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01:36:21

호세 파라

호세 파라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45번
이종규
(1997)
<colbgcolor=#228b22><colcolor=#fff> 파라
(1998)
권오준
(1999~2000)
한화 이글스 등번호 19번
차베스
(2001.9.1.~2001)
파라
(2002)
유혜정
(2003~2004)
}}} ||
파일:fMY4DFU.jpg
호세 파라
José Parra
본명 호세 미겔 파라
José Miguel Parra
출생 1972년 11월 18일 ([age(1972-11-18)]세)
하카과
국적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학력 Jacagua
신체 180cm, 72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89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LAD)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95)
미네소타 트윈스 (1995~1996)
삼성 라이온즈 (1998)
요미우리 자이언츠 (1999)
피츠버그 파이리츠 (2000)
퉁이 라이온스 (2001)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02)
한화 이글스 (2002)
퉁이 라이온스 (2003)
뉴욕 메츠 (2004)
오릭스 버팔로즈 (2005)
지도자 GCL 타이거스 이스트 투수코치 (2018~2019)
1. 개요2. 선수 경력3. 여담4. 연도별 주요 성적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에서 활동한 외국인 선수. 스캇 베이커와 더불어 삼성 라이온즈의 첫 외국인 선수였다.

2. 선수 경력

2.1.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절

1995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소속으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데뷔했다. 이후 미네소타 트윈스로 이적해 1996년까지 메이저리그에서 뛰었다. 한국에 오기 전까지 2년간 메이저리그에서 47경기에 등판해 6승 10패 5.59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평범한 선수였다.

2.2. 삼성 라이온즈

2.2.1. 1998 시즌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ERA- WAR
60 95.2 7 8 0.467 3.67 79 7 46 55 42 39 1.24 87.27 2.05
결론부터 말하자면 WAR 2.05에 ERA- 기준으로 87.27[1], 즉 리그에서 평균보다 위인 성적을 기록했다. 다만 이닝 및 승수는 60게임 95.2이닝 7승으로 사실상 완전한 선발감은 아니고 선발이나 불펜에서 모두 굴릴만한 투수로서 활약했다. 이후 재계약을 시도하긴 했으나 결국 이러저러한 이유로 삼성에서 더 뛸 일은 없게된다.

호세 파라는 1998년 한국프로야구가 외국인 선수 제도를 시행함과 동시에 열린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에서 삼성 라이온즈가 1라운드 전체 5번으로 지명하면서 한국으로 오게 되었다. 당시 외국인 선수 제도를 처음으로 도입했던 한국의 경우 마이너리그 죽돌이들이나 오는 것이었고, 메이저리그 경력이 한번도 없는 선수도 흔해서 메이저 콜업이 한 번이라도 있으면 능력이 뛰어난 편이라고 평가받았다. 그런데 한국에 오기 전까지 무려 2시즌 동안 47경기나 등판한 경력이 있던 파라는 매우 우수한 경력을 지닌 선수로 평가받았고, 150km/h대 강속구를 던질 수 있는데다 나이도 26세로 젊은 편이라 그만큼 기대치도 컸다.

삼성은 파라를 당초 선발 투수로 기용하려 했지만 마무리 김태한이 1998년 시즌을 앞두고 입대하면서 공백이 생김에 따라 삼성은 호세 파라에게 마무리 투수를 맡겼다. 150km/h대의 빠른 공을 던졌지만 빠른 구속과는 다르게 구위가 묵직하지 못했고, 변화구 역시 구사할 수 있는 종류가 거의 없었던데다 그나마 던질 줄 알았던 슬라이더마저 밋밋하다는 평가를 받았다.[2] 그리고 당시 삼성 불펜이 허약한 편이라 8회부터 파라가 투입되는 일이 많았는데, 한번 등판할 때마다 거의 2이닝 이상을 소화하다 보니[3] 체력적인 문제로 9회가 되면 난타를 당하곤 했다. 파라의 강속구를 살려보고자 삼성이 시즌 후반에는 선발로 급 전향시켜 기용하기도 했으나 결국 파라는 마무리로 시즌을 마쳤다.[4]

1998년 파라의 정규시즌 성적은 7승 8패 19세이브 ERA 3.67로 세이브 6위에 올랐다. 이에 삼성은 시즌 종료 후 파라와 재계약을 시도했지만, 갑자기 태도를 바꿔 뜬금없이 이적료 8만 5000달러를 받고 일본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파라를 이적시켰다.[5] 이는 삼성이 파라의 애매한 성적으로 인해 재계약을 하기는 싫었으나 그렇다고 재계약하지 않고 자유계약으로 풀 경우 다른 팀에 가서 비수로 돌아오는 걸 막기 위해[6] 이적료를 받고 일본 구단으로 이적시킨 걸로 보인다. 마침 비슷한 시기 트레이드를 통해 임창용을 영입하는 데 성공하며 마무리 보강에 성공하기도 했으니 더더욱 파라를 쓸 이유가 없어지기도 했다.

