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14:21:59

댄 스트레일리

댄 스트레일리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브래디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길포일(2) 파일:미국 국기.svg
기론(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우드(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칸세코(1) 파일:쿠바 국기.svg
호세(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이(3) 파일:미국 국기.svg
베로아(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처(2) 파일:미국 국기.svg
매기(2)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모리(1)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온(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보이(2)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페레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레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이시온(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온(3)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온 파일:미국 국기.svg
페레즈(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펠로우(3)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이로우(2) 파일:미국 국기.svg
존갈(3)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세(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스(3)(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레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매클레리(2) 파일:미국 국기.svg
코르테스(3) 파일:멕시코 국기.svg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애킨스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2) 파일:미국 국기.svg
부첵(3) 파일:미국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먼드(1) 파일:캐나다 국기.svg
옥스프링(3) 파일:호주 국기.svg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아두치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아두치(2) 파일:미국 국기.svg
맥스웰(3)(2)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마켈(1) 파일:미국 국기.svg
애디튼(3)(2)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3) 파일:미국 국기.svg
번즈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듀브론트(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번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톰슨(2) 파일:미국 국기.svg
다익손(3) 파일:캐나다 국기.svg
아수아헤(2)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3)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샘슨 파일:미국 국기.svg
마차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트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마차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스파크맨(2)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3) 파일:미국 국기.svg
피터스(2) 파일:미국 국기.svg
렉스(3)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2) 파일:미국 국기.svg
윌커슨(3) 파일:미국 국기.svg
렉스(2) 파일:미국 국기.svg
구드럼(3) 파일:미국 국기.svg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윌커슨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ed1c24> 1982~1983 1984~1987 1988~1990 1991 1992~1993
노상수 최동원 윤학길 박동희 윤학길
1994 1995~1996 <rowcolor=#000> 1997 1998~2000 2001
강상수 주형광 강상수 주형광 기론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문동환 김장현 이상목 염종석 이상목
<rowcolor=#fff> 2007~2008 2009 2010 2011 2012~2014
손민한 송승준 사도스키 코리 송승준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레일리 린드블럼 레일리 듀브론트 레일리
<rowcolor=#fff> 2020~2021 2022 2023 2024
스트레일리 반즈 스트레일리 윌커슨
}}}}}}}}} ||


댄 스트레일리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탈삼진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노상수
롯데 자이언츠 / 141K
장명부
삼미 슈퍼스타즈 / 220K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223K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210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14K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163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20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98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89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10K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이강철
해태 타이거즈 / 155K
김상엽
삼성 라이온즈 / 170K
정민철
한화 이글스 / 196K
이대진
해태 타이거즈 / 163K
주형광
롯데 자이언츠 / 221K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정민철
한화 이글스 / 160K
이대진
해태 타이거즈 / 183K
김수경
현대 유니콘스 / 184K
임선동
현대 유니콘스 / 174K
에르난데스
SK 와이번스 / 215K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김진우
KIA 타이거즈 / 177K
이승호
LG 트윈스 / 157K
박명환
두산 베어스 / 162K
리오스
두산 베어스 / 147K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147K
류현진
한화 이글스 / 204K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78K
김광현
SK 와이번스 / 150K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50K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87K
윤석민
KIA 타이거즈 / 178K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류현진
한화 이글스 / 210K
리즈
LG 트윈스 / 188K
밴덴헐크
삼성 라이온즈 / 180K
차우찬
삼성 라이온즈 / 194K
보우덴
두산 베어스 / 160K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켈리
SK 와이번스 / 189K
샘슨
한화 이글스 / 195K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189K
스트레일리
롯데 자이언츠 / 205K
미란다
두산 베어스 / 225K
<rowcolor=#fff> 2022 2023 2024
안우진
키움 히어로즈 / 224K
페디
NC 다이노스 / 209K
하트
NC 다이노스 / 182K
* 탈삼진왕은 1993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67번
션 두리틀
(2012)
댄 스트레일리
(2012~2014)
대니 쿨롬
(2015)
시카고 컵스 등번호 19번
네이트 슈어홀츠
(2013~2014)
<colcolor=#fff> 댄 스트레일리
(2014)
조나단 에레라
(2015)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47번
제프 펄치노
(2010~2011)
댄 스트레일리
(2015)
크리스 데벤스키
(2016~2020)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58번
네이선 애드콕
(2015)
<colbgcolor=#000> 댄 스트레일리
(2016)
루이스 카스티요
(2017~2022)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58번
라두엘 라조
(2015)
댄 스트레일리
(2017~2018)
윌킨 카스티요
(2019)
볼티모어 오리올스 등번호 53번
잭 브리튼
(2011~2018)
댄 스트레일리
(2019)
타이 블락
(2019)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8번
정준혁
(2018~2019)
스트레일리
(2020~2021)
진승현
(2022~2022.8.4.)
진승현
(2022~2022.8.4.)
스트레일리
(2022.8.10.~2023)
박준우
(2024.9.7.~)
}}} ||
}}} ||
파일:2023 댄 스트레일리 프로필.png
댄 스트레일리
Dan Straily
본명 대니얼 스티븐 스트레일리
Daniel Steven Straily
출생 1988년 12월 1일 ([age(1988-12-01)]세)
캘리포니아 주 레들랜즈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서스턴 고등학교 - 웨스턴 오리건 대학교 - 마셜 대학교
신체 189cm | 100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9년 드래프트 24라운드 (전체 723번, OAK)
소속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12~2014)
시카고 컵스 (2014)
휴스턴 애스트로스 (2015)
신시내티 레즈 (2016)
마이애미 말린스 (2017~2018)
볼티모어 오리올스 (2019)
롯데 자이언츠 (2020~2021, 2022~2023)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가족 아내 아만다 장 밀러
아들 잭슨 스트레일리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미국 국적의 우완 투수. 롯데 자이언츠 역대급 외국인 투수였다.[1]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12년 2013년 14 OAK 14 CHC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 피칭 스타일

