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04:57:53

권혁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권혁(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권혁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folding (9명) {{{#!folding (19명) {{{#!folding (11명) {{{#!folding (10명)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장태수
류중일
강기웅
홍성연
정윤수
류명선
하용석
강영수
최해명
이태일
최현준
이영재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김태한 양준혁 감병훈 안윤호 전병호
{{{#!folding (고졸)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황성관
{{{#!folding (고졸)
강동우
{{{#!folding (고졸)
정성열
{{{#!folding (고졸)
배영수 이정호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권혁 김형근 박석민 백준영 김효남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김동명
김상걸
우동균 김상수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정현(2) 이수민 김영한 최충연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장지훈 최채흥 원태인 황동재 이승현
2022년
이재현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1차 지명 미시행 년도 (1라운드 지명 선수)
}}}}}}}}}

권혁의 보유 기록 /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보유 기록
6년 연속 10홀드 2007년~2012년

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4.svg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5.svg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6.svg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7.svg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8.svg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6.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06 2011 2012
2013 2014 2019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svg
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종목
금메달
2008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홀드 1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조웅천
현대 유니콘스 / 16홀드
차명주
두산 베어스 / 18홀드
차명주
두산 베어스 / 17홀드
이상열
현대 유니콘스 / 16홀드
차명주
두산 베어스 / 16홀드
임경완
롯데 자이언츠 / 22홀드
<rowcolor=#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이재우
두산 베어스 / 28홀드
권오준
삼성 라이온즈 / 32홀드
류택현
LG 트윈스 / 23홀드
정우람
SK 와이번스 / 25홀드
권혁
삼성 라이온즈 / 20홀드
<row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정재훈
두산 베어스 / 23홀드
정우람
SK 와이번스 / 25홀드
박희수
SK 와이번스 / 34홀드
한현희
넥센 히어로즈 / 27홀드
한현희
넥센 히어로즈 / 31홀드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안지만
삼성 라이온즈 / 37홀드
이보근
넥센 히어로즈 / 25홀드
진해수
LG 트윈스 / 24홀드
오현택
롯데 자이언츠 / 25홀드
김상수
키움 히어로즈 / 40홀드
<rowcolor=#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주권
kt wiz / 31홀드
장현식
KIA 타이거즈 / 34홀드
정우영
LG 트윈스 / 35홀드
박영현
kt wiz / 32홀드
노경은
SSG 랜더스 / 38홀드
* 홀드는 2000년부터 공식적으로 집계. }}}}}}}}}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투수 마일스톤 기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00승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김시진
(1983~1992)
1987년 / 124승
최동원
(1983~1990)
1990년 / 103승
선동열
(1985~1995)
1990년 / 146승
장호연
(1983~1995)
1993년 / 109승
윤학길
(1986~1997)
1994년 / 117승
정삼흠
(1985~1996)
1996년 / 106승
이강철
(1989~2005)
1996년 / 152승
조계현
(1989~2001)
1996년 / 126승
송진우
(1989~2009)
1997년 / 210승
김용수
(1985~2000)
1998년 / 126승
정민철
(1992~2009)
1999년 / 161승
김상진
(1989~2003)
1999년 / 122승
이상군
(1986~2001)
2000년 / 100승
한용덕
(1987~2004)
2000년 / 120승
정민태
(1992~2008)
2000년 / 124승
김원형
(1991~2011)
2005년 / 134승
임창용
(1995~2018)
2007년 / 130승
김수경
(1998~2012)
2007년 / 112승
이상목
(1990~2009)
2008년 / 100승
손민한
(1997~2015)
2009년 / 123승
이대진
(1993~2012)
2009년 / 100승
박명환
(1996~2015)
2010년 / 103승
배영수
(2000~2019)
2012년 / 138승
장원삼
(2006~2020)
2015년 / 121승
윤성환
(2004~2020)
2016년 / 135승
김광현
(2007~)
2016년 / 170승
장원준
(2004~2023)
2016년 / 132승
양현종
(2007~)
2017년 / 179승
송승준
(2007~2021)
2017년 / 109승
니퍼트
(2011~2018)
2018년 / 102승
차우찬
(2006~2023)
2019년 / 112승
유희관
(2009~2021)
2021년 / 101승
류현진
(2006~)
2024년 / 108승
}}}}}}}}} ||
300세이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오승환
(2005~)
2021년 / 400세이브
}}}}}}}}} ||
2000탈삼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송진우
(1989~2009)
2008년 / 2048탈삼진
양현종
(2007~)
2024년 / 2076탈삼진
}}}}}}}}} ||
같이 보기: KBO 리그 타자 마일스톤 기록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47번
최재호
(1996~2001)
권혁
(2002~2014)
최민구
(2015~2017)
한화 이글스 등번호 47번
윤근영
(2012~2014)
권혁
(2015~2018)
김종민
(2019. 5. 1.~2020. 8. 17.)
두산 베어스 등번호 8번
류지혁
(2015~2018)
<colbgcolor=#ed1c24> 권혁
(2019~2019. 6. 6.)
전용훈
(2019. 8. 19.~2019)
두산 베어스 등번호 19번
유재유
(2019~2019. 5. 10.)
권혁
(2019. 6. 7.~2019)
김민규
(2020~2021)
두산 베어스 등번호 47번
홍상삼
(2017~2019)
권혁
(2020)
곽빈
(2021~)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07 야구선수권 대회
김경문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9539D> 투수 13 장원삼 · 14 류택현 · 17 전병호
19 정대현 · 22 한기주 · 47 권혁
51 류제국 · 61 박찬호 · 99 류현진
포수 26 박경완 · 44 조인성
내야수 2 김민재 · 3 고영민 · 7 박진만 · 8 정근우
10 이대호 · 18 김동주 · 31 이현곤
외야수 1 장성호 · 9 이병규 · 29 이택근
39 이종욱 · 53 이대형 · 69 민병헌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경문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김기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광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0 선동열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08 베이징 올림픽 최종예선
김경문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9539D> 투수 1 우규민 · 17 김광현 · 21 정대현 · 22 한기주
32 김선우 · 41 황두성 · 47 권혁
55 장원삼 · 61 손민한 · 99 류현진
포수 20 진갑용 · 44 조인성
내야수 7 박진만 · 10 이대호 · 13 손시헌 · 14 고영민
16 정성훈 · 18 김동주 · 25 이승엽
외야수 12 김주찬 · 15 이용규 · 29 이택근
35 이진영 · 39 이종욱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경문
수석·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광수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김기태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조계현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김태형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김민호
벤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유승안
트레이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7 김용일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08 베이징 올림픽
김경문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9539D> 투수 11 오승환 · 13 장원삼 · 17 김광현 · 21 정대현
22 한기주 · 28 윤석민 · 47 권혁
51 봉중근 · 91 송승준 · 99 류현진
포수 20 진갑용 · 37 강민호
내야수 3 고영민 · 7 박진만 · 8 정근우 · 10 이대호
14 김민재 · 18 김동주 · 25 이승엽
외야수 15 이용규 · 29 이택근 · 35 이진영
39 이종욱 · 50 김현수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경문
수석·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광수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김기태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조계현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김태형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김민호
벤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유승안
트레이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7 김용일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파일:508170_711141_5717.jpg
권혁
權奕 | Kwon Hyuk
출생 1983년 11월 6일 ([age(1983-11-06)]세)
대구직할시 중구
(現 대구광역시 중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대구수창초등학교 (졸업)
성광중학교 (졸업)
포철제철공업고등학교 (졸업)[1]
신체 192cm, 100kg, O형[2]
포지션 선발 투수 (2002~2004)[3]
중간 계투 (2002~2020)
마무리 투수 (2009, 2015, 2019)[4]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02년 1차 지명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02~2014)
한화 이글스 (2015~2018)

