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9 20:10:39

펠릭스 페냐

펠릭스 페냐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c4e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한화 이글스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치멜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부시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누네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워렌(3)(2) 파일:미국 국기.svg
윈스턴(3)(2) 파일:미국 국기.svg
차베스(3)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반스(2) 파일:미국 국기.svg
리스(3)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캄포스(1) 파일:멕시코 국기.svg
피코타(3) 파일:파나마 국기.svg
가르시아(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라피니(3)(2)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피코타(2) 파일:파나마 국기.svg
에스트라다(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메히아(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엔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어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즈 파일:미국 국기.svg
세드릭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토마스 파일:호주 국기.svg
클락 파일:미국 국기.svg
토마스 파일:호주 국기.svg
디아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연지(3) 파일:미국 국기.svg
데폴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페얀(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에노(3) 파일:쿠바 국기.svg
데폴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가르시아(3) 파일:멕시코 국기.svg
오넬리(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티스타(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티스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배스(2) 파일:미국 국기.svg
션헨(3)(2)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바티스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이브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피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클레이(2) 파일:미국 국기.svg
타투스코(3) 파일:미국 국기.svg
앨버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탈보트 파일:미국 국기.svg
유먼(2) 파일:미국 국기.svg
로저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건(2) 파일:미국 국기.svg
폭스(3) 파일:미국 국기.svg
로저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서캠프(3) 파일:미국 국기.svg
마에스트리(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스티요(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사리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사리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간도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비야누에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샘슨 파일:미국 국기.svg
휠러(2) 파일:미국 국기.svg
헤일(3)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 파일:미국 국기.svg
서폴드 파일:호주 국기.svg
채드벨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 파일:미국 국기.svg
서폴드 파일:호주 국기.svg
채드벨(2)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2) 파일:미국 국기.svg
반즈(3) 파일:미국 국기.svg
킹험 파일:미국 국기.svg
카펜터 파일:미국 국기.svg
힐리(2) 파일:미국 국기.svg
페레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험(2) 파일:미국 국기.svg
페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펜터(2)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터크먼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그레디(2)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스(3) 파일:미국 국기.svg
페라자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냐(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바리아(3) 파일:파나마 국기.svg
와이스(5) 파일:미국 국기.svg
와이스 파일:미국 국기.svg
플로리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폰세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계약 취소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5) 일시 대체 영입 후 정식 계약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펠릭스 페냐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시카고 컵스 등번호 60번
매니 코르파스
(2012)
<colcolor=#fff> 펠릭스 페냐
(2016~2017)
코리 마조니
(2018)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64번
마이크 모린
(2014~2017)
펠릭스 페냐
(2018~2021)
헤라르도 레예스
(2022)
한화 이글스 등번호 20번
킹험
(2021~2022.6.1.)
페냐
(2022.6.30.~2024.5.26.)
바리아
(2024.6.4.~2024)
}}} ||
}}} ||
<nopad> 파일:2024_페냐.png
<colbgcolor=#004A26><colcolor=#fff> 레오네스 데 유카탄 No.
펠릭스 페냐
Félix Peña
본명 펠릭스 리카르도 페냐
Félix Ricardo Peña
출생 1990년 2월 25일 ([age(1990-02-25)]세)
산 페드로 데 마코리스
국적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88cm, 99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9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CHC)
소속팀 시카고 컵스 (2016~2017)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018~2021)
한화 이글스 (2022~2024)
레오네스 데 유카탄 (2025~)
에스트레야스 오리엔탈레스 (2015/16, 2017/18)
토로스 델 에스테 (2021/22, 2024/25~)
기록 합작 노히트 노런 (2019. 7. 12.)[1]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도미니카 공화국 국적의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펠릭스 페냐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펠릭스 페냐/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2년 2023년 2024년

3. 플레이 스타일

파일:페냐직구.gif
페냐의 포심 패스트볼
파일:페냐체인지업.gif
체인지업

메이저 리그 시절 기준 싱커(92~94마일) + 슬러브성 브레이킹볼(81~84마일)[2]의 투피치 유형의 투수였다.

메이저 리그에선 여타 유망주들이 그렇듯 빠른 공을 던지며 기회를 받았으나 체인지업을 비롯한 서드피치 개발에 계속 어려움을 겪으며 선발 경쟁력을 점차 잃었다.