우완 쓰리쿼터 스타일로 평균 구속 145km/h 정도의 패스트볼슬라이더, 체인지업 등의 변화구를 구사한다. 메이저리그에서의 투구비율은 전체적으로 패스트볼의 비율이 가장 높고 변화구 중에선 슬라이더와 체인지업을 자주 구사했다. 커리어 초반에는 낙폭이 큰 변화구로 뛰어난 탈삼진 능력을 보여줬으나 2019년에는 무릎 부상의 영향으로 변화구의 궤도가 무뎌지면서 피장타율이 높아졌다. 롯데 자이언츠는 이 부상에서 회복한다면 스트레일리가 좋은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그를 영입했다. 박세웅의 커브 그립으로 낙차 큰 커브도 종종 던진다.[2] 슬라이드 스텝은 약간 느리지만 좋은 공과 제구로 타자를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파일:DanStraily_pitch_slider.gif
슬라이더(2017 시즌)

탈삼진/볼넷비율은 마이너리그 통산 3.51, 메이저 리그 통산 2.18이고 트리플 A에선 9이닝당 볼넷 2.6개를 기록했다. 비교적 뜬공이 많이 나오는 유형으로 이닝 대비 피홈런 횟수도 점점 늘어나는 편. 비교적 하위리그인 KBO에서는 205K를 기록할 정도로 탈삼진을 많이 잡아내고 있다.

1회에는 고전하면서 투구수가 늘어나도 6이닝 7이닝 먹는 슬로우 스타터의 모습을 보여주며 불펜의 피로도 또한 줄여준다. 시즌 초 아드리안 샘슨의 공백으로 4일 로테이션을 돌고 중반에 휴식없이 후반 5강 싸움을 위해 다시 4일 로테를 소화해내며 놀라운 체력을 보여줬다. 전담 포수제로 정보근과 호흡을 맞추는데 호흡이 잘 맞아 투구 템포가 상당히 빨라진다. 실제로 김준태가 중간에 들어오면 정보근에 비해 투구 템포가 느려지는 모습도 보여준다.

2021년엔 제구도 많이 무뎌졌으며 패스트볼의 구위 역시 많이 떨어지면서 140 후반의 패스트볼이 깨끗하게 맞아나가면서 무너지는 모습을 보여주다 시즌 후반기에 조금씩 폼이 올라오는 모습을 보였다.

4. 여담

5. 관련 문서


[1] 첫 해였던 2020시즌은 탈삼진왕을 차지하는 등 자타공인 롯데를 넘어 리그 최고의 에이스 중 하나였으며, 이듬해인 2021시즌에도 10승을 달성하였고, 미국으로 돌아간, 2022시즌 도중 롯데에 복귀하여 후반기에 1선발로 선발진을 이끌었다.[2] 댄 스트레일리가 박세웅의 낙차 큰 커브에 매우 관심이 있었고 직접 비법을 전수받는 모습이 자이언츠 TV에 포착됐다.[3] St. 레일리[4] 이것에 관한 또 다른 농담도 있는데, KIA에 있는 애런 브룩스와 스트레일리가 2020 시즌 6월까지만 해도 정말 승운이 없는 투수였다. 이를 보고 팬들은 이 둘이 각각 '브룩스'와 '레일리'를 나눠 가져갔기 때문에 승리를 못 챙긴다는 농담을 한다.[5] 이 날 스트레일리는 6이닝 2실점, 김준태는 데뷔 첫 만루홈런으로 팀 승리에 공헌했다.[6] 노경은이 부상으로 이탈하고 대체선발인 장원삼이 최대한 막고 있고 박세웅은 피홈런, 서준원은 제구력 난조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고 아드리안 샘슨은 불이나 저지르고 있다.[7] 원문 "Nei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