두산 베어스 (2019~2020)
지도자 김천대학교 야구부 투수코치 (2023~2024)
해설위원 SPOTV 야구 해설위원 (2022)
병역 예술체육요원
(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부문)
등장곡 DVBBS & Dropgun - 〈Pyramids〉 (ft. Sanjin)[5][6]
종교 불교
에이전트 파일:오킴스스포츠.png

1. 개요2. 선수 경력3. 선수 은퇴 후
3.1. 해설위원 경력3.2. 지도자 경력
4. 피칭 스타일5. 여담6. 수상 경력
6.1. KBO6.2. 국가대표
7. 연도별 성적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야구선수이자 前 SPOTV 해설 위원.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 두산 베어스에서 활약했으며, 포지션은 불펜 투수.

여러 팀을 거치며 인상적인 족적을 남겼다. 삼성 시절에는 최고의 좌완 불펜이었고, 한화로 이적후에는 훌륭한 활약에도 불구하고 성적 자체는 혹사 후유증으로 매 시즌 후반기마다 급락하는 바람에 이전에 비해 많이 떨어졌지만 일명 마리한화라고 불리는 인기 몰이의 핵으로서 불꽃남자라는 칭호까지 얻으며 대전에서는 아이돌급의 인기를 구가하였다. 그러나 그 2년 동안 지나치게 무리한 나머지 부상과 재활로 힘든 기간을 보내게 되었다.

