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6 13:22:22

윤정빈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윤정빈의 2025 시즌}}}에 대한 내용은 [[윤정빈/선수 경력/2025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윤정빈/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윤정빈/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윤정빈의 2025 시즌: }}}[[윤정빈/선수 경력/2025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윤정빈/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윤정빈/선수 경력/2025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2025 시즌 외야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군
'''5 구자욱 [[주장|
C
]] · 31 윤정빈 · 32 김헌곤 · 39 김성윤
· 40 함수호'''
2군
8 김재혁 · 13 이성규 · 25 김태훈 · 58 김지찬
· 63 홍현빈 · 104 주한울 · 107 박승규 · 108 김태근
· 117 이진용
최종 편집: 2025년 4월 10일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1군 엔트리등록 선수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1번
오선진
(2021. 6. 26.~2021)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윤정빈
(2022~)
현역
파일:24 윤정빈 고화질.jpg
<colbgcolor=#074ca1><colcolor=#fff> 삼성 라이온즈 No.31
윤정빈
尹禎彬 | Yoon Jeong-Bin
출생 1999년 6월 24일 ([age(1999-06-24)]세)
경기도 부천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신도초 - 부천중 - 부천고
신체 182cm, 93kg
포지션 외야수, 1루수
투타 우투좌타
프로 입단 2018년 2차 5라운드 (전체 42번,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18~)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0년 6월 8일~2021년 12월 7일)
연봉 2025 / 7,400만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MBTI ESTJ
등장곡 WINNER - 〈I LOVE U〉 (2023~)
[ 이전 등장곡 보기 ]
송민호 - 〈로켓〉 (2022)
소속사 로한에이전트
응원가 허니크루 - 구단 자작곡[가사][2]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흰색).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3.2. 수비3.3. 주루3.4. 총평
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우투좌타 외야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윤정빈/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8년 2019년 2020년 군 복무
2022년 2023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

장타력이 강점인 전형적인 파워히터이자 우투수 상대 플래툰 선수로, 최대 장점은 파워이다. 스스로가 힘은 강백호와 견주어도 밀리지 않는다고 호언장담했을 정도. 실제로 발사각이 40도가 넘는 타구로 홈런을 만들어 낼 정도의 파워를 가지고 있다.

2023시즌까진 각팀에 두루 있는 그저그런 유망주급 선수중 한명이었으나 2024시즌부터 타격 성적이 나오기 시작했다. 선구안이 나아진 가장 큰 원인은 타격폼 변경으로, 어퍼 스윙으로 일발 장타를 노리던 이전 모습과는 달리, 레그킥을 없애고 배팅 포인트를 미루어 최대한 공을 오래 볼 수 있도록 접근법을 달리 했기 때문이다.[3] 큰 체구에 비해 파워는 생각만큼 강하지는 않은 편이라 장타율이 떨어질 것이라 생각될 수 있으나, 윤정빈은 정교한 타격을 추구하여 장타 양산과는 거리가 먼 타격폼에 선천적으로 타고난 강한 파워를 담아 중장거리 타구를 생산해낸다. 이로 인해 이성규, 김영웅급의 파워를 보여주지 못하나, 타자로써의 생산성은 우투 한정으론 저 둘을 압도한다.

다만 극심한 좌우투 상대 성적은 수비와 함께 윤정빈을 대표하는 약점으로, 그 편차가 매우 좋지 않으므로[4] 좌투가 선발로 등판한다면 선발 출장을 잘 하지 않는다.

현재까지의 모습은 우투 상대로 상위타선에 배치되어 출루와 장타를 노리는 OPS 히터 유형의 강한 2번 타입이라고 할 수 있겠다. 타격 포텐과 생산성만큼은 최상급으로 평가된다. 종합하자면 컨택이나 선구안은 평범한 편이지만 본인만의 타격 루틴이 잘 정립되어 있는 선수로 많은 레전드급 선수들이 강조하는 '강한 타구'를 잘 만들어내는 타격을 한다.

3.2. 수비

주루, 좌투 상대 타격과 함께 꼽히는 윤정빈의 대표적인 단점. 삼성 선수들이 전반적으로 수비로 호평받는 것과는 달리 윤정빈은 수비 센스와 주력 등의 문제로 인해 수비력에 대한 평가는 좋지 않으며 주전으로 도약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가장 치명적인 문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 가장 큰 문제점은 타구판단으로, 마찬가지로 좋지 못한 김지찬이 뛰어난 운동능력으로 단점을 커버하는 것과는 다르게 윤정빈의 경우 주력, 센스가 뛰어난 편은 아니라 더더욱 거친 수비를 보여준다.

우익수로 나온 경기가 가장 많다 보니 좌익수보다는 우익수 자리에서 수비를 더 잘 하는 편이다. 애초에 이건 윤정빈이 너무 급하게 1군에 올라오느라 다른 삼성 선수들과 달리 수비 경험을 쌓지 못한 게 크고, 여러 선수들이 그랬듯 윤정빈도 경험을 쌓으면 나아질 여지가 있다. 스탯티즈에선 레인지 팩터가 나쁘지 않게 나오나 후술할 클러치 상황에서의 수비 문제로 체감이 많이 안 좋다.