싱커 구위가 좋을 때는 언터처블의 모습을 보이나 기복이 있고, 포심을 섞어 던지지만 구위가 뛰어난 편은 아니라서 빅리그 기준으로 깃털로 분류된다. 포심의 최고 시속은 95~96마일 수준에서 형성되는 편이었다.[3]

BB/9가 3 초반대를 오고갈 정도로 제구가 많이 흔들리는 편은 아니고, K/9도 커리어 통산 9를 넘기는 등 빅리그에서도 어느 정도 경쟁력을 보였던 제구를 갖고 있다.

KBO 리그에서는 메이저 리그에선 완성도가 낮았던 다른 구종들이 나름 통하다 보니 구종이 다양한 편이 되었다. 특히 KBO 입성 이후부터 새롭게 장착한 체인지업이 높은 평가를 받으며, 일반적인 체인지업 그립이 아닌 페냐만의 독특한 그립을 구사하며 페냐의 결정구로 자리잡았다. 이처럼 다양한 구종을 던지는 덕분에 전반적으로 유동적인 경기운영과 피칭 스타일을 가져간다. 메이저 시절에는 투피치 투수였지만 KBO 이후 던지는 구종은 포심, 싱커, 체인지업, 커브다.

공인구의 차이도 어느정도 영향을 주었는데, 한국에서의 직구가 미국 시절보다 잘 들어간다고 한다. 실제로 KBO에서 직구를 섞어본 경기들의 결과가 꽤 좋았고 정통 패스트볼과 싱킹 패스트볼을 섞어 던지는 투수로 진일보했다.

23시즌 들어 수비 실책이 많은 팀 특성상[4] 삼진을 많이 잡아내는 파워 피처로 스타일 변화를 시도하려 했으나 잘 먹히지 않자 5월부터는 다시 평소대로 땅볼유도형으로 돌아와 더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5]

4. 연도별 성적

4.1. MLB

파일:MLB 로고.svg 펠릭스 페냐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ff>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16 CHC 11 0 0 1 0 9 4.00 5 1 3 0 13 0.889 109 0 0
2017 25 1 0 0 0 34⅓ 5.24 35 8 18 2 37 1.544 84 -0.1 -0.5
<rowcolor=#fff>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18 LAA 19 3 5 0 0 92⅔ 4.18 87 12 28 4 85 1.241 101 1.1 0.2
2019 22 8 3 0 0 96⅓ 4.58 80 16 34 6 101 1.183 101 1.0 0.1
2020 25 3 0 2 0 26⅔ 4.05 27 2 8 1 29 1.313 113 0.6 0.3
2021 2 0 0 0 0 1⅔ 37.80 7 0 4 0 2 6.600 14 -0.3 -0.5
<rowcolor=#000> MLB 통산
(6시즌)
104 15 8 3 0 260⅔ 4.66 241 39 95 13 267 1.289 95 2.3 -0.4

4.2. KBO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펠릭스 페냐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년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22 한화 13 5 4 0 0 67⅔ 3.72 63 4 30 4 72 1.37 91.82 1.33
2023 32 11 11
(공동 2위)
0 0 177⅓ 3.60 149 14
(공동 3위)
59 18
(2위)
147 1.17 86.63 4.20
2024 9 3 5 0 0 37⅓ 6.27 41 6 20 0 29 1.63 128.64 0.36
<rowcolor=#000> KBO 통산
(3시즌)
54 19 20 0 0 282⅓ 3.98 253 24 109 22 248 1.28 93.43 5.89

5. 여담

6. 관련 문서



[1] 이 날 LA 에인절스는 오프너를 기용했고, 페냐는 3회부터 9회를 책임졌다.[2] KBO 기준 스포츠투아이나 스탯티즈 등지에서는 2022 시즌엔 슬라이더로 구분되었지만, 2023 시즌부터는 커브로 구분되고 있다.[3] 2019년 하반기 1루 베이스 커버 중 십자인대 부상으로 인해 긴 재활을 겪었고, 이후 구위가 살아나지 못하면서 구속이 1~2마일 정도 떨어졌다.[4] 오히려 23시즌 팀이 최소 실책 1위를 찍는 등 수비가 개선되었다.[5] 4월에 부진했던 이유는 바꾼 피칭 스타일이 통하지 않았던 것도 있지만 꽃가루 알레르기와 심한 감기로 인해 몸상태가 좋지 않았던 것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