 공에 삼진을 당하는 모습이 너무 많다. 이와 더불어 꽤 두드러지는 게스 히터로, 인 스윙률이 평균보다 낮고, 아웃 스윙률이 평균보다 높다. 그리고 그가 가장 좋은 성적을 보여준 2018년 퓨처스리그 성적에서 보면 알 수 있듯 다른 것은 거의 완벽하나 볼삼비는 엉망이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타석에서는 김동엽과 유사한 공갈포의 전형이며, 두 자릿수 홈런을 친 경험이 있는 타자임에도 생산성은 늘 바닥.

2020시즌의 극악한 처참함과 달리, 2023-2024시즌에는 선구안과 컨택이 조금 개선되었으며 성적 역시 꽤 상승하였다. 2023시즌의 경우 장기 무안타 기간만 빼면 성적이 나쁘지 않았고, 2024시즌에는 스몰 샘플이지만 성적이 좋다. 다만 게스 히터 성향은 여전한지 아직도 이해할 수 없는 공에 스윙하고 좋은 공에 멀뚱거리다 카운트를 낭비하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3.2. 수비

수비에서는 멀티 포지션이 가능하다. 하지만 유격수 출신임에도 송구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것이 흠. 인하대학교에서도 4년간 71경기 21개의 실책을 기록하는 등, 다양한 포지션이 가능한 것 외에 수비에서 강점이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내야에서는 1루와 3루를 소화 가능하며 특히 1루수 출전 시 포구가 좋다. 하지만 3루에서 1루까지의 먼 거리를 송구해야 하는 3루수로 출전할 때는 송구가 불안정한 약점이 드러난다.

2022년부터는 팀 사정과 출장 기회, 그리고 빠른 발을 이용하여 외야 겸업을 시작하였다. 2023 시즌부터는 중견수 자원으로 분류되는데, 외야수로서의 송구 능력은 상당히 좋은 편이다. 아무래도 정확한 송구에 대한 부담이 적은 외야수다 보니 정확도보다도 강견이 좀 더 주목을 받은 셈. 하지만 포구 능력에서는 엄청난 기복을 보인다. 컨디션이 좋은 날에는 빠지거나 중견수 앞에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타구를 빠른 대쉬와 집중력으로 낚아채는 호수비를 보여주지만, 컨디션이 안 좋을때는 외야수의 가장 기본이 되는 타구 판단 및 스타트에 있어 프로답지 못한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10] 특히 외야수가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할 실책은 평범한 뜬공을 놓치거나 글러브 안에 들어간 타구가 다시 튀어나가는 실책성 플레이인데,[11] 이성규는 이런 모습을 수차례 보이며 팬들의 뒷목을 붙잡게 한다. 외야수는 호수비를 자주 보여주는 것보다 어이없는 실책성 플레이를 최대한 줄이며 기복 없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더 중요하므로 보완이 필요하다.[12]

즉 내야수로서는 포구가 좋지만 송구가 불안하고, 반대로 외야수로서는 송구가 좋지만 포구가 불안하다.

3.3. 총평

안 터지는 툴가이의 전형으로, 운동능력으로 때우는 타입이다. 공수 양면에서 운동능력이나 실링 및 파워나 어깨 등 피지컬과 툴은 탁월하지만 스킬적으로 완성되지 못한 모습이다. 2023년 현재 30대에 접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10년째 상술한 문제점을 고치지 못하며 상술한 피지컬에 기반한 몸으로 때우는 야구를 하고 있다. 따라서 완전히 확고부동한 주전으로까지 성장하기는 힘들어보이지만, 문제는 이성규가 삼성에 희귀한 파워히터이기 때문에 쉽게 버릴 수 없는 카드라는 점이다.[13] 2023 시즌이 본인 야구선수 경력에 있어서 중요한 갈림길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또다시 백업으로는 나쁘지 않은 성적과 동시에 주전으로서는 실망스러운 모습이어서 계륵으로 남게 되었다.

