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041e42><table bgcolor=#041e42> | 롯데 자이언츠 역대 시즌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6px -2px -12px" |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5위 | 6위 | '''1위 ''' | 2위 | 5위 |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4위 | 4위 | 7위 | 6위 | 4위 |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1위 ''' | 6위 | 6위 | 2위 | 5위 |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8위 | 8위 | 2위 | 매직 2위 | 8위 |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8위 | 8위 | 8위 | 5위 | 7위 |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7위 | 3위 | 4위 | 4위 | 3위 |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4위 | 5위 | 7위 | 8위 | 8위 |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3위 | 7위 | 10위 | 7위 | 8위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8위 | 7위 | 7위 | |||
2027 | 2028 | 2029 | 2030 | 2031 | |
■: 우승|■: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
롯데 자이언츠 시즌별 성적 | ||||
2010 시즌 | ← | 2011 시즌 | → | 2012 시즌 |
롯데 자이언츠 2011년 페넌트레이스 월별 일정 | ||||||
시범경기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롯데 자이언츠 2011 시즌 성적 | |||||
순위 | 승 | 무 | 패 | 승률 | 1위와의 승차 |
3[1] / 8 | 72 | 5 | 56 | 0.563 | 6.5 |
1. 개요
롯데 자이언츠의 2011년 시즌에 대한 문서.2. 아마추어 감독의 프로야구 적응기
2.1. 시즌 전
제리 로이스터와는 재계약을 포기하고 양승호 전 고려대학교 감독과 새로 계약했다.시즌 전이던 2010년 12월 20일, 넥센 히어로즈와 고원준 ↔ 박정준, 이정훈을 바꾸는 1:2 트레이드를 단행했다. 자세한 내용은 고원준 항목 참조.
외국인 선수로는 라이언 사도스키와는 재계약, 카림 가르시아는 재계약을 포기하고, 투수인 브라이언 코리와 새롭게 계약을 했다.
시범경기는 8승 5패로 3년 연속 1위를 했다.
2.2. 시범경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롯데 자이언츠/2011년/시범경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롯데 자이언츠/2011년/시범경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4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롯데 자이언츠/2011년/4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롯데 자이언츠/2011년/4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지난 2년의 부진한 출발은 이번에도 이어졌다. 시즌 개막 후 타선은 저점을 찍었고 4월 17일까지 팀 타율은 0.232에 불과했다. 4월이 끝날 때까지 시즌 첫 위닝시리즈가 나오지 않았다.
선발진 중 송승준과 장원준은 굳건하지만 사도스키가 이탈했고, 코리는 4~5회에 갑자기 무너졌다. 김수완과 이재곤은 극심한 소포모어 징크스를 겪었다.
지난해 최악의 모습이었던 불펜도 고원준이 마당쇠로 정착한 것 외에는 뚜렷한 소득이 없었고 임경완과 김사율 등이 선전했을 뿐이다. 배장호, 강영식은 연일 부진하다.
그나마 믿었던 방망이가 월말로 갈수록 살아나고 있는 것은 다행인 점.
2.4. 5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롯데 자이언츠/2011년/5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롯데 자이언츠/2011년/5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5. 6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롯데 자이언츠/2011년/6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롯데 자이언츠/2011년/6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6. 7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롯데 자이언츠/2011년/7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롯데 자이언츠/2011년/7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7. 8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롯데 자이언츠/2011년/8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롯데 자이언츠/2011년/8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8. 9~10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롯데 자이언츠/2011년/9~10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롯데 자이언츠/2011년/9~10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포스트시즌
3.1. 플레이오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1 롯데카드 프로야구 플레이오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1 롯데카드 프로야구 플레이오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준플레이오프에서 KIA 타이거즈에 3승 1패를 한 SK 와이번스와 10월 16일부터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2승 3패로
4. 총평
9년 뒤인 2020년에 허문회 감독이 8월에 치고 올라간다를 발언하기 이전 롯데 자이언츠의 8치올의 진짜 원조의 해.5. 정규시즌 전적
- 이 표에서, 상대전적이 절대열세, 압살, 압도, 절대우세인 팀은 굵게 표시한다.
- 승률, 승패마진, 우열은 해당 팀과의 경기가 완전히 종료되었을 때 기재한다.(상대전적 동률시, 득실마진도 함께 기재.)
롯데 자이언츠 2011년 팀별 상대 전적 | ||||||
상대팀 | 상대전적 | 승률 | 우열 | 승패마진 | 비고 | 잔여경기 |
SK | 8승 1무 10패 | 0.444 | 열세 | -2 | 경기 완료 | |
삼성 | 9승 1무 9패 | 0.500 | 백중세 | 0 | 득실마진: 91/90, +1 | 경기 완료 |
두산 | 11승 1무 7패 | 0.632 | 우세 | +4 | 경기 완료 | |
KIA | 13승 6패 | 0.684 | 절대우세 | +7 | 경기 완료 | |
LG | 8승 11패 | 0.421 | 열세 | -3 | 경기 완료 | |
넥센 | 11승 1무 7패 | 0.632 | 우세 | +4 | 경기 완료 | |
한화 | 12승 1무 6패 | 0.667 | 절대우세 | +6 | 경기 완료 | |
총합 | 72승 5무 56패 | 0.563 | +16 | 순위: 2[2] / 8, 승차: 6.5 | 경기 완료 |
- 분류 기준
- 남색은 압도(승률 ≥ .800)를 뜻한다.
- 청색은 절대우세(.650 ≤ 승률<.800)를 뜻한다.
- 하늘색은 우세(.550 ≤ 승률<.650)를 뜻한다.
- 녹색은 백중세(.450 ≤ 승률<.550)를 뜻한다.
- 오렌지색은 열세(.350≤승률<.450)를 뜻한다.
- 적색은 절대열세(.200≤ 승률<.350)를 뜻한다.
- 갈색은 압살(승률<.200)을 뜻한다.
6.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061731> | 한국프로야구 구단별 2011 시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 | | | |
SK 와이번스 2011년 | 삼성 라이온즈 2011년 | 두산 베어스 2011년 | 롯데 자이언츠 2011년 | |
| | | | |
KIA 타이거즈 2011년 | LG 트윈스 2011년 | 넥센 히어로즈 2011년 | 한화 이글스 2011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