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23:54:26

이재현(야구선수)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이재현의 2025년 시즌}}}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이재현(야구선수)/선수 경력/2025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이재현(야구선수)/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이재현(야구선수)/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재현의 2025년 시즌: }}}{{{#!if 같은문서1 == null
[[이재현(야구선수)/선수 경력/2025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이재현(야구선수)/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이재현(야구선수)/선수 경력/2025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2025 시즌 내야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준플레이오프 엔트리
0 디아즈 · 7 이재현 · 16 류지혁 · 30 김영웅
· 34 전병우 · 52 박병호 · 68 양도근
2군
6 강한울 · 9 공민규 · 14 안주형 · 35 차승준
· 38 심재훈· 50 이창용 · 53 양우현 · 56 이해승
· 103 오현석 · 116 박장민· 124 김재형 · 125 김상준
· 132 조민성
최종 편집: 2025년 10월 8일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1군 엔트리등록 선수육성선수응원단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7번
김상수
(2011~2022)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이재현
(2023~)
현역
파일:24 이재현3.jpg
<colbgcolor=#074ca1><colcolor=#ffffff> 삼성 라이온즈 No.7
이재현
李在賢 | Lee Jae-hyeon
출생 2003년 2월 4일 ([age(2003-02-04)]세)
서울특별시 서초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서울이수초[1] - 선린중 - 서울고 - (대구대)[2]
신체 180cm, 82kg
포지션 유격수[3]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22년 1차 지명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22~)
병역 미필
연봉 2025 / 2억 1,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BLACKPINK - 〈KILL THIS LOVE〉 (2022~)
[ 이전 등장곡 보기 ]
도겸 - 〈Go!〉 (2022)[4]
응원가 허니크루 - 구단 자작곡[가사][율동][7][8]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74ca1><colcolor=#fff> 가족 <colcolor=#373a3c,#ddd>부모님, 외삼촌 정재민[9]
MBTI ISTP | INTP | ISTJ[10]
소속사 어썸스포츠[11]
}}}}}}}}} ||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흰색).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응원가5. 별명6. 여담
6.1. 야구 관련6.2. 야구 외6.3. 인기
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우투우타 내야수. 주 포지션은 유격수.[12] 삼성 라이온즈의 마지막 1차 지명자인 동시에, KBO 리그 전체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발표된 1차 지명자[13]로 고졸 신인 유격수 데뷔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을 가지고 있는 선수이다. 그와 동시에 원태인, 구자욱을 이을 삼성의 차세대 프랜차이즈 스타로 평가받고 있는 선수이기도 하다.[14]

2. 선수 경력

이재현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이재현(야구선수)/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2021
(U-18)
~
아마추어 시절

2.1. 통산 홈런 일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재현(야구선수)/통산 홈런 일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현(야구선수)/통산 홈런 일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현(야구선수)/통산 홈런 일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수상 내역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svg

이재현의 KBO 수상 경력
2024 드림 올스타

이재현의 기타 수상 경력
2019 주말리그 후반기 3위
2020 봉황대기 준우승 / 주말리그 전반기 준우승 / 주말리그 후반기 우승
2021 주말리그 후반기 타점상 / 대통령배 3위 / 주말리그 전반기 3위 / 주말리그 후반기 우승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재현(야구선수)/플레이 스타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현(야구선수)/플레이 스타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현(야구선수)/플레이 스타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응원가

2022년 1차지명이기 때문에 프로 입단 후 곧바로 구단에서 응원가가 만들어졌다. 이 중독성 있는 응원가 때문에 이재현의 별명은 자연스레 빼뱀이 되었다. 응원 동작을 홈런 세리머니로 사용한다.