그러다 2019 시즌 시작 전 한화 이글스 1군 스프링캠프 명단에서 제외되자, 한화 이글스 구단에 방출 요청을 한 뒤 한화를 나와 두산 베어스로 입단하게 된다. 2019년 두산 베어스에서는 좌타 스페셜리스트로 활약했고, 좌타 상대로는 좋은 성적을 보여주어 2019년 한국시리즈 우승의 멤버로 이름을 올리게 된다. 2020년에는 출발은 좋았으나 허리부상 및 어깨통증[7]등으로 인해서 한계를 느끼며 은퇴를 전격 선언하게 된다.[8]

2. 선수 경력

권혁의 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통합 선수 경력: 권혁/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아마추어 시절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2008년
}}}}}}}}} ||

3. 선수 은퇴 후

용인시 수지구에 이자카야를 차렸으며, 직접 서빙도 한다고 한다.[9]

2024년, 수원에 본인의 상징적인 구속인 '156k' 란 이름으로 피칭 아카데미도 직접 운용하고 있다.

3.1. 해설위원 경력

1년여에 공백기 끝에 2022 시즌 부터 스포티비의 해설위원으로 야구계에 돌아온다는 소문이 2022년 1월 부터 나오기 시작했고, 2022년 SPOTV의 해설위원으로 선임됐다.#

KBS N SPORTS 해설위원으로 선임된 유희관 해설위원에 이어 2번째로 나이가 어리다.

유독 kt 경기를 중계할때 kt의 승률이 높아서, kt 팬들에게 콱혁이라고 불리고 있다.#

특이하게 KIA 타이거즈 경기를 중계한 적이 없었다.

3.2. 지도자 경력

2022년 12월 28일 창단된 김천대학교 야구부의 투수 코치로 선임되었다.#

포철공고 1년 선배 박종윤이 창단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절친한 포철공고 멤버들과 함께 의기투합했다.[10] #

4. 피칭 스타일

파일:1568301673400.gif
한창 공이 좋을 때인 2007 시즌

가공할 만한 공 회전력, 평균 구속 150 km/h를 웃도는 빠른 패스트볼을 던졌던 대표적인 파이어볼러. 서승화김광현과 함께 한국프로야구 좌완 공인 최고 구속(156km/h)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1] 지나친 혹사 및 투구 스타일의 변화로 급격하게 구속이 줄긴 했으나 그래도 평균 구속 140km/h 중반은 꾸준히 찍었으며, 혹사와 부상이 누적된 말년에도 140km/h은 넘겼다. 좌완임을 감안하면 충분히 빠른 편이다.

제구는 데뷔 초창기 광속구를 던질 때는 그리 좋지 못했으나, 구속이 140km대로 떨어지고 나서는 어느 정도 제구도 안정되었다. 통산 K/BB는 2.03에 9이닝당 볼넷은 3.86으로 그렇게 나쁘다고는 볼 수 없는 수준이다. 아무리 좌완이라지만 150을 넘기지 못하는 투수가 제구까지 폭망이었다면 필승조는 커녕 1군 등판도 쉽지 않았을 것이다. 물론 좋다고는 볼 수 없는 수준으로, JOKKA 라인 중 BB/K가 가장 높다.

상체 중심의 피칭을 구사했으며, 주자가 없을 때도 세트 포지션처럼 발을 빼지 않고 던지는 경우도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2cm-100kg로 피지컬이 우월하고 릴리스 포인트도 높아서 구위로 타자를 찍어누르는 피칭을 했다. 구종도 패스트볼이 70% 이상이었던 전형적인 파이어볼러. 변화구는 주로 슬라이더를 던졌는데, 좌타자의 바깥쪽이나 우타자의 몸쪽으로 떨어질 때 효과가 상당했다. 슬라이더 이외엔 주로 커브도 실전에서 가끔 활용했고, 스플리터에 가까운 포크볼도 간간히 구사했다. 또 가끔 빠른볼 이후에 들어오는 고속 체인지업도 익혀서 간혹 실전에서 구사하기도 했지만, 비중은 그다지 높지 않았던 편이다.

불펜투수임에도 의외로 몸이 빨리 풀리는 편은 아니었으며, 투구를 하면서 영점이 잡히는 투수였기 때문에 짧은 투구보다는 긴 투구가 오히려 권혁에게 더 알맞는 투구 스타일. 멀티이닝을 자주 소화했던 시즌은 2004년, 2007년, 2009년, 2010년, 2015년, 2016년인데 공교롭게도 저 시즌 모두 뚜렷한 인상을 남기는데 성공했다. 그래서 선동열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측에서 많이 비판하는 내용 중 하나가 권오준과 권혁을 선발 투수로 쓰지 않고 불펜으로 돌렸다는 것이다. 다만 그렇다고 연투를 못하는 타입은 아니었다. 선동열 감독과 김성근 감독 시절에 2연투는 기본에 3연투와 4연투마저도 꽤 있었다.

