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570514> | 키움 히어로즈 역대 시즌 (우리-서울-넥센 히어로즈 시절 포함)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7위 | 6위 | 7위 | 8위 | 6위 |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
4위 | 2위 | 4위 | 3위 | 7위 |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4위 | 2위 | 5위 | 5위 | 2위 |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
10위 | 10위 | ||||
우승 | 준우승 | PS진출 |
넥센 히어로즈 시즌별 성적 | ||||
2010 시즌 | ← | 2011 시즌 | → | 2012 시즌 |
넥센 히어로즈 2011년 페넌트레이스 월별 일정 |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1 KBO 리그 2011 시즌 {{{#ffffff │ }}} 넥센 히어로즈}}} | |||||||||
순위 | 경기수 | 승 | 무 | 패 | 승패 마진 | 1위와의 승차 | 남은 경기수 | 승률 | |
8 / 8 | 133 | 51 | 2 | 80 | -29 | 29.0 | 경기마감 | 0.389 |
[clearfix]
1. 개요
넥센 히어로즈의 2011 시즌을 정리한 문서.2. 4월
자세한 내용은 넥센 히어로즈/2011년/4월 문서 참고하십시오.3. 5월
자세한 내용은 넥센 히어로즈/2011년/5월 문서 참고하십시오.4. 6월
자세한 내용은 넥센 히어로즈/2011년/6월 문서 참고하십시오.5. 7월
자세한 내용은 넥센 히어로즈/2011년/7월 문서 참고하십시오.6. 8월
자세한 내용은 넥센 히어로즈/2011년/8월 문서 참고하십시오.7. 9~10월
자세한 내용은 넥센 히어로즈/2011년/9~10월 문서 참고하십시오.8. 총평
신생팀 및 스몰마켓이라는 한계로 첫 꼴찌를 기록한 시즌으로 2011년 히어로즈는 타격 부분에서 타율, 출루율, 장타율, WAR, 득점, 안타, 홈런 등 모든 분야에서 최하위를 차지했으며 투수 부분에서는 ERA, WAR, WHIP 등이 7위를 할 정도로 처참한 투타 밸런스를 보여주며 성적 자체로 봤을 때는 최악이라 봐도 무방하다. 사실 이제는 완전히 무관한 역사가 되어버렸으나, 공교롭게도 2011년 히어로즈의 승패는 2003년 현대의 승패를 완전히 뒤집은 결과가 되었다. 2003년 현대는 80승 2무 51패로 통합우승, 그러나 2011년 히어로즈는 51승 2무 80패로 3할대 승률의 꼴찌를 기록했다.그러나 2011년은 히어로즈 역사에 무조건 언급되는 시즌이자 히어로즈의 운명을 완전히 바꾼 시즌이다.
우선 2011년 시행된 트레이드는 2건 중 1건이 히어로즈가 LG 트윈스와 한 트레이드였는데 그 트레이드가 송신영,
그리고 시즌이 끝나고 9월에 히어로즈는 LG에서 방출된 서건창을 영입했고, 서건창은 2012년 신인왕을 거머쥐더니 히어로즈 대표 프랜차이즈 선수가 되었고 2014년 리그 최초의 200안타를 기록하고 정규시즌 MVP가 되고 골든글러브를 타는 등 신고선수의 신화가 되었다.
거기다 삼성에서 방출된 외인투수인 브랜든 나이트를 영입하였고 나이트는 이후 히어로즈의 대표 외인투수 중 한 명이 되었으며 투수가 필요하여 코리 알드리지를 방출하고 영입한 선수가 바로 앤디 밴헤켄이다.
즉 성적 자체는 최하위로 안 좋기는 하나 히어로즈의 프렌차이즈 선수인 박병호, 서건창, 나이트, 밴헤컨을 영입한 시즌으로 이후 이 넷은 히어로즈를 이끌며 팀을 가을야구에 계속 갈 수 있게 만든 핵심적인 공신이 되었다는 걸 보면 히어로즈 역사에 빠질 수 없는 시즌이 되었다.
9.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061731> | 한국프로야구 구단별 2011 시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 ||||
SK 와이번스 2011년 | 삼성 라이온즈 2011년 | 두산 베어스 2011년 | 롯데 자이언츠 2011년 | |
KIA 타이거즈 2011년 | LG 트윈스 2011년 | 넥센 히어로즈 2011년 | 한화 이글스 2011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570514><tablebgcolor=#570514> | 키움 히어로즈 관련 문서 |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FF7DA0; margin:-6px -2px -12px" | 구단 기본 정보 | 1군 | <colcolor=#000,#DDD> 키움 히어로즈 | 2024년 | |||||||
2군 | 고양 히어로즈 | |||||||||
구단 메인 스폰서 | 키움증권 | 넥센타이어 | 우리담배 | |||||||||
구단 옛명칭 | 우리 히어로즈 | 서울 히어로즈 | 넥센 히어로즈 | |||||||||
구단 역사 정보 | 역사 | 구단 수난사 | 구단 보유 기록 | 역대 감독 | 역대 외국인 선수 | 역대 트레이드 | 사건·사고 | 상대 전적 | |||||||||
역대 한국시리즈 | 2014년 한국시리즈 | 2019년 한국시리즈 | 2022년 한국시리즈 | |||||||||
구단 세부 정보 | 선수단 | 등번호 | 팀 컬러 | 유니폼 | 팀 응원가(미사용) | 선수 응원가 | 응원단 (김정석, 유재환) | 턱돌이 | 동글이 엘키라시코 | 흥참동 | 엘넥한 | 싸융짱문오 | 조한손 | 넥벤져스 | 키나쌩 · 키상바 클럽 | |||||||||
지역 연고 학교 | 경기고등학교 | 경동고등학교 | 덕수고등학교 | 배명고등학교 | 배재고등학교 | 서울고등학교 | 서울디자인고등학교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성남고등학교 | 신일고등학교 | 장충고등학교 | 중앙고등학교 | 청원고등학교 | 충암고등학교 | 휘문고등학교 | 제주고등학교 | |||||||||
경기장 관련 정보 | 1군 | 고척 스카이돔 | 목동 야구장(이전) | 홈구장 이전 문제 | ||||||||
2군 | 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 | 화성 히어로즈 베이스볼 파크 | NH인재원 야구장 | 강진 베이스볼 파크 | |||||||||
팬덤 관련 정보 | 공식 유튜브(큠튜브) | 키움 히어로즈 갤러리 | 영웅신화 | 히어로즈 사랑 영원히 | 슈퍼 히어로즈 | 치어리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