따라서 팀에서도 수비 부담이 적은 코너 외야나 1루수로 주로 출장시키고 있으나 1루 수비 또한 몹시 좋지 않다. 삼성에서 1루수를 볼 수 있는 선수들 중에서는 가장 1루 수비가 나쁜 편이다.[5] 단순히 수비력이 좀 아쉬운 수준이었다면 일반 팬들은 수비력을 크게 체감하기 힘들었을 테지만 윤정빈의 가장 큰 문제는 수비 미스나 실책이 클러치 상황[6] 자주 터진다는 점이다. 즉 경기의 승부를 가르는 주요한 승부처마다 수비 미스가 나오기 때문에 체감상 수비는 더 안 좋다.

3.3. 주루

주력 역시 단점으로 꼽힌다. 단, 발이 느려 애초에 코칭스태프가 작전을 별로 내지 않기 때문에 경기에 크게 해가 되는 수준은 아니다.

중상위권의 주력을 가진 이성규, 김영웅, 김현준이나 중위권의 주력을 가진 이재현보다 느린 중하위권 수준의 주력이다. 가끔가다 주루사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

3.4. 총평

현재 삼성에서 차세대 코너 외야 주전에 근접한 선수 중 한 명이다. 최형우[7]를 연상시키는 선수로, 우투 한정으로 우수한 선구안과 클러치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수비/주루와 득점권 타율에서 약점을 보이고 있다.[8] 따라서 그가 차세대 외야 주전으로 자리잡으려면 수비/주루와 좌투 상대 성적을 개선시켜야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완투수 상대로 밥값을 하고도 남는 모습을 보여준 탓에 팀의 호성적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된다. 게다가 성실한 선수여서 좌투 상대 성적도 서서히 나아질 가능성도 보인다.[9] 어떻게 못 고치는 주루는 그렇다쳐도 수비력은 최소한 구자욱 정도로 올리는 것이 필요하며 올해가 첫 풀타임 시즌에 나이가 어린 편이므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스타성이 높다는 점 역시 고평가받는다. 케이시 켈리의 퍼펙트 게임을 저지하거나 팀 5만 안타를 홈런으로 장식하고 좌투 헤이수스 상대로 적시타를 쳐내는 등 결정적인 모습에 얼굴을 비추고 있으며, 실제로 타석에서 동요하지 않는다는 얘기가 나오기도 한다. 그러나 수비 면에서는 중요 상황마다 특히나 원체 별로였던 수비력이 더 악화되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4.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윤정빈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sWAR
2018 삼성 1군 기록 없음
2019
2020
2021 군 복무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2 13 10 0 0 0 0 1 0 0 0 5 .000 .000 .000 .000 - -0.03
2023 28 43 5 0 0 1 5 3 1 7 12 .147 .326 .235 .561 72.0 -0.07
2024 69 188 46 4 1 7 26 20 1 22 47 .286 .378 .453 .831 113.7 1.05
<rowcolor=#000000> KBO 통산
(3시즌)
110 241 51 4 1 8 32 23 2 29 64 .249 .353 .395 .748 103.7 0.95

5. 여담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윤정빈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3번
이성규
(2017)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윤정빈
(2018~2020. 6. 7.)
안주형
(2020. 8. 4.~2020)
}}}

[가사] 오~오~오오 윤정빈~ 삼성의~ 윤정빈~ 오오오 오~오~오오 윤정빈~ 삼성의~ 승리를 위해~ ×2[2] 떼창이 어렵다 하여 애당초 제작부터 키가 낮았는데 너무 처진다는 평이 빗발쳤고 사실 두 가지 키 버전 중 높은 버전으로 잠시 컨버전했다가 새롭게 믹싱마스터리를 활용해 지금의 키로 조정되었다.[3] 다만 레그킥을 하지 않을 뿐이지 오른쪽 다리를 살짝씩 들며 타이밍을 조절한다.[4] 2024시즌 타출장 기준 우투수(.299/.398/.489), 좌투수(.208/.259/.250)으로 엄청난 편차를 보여준다.[5] 다른 삼성 1루수들이 워낙 수비를 잘하기도 한다.[6] 대표적으로 1루수로 나선 한화전에 2번 연속으로 아쉬운 수비를 보여주며 한화의 역전승에 큰 기여를 했다.[7] 마침 최형우도 빛을 본 나이가 현재 윤정빈의 나이와 같다. 물론 그 시즌의 성적은 최형우가 압도적이긴 하나, 윤정빈도 충분히 좋은 성적을 냈다.[8] 또한, 수비와 주루 모두 엄밀히 따져서는 최형우보다 아래이다. 최형우의 경우 타구 처리 능력은 안 좋으나 어깨가 매우 좋은 편이다. 주루도 역시나 느리긴 한데, 주루센스가 좋아서 수치가 높게 찍힌다.[9] 2024년 헤이수스 상대로 적시타를 쳐서 승리를 안겨주기도 했다.[10] 다만 평상시에는 그다지 닮지 않은 편이며 안경을 착용할 때 박정권과 닮았다는 평을 듣는다. 윤정빈은 난시가 있기 때문에 경기에서 안경을 착용한 채로 타석에 들어선다.[11] 다만 수비 실력은 박정권이 훨씬 좋았다. 박정권의 1루 수비는 채태인 등과 함께 역사상 최고 수준이다.[12] 두 선수 모두 (상서로울 정), (빛날 빈)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