상체 위주의 투구 스타일과 잦은 연투 등에도 불구하고 무려 781경기나 출전했고, 삼성과 한화 시절 우려스러울 정도의 많은 투구[12]로 인해 혹사 논란이 있었음에도 롱런한 케이스로 내구성은 역대 KBO 선수 중에서도 손에 꼽힐 정도로 좋다. 2000년대부터 이미 불펜 60-80이닝을 던지는 등 혹사당했으며 팀이 강화된 왕조 시절엔 오히려 등판 기회가 50이닝 언저리로 줄어든 데 불만을 표시, 김성근 체제 한화로 이적했고 그곳에서 2년간 200이닝 넘게 던지는 충격적 혹사를 당해 사실상 선수 커리어가 끝났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로 선수를 접은 것도 아니고 몇 년 더 프로 1군에서 뛰는 등 엄청난 내구성을 자랑했다.

선수생활 막바지였던 두산 시절에는 패스트볼의 비중을 다소 줄이고 그만큼 슬라이더의 비중을 늘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5. 여담

6. 수상 경력

6.1. KBO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권혁의 KBO 수상 경력
2006 한국시리즈 우승
2007 동군 올스타(감독추천)
2009 홀드 1위
2010 이스턴 올스타(감독추천)
2011 한국시리즈 우승
2012 한국시리즈 우승
2013 한국시리즈 우승
2014 한국시리즈 우승
2015 나눔 올스타(베스트12)
2019 한국시리즈 우승

6.2. 국가대표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권혁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수상 경력
2008 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종목 금메달

7.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권혁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승률 4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02 삼성 2 0 1 0 0 4 13.50 11 2 0.000 0 1 2.75 32.0 -0.26
2003 23 3 2 0 2 39⅓ 5.26 40 5 0.600 21 26 1.55 82.9 0.35
2004 37 3 3 0 3 81 4.78 80 12 0.500 42 78 1.46 90.8 1.23
2005 1군 기록 없음
2006 12 0 0 0 2 8 4.50 8 1 - 6 6 1.75 80.4 0.06
2007 60 7 1 0 19
(3위)
77⅔ 2.79 47 2 0.875 42 100 1.11 140.3 2.84
2008 43 6 0 0 15
(4위)
47⅔ 1.32 36 2 1.000 23 37 1.22 314.1 1.81
2009 63 5 7 6 21
(1위)
80⅔ 2.90 64 10 0.417 46 76 1.31 168.2 2.51
2010 60 7 1 4 10 73⅓ 2.09 54 6 0.875 21 73 1.00 221.0 3.04
2011 58 1 3 0 19
(4위)
48⅓ 2.79 38 2 0.250 24 27 1.24 149.3 1.08
2012 64 2 3 1 18
(5위)
49⅓ 3.10 48 2 0.400 21 38 1.38 123.1 1.32
2013 52 0 1 0 3 36⅓ 3.96 35 5 0.000 17 41 1.40 108.1 0.68
2014 38 3 2 0 1 34⅔ 2.86 27 4 0.600 11 38 1.10 185.2 1.18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승률 4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15 한화 78
(2위)
9 13 17 6 112 4.98 124 15 0.409 58 88 1.58 100.0 0.87
2016 66 6 2 3 13 95⅓ 3.87 93 5 0.750 49 77 1.42 135.7 2.79
2017 37 1 3 0 11 31⅓ 6.32 39 6 0.250 14 17 1.53 79.6 0.01
2018 16 1 1 0 3 11 4.91 9 2 0.500 4 11 1.18 107.9 0.22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승률 4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19 두산 57 2 2 1 11 36⅔ 4.91 36 3 0.500 9 21 1.17 83.6 -0.21
2020 15 2 2 0 2 7⅔ 9.39 11 0 0.500 4 7 1.96 49.3 -0.36
KBO 통산
(18시즌)
781 58 47 32 159
(2위)
874 3.79 800 84 0.552 412 762 1.34 120.4 19.18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권혁의 역대 KBO 타자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WAR*
2015 한화 1 1 0 0 0 0 0 0 0 0 1 .000 .000 .000 .000 - -0.16
KBO 통산
(1시즌)
1 1 0 0 0 0 0 0 0 0 1 .000 .000 .000 .000 - -0.16