삼성의 이재현
빼뱀 뺌빼배뱀 안타 빼뱀
삼성의 이재현
빼뱀 뺌빼배뱀 홈런 빼뱀

5. 별명

파일:흥선재현군.jpg

6. 여담

6.1. 야구 관련

6.2. 야구 외

6.3. 인기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074ca1> 파일:이빼뱀(무배경).png 관련 문서
이재현
Lee Jae-hyeon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아마추어 시절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Samsung Lions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WBSC U-18 야구 월드컵
평가
플레이 스타일 · 수상 경력
기록
통산 홈런 일지 · 연도별 성적
기타
응원가 · 별명 · 여담 · 굴비즈 · 분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folding (9명) {{{#!folding (19명) {{{#!folding (11명) {{{#!folding (10명) 장태수
류중일
강기웅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홍성연
정윤수
류명선
하용석
강영수
최해명
이태일
최현준
이영재 김태한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양준혁 감병훈 안윤호 전병호
{{{#!folding (고졸)
황성관
{{{#!folding (고졸)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강동우
{{{#!folding (고졸)
정성열
{{{#!folding (고졸)
배영수 이정호 권혁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김형근 박석민 백준영 김효남 김동명
김상걸
2008년 2009년 2014년 2015년 2016년
우동균 김상수 이수민 김영한 최충연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장지훈 최채흥 원태인 황동재 이승현
2022년 1차 지명 폐지
이재현(2)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전국 단위 지명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전국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신생팀 지원 혜택 하위 세 구단 지원 혜택
2014년 2015년 2016년 2021년 2022년
강민국(1)
박세웅(2)
이호중(1)
엄상백(2)
박준영(1)
박세진(2)
손성빈(3)
정민규(4)
문동주(4)
이재현(5)
(1) NC (2) KT (3) 롯데 (4) 한화 (5) 삼성
}}}}}}}}} ||

이재현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4 KBO 올스타전 엠블럼(유색배경).svg
KBO 리그 올스타[36]
2024