2024년에는 절망적인 컨택과 선구안 문제가 해결되며 스몰샘플이지만 개선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4.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이성규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 연도 출장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WAR*
2016 삼성 6 6 1 0 0 0 2 0 0 0 3 .250 .250 .250 .500 -31.1 -0.07
2017 15 20 2 0 0 0 4 0 0 1 9 .118 .211 .118 .329 -19.5 -0.19
2018 군 복무 (경찰 야구단)
2019 16 46 11 2 0 2 3 7 1 2 16 .256 .304 .442 .746 100.0 0.15
2020 98 245 39 7 1 10 25 30 3 18 64 .181 .257 .361 .618 50.7 -0.91
2021 1군 기록 없음
2022 13 34 2 0 0 0 5 1 0 5 8 .074 .265 .074 .339 17.8 -0.26
2023 109 162 30 10 1 1 23 18 4 8 42 .207 .260 .310 .570 51.7 -0.37
KBO 통산
(6시즌)
257 513 85 19 1 13 62 56 8 34 142 .188 .261 .325 .586 48.0 -1.64

5. 여담

6. 관련 문서



[1] 2023 시즌부터 외야수로 전향했으며, 주로 중견수우익수로 출전하고 있다. 9월부터는 다시 1루수도 겸업하고 있다.[2] 내외야 전 포지션 선발출전 경험이 있으며, 내야에서는 주로 1루수3루수로 출전했다.[3] 전역 후 첫 시즌인 2019년에는 주로 유격수3루수로 출전했고 데뷔 첫 두자릿수 홈런을 친 2020년에는 사실상 주전 1루수였으며 2021 시즌부터는 외야수도 같이 보기 시작했다.[가사2] 날려라 삼성 이성규 (오~ 안타!) 삼성 이성규 (오~ 홈런!) 최강삼성 승리위해 날려라 삼성 이성규 (오~ 파이팅!) x2[5] 성시경의 '안녕 나의 사랑'과 음이 비슷하다.[가사1] 이성규! 삼성 라이온즈 이성규~ (이성규!) 안타를 날려줘요 오오오 삼성 이성규 x2 이성규~[7] 이지영의 응원가를 물려받았다.[8] 물론 선구안은 똑같지 않다.[9] 실제로 아마추어이던 인하대학교 재학 시절 3학년에 기록한 .282의 타율이 최저 타율이었고, 4년 평균 .345이라는 고타율을 기록했다. 2군에서도 경찰 야구단 시절 포함 꾸준히 높은 홈런 비율에 평균 이상의 타율을 기록했다. 유독 시범경기만 되면 좋은 활약을 펼치는 이유도 주로 2군 투수나, 컨디션이나 구종 점검 차 설렁설렁 던지는 1군 투수들을 상대하기 때문이다.[10] 펜스까지 날아가는 먼 타구를 오히려 내야쪽으로 달려들어오다 다시 뒤로 가거나, 타구 발생과 동시에 달려들어와야 할 타구를 정확한 판단을 하지 못하고 실책성 플레이를 하는 경우가 매우 잦다.[11] 심지어 이런 플레이는 기록상 실책이 아닌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에 투수의 평균자책점까지 올리는 민폐성 플레이다.[12] 외야는 특성상 다이빙 캐치를 시도했다가 실패하면 곧바로 장타로 이어지기 때문에, 무리한 다이빙으로 추가 진루를 허용하는 것보다 차라리 깔끔하게 1루타를 허용하는 것이 마음이 편하다.[13] 사실 삼성 구단 자체가 파워히터를 컨택과 선구안을 갖추도록 잘 길러내지 못하는 약점이 강하다.[14] 다만 박해민도 13번을 원한 이유가 있는데, 본인의 1군 데뷔전이 2013년 9월 13일이고, 당시 본인의 집 호수가 1003호 였다. 기존의 등번호였던 58번을 분리해서 5와 8을 더하면 13이 되기 때문에 좋은 기운을 받고 싶었다고 한다. 그리고 박해민은 시즌 초 한 차례 부진이 있었지만 2군에 다녀온 후 반등하면서 예전의 좋았던 페이스를 되찾아가는 중이다.[15] 이 2명은 이름을 빼고 봐도 공통점이 많은데, 2명 다 광주 출신이며, 학력도 2명 다 대졸이고, 포지션도 2명 다 1루수다. 게다가 서는 타석은 다르지만 (이성규는 우타, 이성곤은 좌타) 2명 다 삼성의 차기 거포 유망주들로 기대를 받고 있던 선수다.[16] 다만 프로 진출은 김원중이 4년 빠르다. 이성규는 인하대학교를 졸업하고 2016년 삼성에 입단하면서 프로에 진출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