8. 관련 문서


[1] 고2때 경상공업고등학교에서 전학[2] #[3] 데뷔 초기엔 선발투수로 육성되면서 선발투수로도 등판했다. 특히, 2년차이던 2003년과 3년차이던 2004년엔 가능성 있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부상에서 복귀 한 2007시즌에도 선발투수로 준비되었지만, 당시 팀 사정상 셋업맨으로 완전히 고정 되게 되었고, 선발투수 경력은 여기서 끝이 났다.[4] 2009년엔 오승환이 부진과 부상으로 이탈하자 정현욱과 팀의 더블 스토퍼로도 활약했다. 2015년엔 선발 투수를 제외한 모든 보직을 담당했지만, 주로 팀의 마무리로 나왔다. 2019년엔 팀의 마무리였던 함덕주 대신 임시 마무리를 맡은적이 있다.[5] 2015시즌엔 마리아노 리베라의 현역 시절 등장곡이었던 메탈리카 - 〈Enter Sandman〉을 사용했다.[6] 삼성 시절엔 터보의 검은 고양이를 썼다.[7] https://www.mbn.co.kr/news/sports/4335708[8] 프로야구에서 18시즌 동안 활약[9] 가게명은 바뀌었지만 여전히 운영중이라고 한다[10] 타격 인스트럭터로 포철공고 야구부 출신인 최준석을 영입하였다.[11] 2004년 두산 베어스와의 잠실 경기에서 기록. 2004년 포스트 시즌에서는 157 km/h를 찍기도 했으나 페넌트레이스 중이 아니라서 시즌 정식 기록으로는 인정되지 않았다.[12] 삼성 땐 선동열 감독, 한화 땐 김성근 감독[13] 그리고 훗날 KBO에 진짜 강백호가 등장한다.[14] 07/08 시즌에는 강력한 커브로 불펜에서 활약했던 권오원까지 합쳐서 KKK 트리오로 불렸으며, 세 선수가 연달아 나온 적도 있다.[15] 사실 부정적인 의미만은 아니다. 삼성의 사실상 유일한 좌완 필승조라는 점에서 권혁을 '불펜의 핵'으로 자주 일컬었기 때문이었고, 오래 전엔 실제로 이런 의미의 기사가 나온적도 있다.[16] 18.10.13 한화 이글스 포스트 시즌 출정식에 참가한 사람들의 증언에 따르면 권혁 선수 소개 시 함성이 다른 선수의 3~4배였다고 한다.[17] http://news.imaeil.com/page/view/2007051109123879213[18] 2006년이라고 잘못 기재했었는데, 이건 아마 사진을 2003년에 촬영한 뒤 2006년에 블로그에 업로드한 것으로 추정된다. 블로그를 보면 이승엽틸슨 브리또, 김진웅, 이정호가 삼성에 있었고 손혁차명주두산 베어스 소속인 상태이다. 당시 권혁은 입단 2년 차였다.[19] 당시 스포츠서울 소속. 현재는 스포츠동아로 옮긴 상태이다. 이광용의 옐로우카드의 주 패널로 잘 알려져 있다.[20] 자칫 목숨을 잃을뻔했던 일을 농담삼아 내뱉으면 누구든 기분이 좋을 리가 없다.[21] 유니폼 사이즈로보면 여성 팬.[22] 오케스트라 악단에서 일했던 연주자 출신이다.[23]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oid=109&aid=0002061127[24] 근데 삼성 라이온즈는 오히려 중위권에 위치해있으면 이상한 팀이다.[25] 그런데 막상 프로필 사진이나 방송에 나온 모습들을 보면 무서운 인상의 얼굴은 절대 아니다. 은근히 미남 속성을 갖고 있으며 동안 속성도 좀 있다.[26] 이글스 TV에 나온 한화 선수들의 자녀들 영상[27] 물론 당시 강민호는 1군 붙박이가 된지 얼마 안 된 신인급 포수였다는 것은 감안해야 할 것이다. 참고로 두 선수는 포철공고 선후배 사이이며, 먼 훗날 강민호는 삼성으로 이적해 권혁이 달았던 등번호를 그대로 달게 된다.[28] https://www.spotvnews.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263176[29] 8번은 오뚜기란 뜻과 8회를 책임진다는 뜻도 있다고 한다.[30] 다만, 시즌도중에 8번은 외자 이름인데다가 워낙 피지컬이 커서 뭔가 허전해보여서 두자릿수 번호인 19으로 교체했다.[31] 정면 플라이볼 타구였지만, 우익수가 순간적인 라이트 탓에 못잡은 수비의 실책으로 벌어진 나비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