보유 기록
포스트시즌 1회 초 선두타자 초구 홈런 KBO 최초[37]
}}} ||
이재현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5번
양창섭
(2018~2021)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이재현
(2022)
신윤호
(2023)
}}} ||
[1] 관산초에서 전학.[2] 프로 데뷔 후 입학, 문화예술학부 23학번[3] 데뷔 시즌이던 2022시즌은 주전 유격수 자리가 빼곡했기에 3루수로 출장하는 일이 잦았다. 그리고 이듬해인 2023시즌부터 김상수와 오선진의 이적, 김지찬은 2루수로 보직을 변경하게 되면서 유격수 자리가 자연스레 교통 정리가 되어 주전 유격수 자리를 꿰차게 되었다.[4] 2022 시즌 중반에 잠시 사용했다.[가사] 삼~성의 이~재현 빼뱀 뺌빼배뱀 안타 빼뱀! 삼~성의 이~재현 빼뱀 뺌빼배뱀 홈런 빼뱀! X2[율동] 왼팔을 천천히 올린 후 오른팔을 천천히 올린다. 양손을 내리면서 박수를 2번 친 후 왼쪽 위로 팔을 뻗어 오른팔만 내린다.(반복)[7] 이 응원가 때문에 이재현의 별명은 자연스레 빼뱀이 되었다.[8] 등장곡 이후에 김상헌 응원단장이 삼성의 이재현 빼뱀 뺌빼배뱀 안타 빼뱀 이후에 응원가가 재생된다.[9] 어머니의 친오빠. 前 롯데 자이언츠 투수이다.[10] 시즌 전 굴비즈 인터뷰에서는 ISTP와 INTP라고 했는데, 대전 원정길호텔 영상에서 ISTP 아니면 ISTJ 이라고 말했다.[11] 팀 동료 김지찬, 이승현 가 소속되어 있다.[12] 주전 유격수가 아니었던 데뷔 시즌인 2022년에는 2루수로 6경기 30이닝, 3루수로 28경기 156이닝을 소화했었지만 그 다음 해에 김상수와 오선진의 이적, 김지찬은 그 당시 2루수로 보직을 변경하면서 자연스럽게 유격수 자리가 공석이 되었고 주전 유격수가 된 2023년부터는 오로지 유격수로만 출전하고 있다.[13] 2022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2020년 1~7위팀은 연고지역 선수만 지명이 가능했고, 8~10위팀인 삼성, SSG, 한화는 비연고지역 선수를 지명할 수도 있었다. 만약 전국지명 권한을 행사하는 구단이 두 개 이상이라면 순위의 역순으로 지명한다. SSG는 지역 연고 선수인 윤태현을 지명하였고, 한화는 전국지명을 행사하여 광주의 문동주를 지명하였으므로 한화의 지명 후에 삼성이 전국지명을 할 수 있었다. 문동주의 지명 다음날 이재현이 지명되었으며, 이리하여 이재현은 1차 지명 제도가 부활하지 않는 이상 역대 가장 마지막으로 발표된 1차 지명자가 되었다.[14] 류중일-박진만-김상수로 이어진 삼성의 주전 유격수 계보를 이어나가는 선수로서 삼성 팬들의 많은 기대를 받고 있다.[15] 화채에는 사이다를 넣거나 우유와 사이다를 넣거나 밀키스를 넣어도 크게 상관이 없다. 그러나 이재현은 꼭 암바사를 넣어야 한다는 주장을 한다.[16] 2009년 김상수 지명 이후로 첫 야수 1차지명이다.[17] 실제로 대부분 1~2선발 외국인 투수로 활동하고 있는 드류 루친스키, 오드리사머 데스파이네, 웨스 벤자민, 펠릭스 페냐, 댄 스트레일리, 커크 맥카티, 로에니스 엘리아스에게 홈런을 쳤으며 2022년 프로 데뷔 이후 2023년 6월 현재까지 통산 12홈런 중 7개가 외국인 투수 상대로 때려낸 홈런이었다. 또 2023년 6월 6일 NC와의 경기에서는 5회말 2사만루 상황(상대팀 투수는 테일러 와이드너)에서 타석에 들어선 이재현을 보고 캐스터가 '외국인 투수 킬러'라고 언급하자마자 귀신같이 곧바로 2타점 적시타를 치며 팀을 승리로 이끌기도 했다.[18] 여담으로 같은 팀에 2019년에 똑같이 뜬공 5개로 물러난 또 다른 선배 오뜬이가 1명 더 있다. (...)[19] 류지혁이 삼성에 올 때 김도영에게 이재현 이야기를 들었다고 언급한 적 있다.[20] 이재현 역시 유정민 감독을 믿고 따르는 듯. 더그아웃 매거진 인터뷰에서 야구가 잘 안 될 때 유정민 감독이 좋은 말을 해줘 힘낸 적이 많다고 말했다. 재밌는 점은 유정민 감독 역시 삼성 지명을 받았었다고.[21] 김현준, 김재성, 김지찬, 이원석, 이승현, 양창섭, 최충연, 원태인 등 아이폰을 쓰는 선배들이 많다. 삼성 선수 중 갤럭시를 쓰는 선수는 구자욱, 오재일, 김무신, 이상민, 김재혁, 오승환 등이 있다. 구자욱은 과거에는 아이폰을 쓰기도 했으나 최근 들어 갤럭시로 갈아탄 듯하고 김재혁은 입단 후 교체한 듯. 오재일은 두산 시절엔 아이폰이었다.[22] 여담으로 SSG 상대로 개인 통산 2호 홈런을 때려냈다.[23] 두산 베어스 정수빈과 동명이인이다.[24] 그리 빠르지 않은 발과 준수한 장타력, 강한 어깨, 유격수 등등 공통점도 꽤나 많다.[25] 팀별로 2~5번 정도 강습 타구에 간헐적으로 발생한다.[26] 당시 이재현은 등번호가 14번이고, 김지찬은 31번이다.[27] 스프링캠프에서의 굴비즈 인터뷰에서는 ISTP와 INTP가 나온다 했고, 대전 원정길 호텔에서는 ISTP와 ISTJ라고 했다.[28] I와 T는 꾸준히 나온다.[29] Baam이라는 미국식 표현을 따와서 만들었다.[30] 현재의 본명도 이재현이다.[31] 더보이즈 현재는 인천 출신이다. 인천 출신이어서 자연스럽게 SK팬이 됐고, 지금도 인천이 연고지인 SSG 랜더스 팬이다. 다만 요즘에 야구 볼 시간은 많이 없어서 많이는 안본다고. 삼성의 이재현은 서울 출신이지만 과거에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SK 와이번스 팬이었다.[32] 파일:20230721_161858.jpg[33] 황성빈의 사촌동생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동영상에서 볼 수 있다.# 황성빈이 말하길, 이재현한테 (배트를) 달라고 안 하고 자기 것을 뺏으러 온다고[34] 다만 전업 유격수인 이재현과 달리 홍준영은 코너 내야를 주로 맡는다.[35] 몇몇 팬들은 매진으로 유니폼을 못 구하자 서울고 유니폼을 구하기도 했다.[36] 베스트 12 1회.[37] 2025년 10월 9일 2025 KBO 준플레이오프 1차전에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