한편 8월 8일 대구 해태전에서는 삼성 포수의 흑역사인 그 분의 대타로 나왔던 이순철과 배터리를 이뤄 2이닝 무실점 투구를 하는 이색적인 기록을 세웠다. 당시 포수 미트를 끼고 파라의 공을 받아봤던 이순철에 의하면 공이 매우 빠른 편이었다고 평가했다.

2.3. 이후

파일:한화 파라.jpg
한화 이글스 시절

1999년 삼성을 떠나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이적했으나 2승 3패 6.32의 평균자책점으로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면서 1년만에 방출되었다. 이후 미국으로 돌아간 뒤 2000년 피츠버그 파이어리츠에 입단해 잠깐 메이저리그 무대를 밟았고, 대만 퉁이 라이온즈,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에서 뛰었다.

2002년 6월 한화 이글스가 댄 세라피니의 대체선수로 파라를 영입하며 3년 반만에 한국으로 돌아왔다. 한화 시절에는 선발 등판 없이 불펜으로만 나오면서 31경기에서 3승 1패 4세이브를 거두었다. 하지만 6점대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재계약에는 실패했다.

2004년에는 뉴욕 메츠 소속으로 메이저리그에 승격되어 13경기에 등판했다. 2005년 시즌을 앞두고 오릭스 버팔로즈에 입단하며 6년만에 일본프로야구로 돌아왔다. 개막 이후 첫 승리를 거두는 등 초반에는 순항했으나 6월 교류전 때 팔꿈치 부상으로 이탈했다. 결국 이탈 후로 1군에 돌아오지 못하고 8경기(7선발) 33이닝 4승 2패 ERA 4.09라는 기록을 남긴 후 8월 말 방출, 이후 은퇴했다.

3. 여담

운전을 맨발로 하는 걸 즐겼다고 한다.

4.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995 LAD 8 10⅓ 0 0 0 - 4.35 10 7 7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995 MIN 12 61⅔ 1 5 0 - 7.59 83 24 29
1996 27 70 5 5 0 - 6.04 88 30 50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998 삼성 60 95⅔ 7 8 19
(5위)
- 3.67 79 46 55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999 요미우리 12 47⅓ 2 3 0 - 5.32 43 26 25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0 PIT 6 11⅔ 0 1 0 - 6.94 17 8 9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2 ARI 16 14 0 1 0 4 3.21 13 12 8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2 한화 31 39 3 1 4 0 6.00 48 21 32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4 NYM 13 14 1 0 0 1 3.21 14 6 34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5 오릭스 8 33 4 2 0 0 4.09 38 10 20
<colbgcolor=#ffff88> MLB 통산
(5시즌)
82 181⅔ 7 12 0 5 6.09 225 87 117
NPB 통산
(2시즌)
20 80⅓ 6 5 0 0 4.82 41 36 45
KBO 통산
(2시즌)
91 134⅔ 10 9 23 0 4.34 127 67 87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베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3)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토레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갈베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베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에르가(3)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루크(2) 파일:미국 국기.svg
엘비라(3) 파일:멕시코 국기.svg
패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엘비라(2) 파일:멕시코 국기.svg
라이언(3)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리어리(2) 파일:미국 국기.svg
로페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르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크먼(2)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3)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2) 파일:미국 국기.svg
매존(3)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오버뮬러(2)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즈(2) 파일:미국 국기.svg
(3)(2) 파일:미국 국기.svg
에니스(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2) 파일:미국 국기.svg
레딩(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가코(2) 파일:미국 국기.svg
매티스(3)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2) 파일:일본 국기.svg
저마노(3) 파일:미국 국기.svg
탈보트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드리게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리대(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피가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클로이드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웹스터(2) 파일:미국 국기.svg
플란데(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벨레스터(2) 파일:미국 국기.svg
레온(3) 파일:멕시코 국기.svg
발디리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나도 파일:미국 국기.svg
페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아델만 파일:미국 국기.svg
보니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헤일리(2)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슨(3) 파일:미국 국기.svg
맥과이어(2)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3)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살라디노(2) 파일:미국 국기.svg
팔카(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2) 파일:미국 국기.svg
몽고메리(3)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수아레즈(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와이드너(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코너 파일:미국 국기.svg
레예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키넌(2) 파일:미국 국기.svg
카데나스(3)(2)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예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후라도 파일:파나마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c4e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한화 이글스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치멜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부시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누네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워렌(3)(2) 파일:미국 국기.svg
윈스턴(3)(2) 파일:미국 국기.svg
차베스(3)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반스(2) 파일:미국 국기.svg
리스(3)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캄포스(1) 파일:멕시코 국기.svg
피코타(3) 파일:파나마 국기.svg
가르시아(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라피니(3)(2)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피코타(2) 파일:파나마 국기.svg
에스트라다(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메히아(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엔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어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즈 파일:미국 국기.svg
세드릭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토마스 파일:호주 국기.svg
클락 파일:미국 국기.svg
토마스 파일:호주 국기.svg
디아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연지(3) 파일:미국 국기.svg
데폴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페얀(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에노(3) 파일:쿠바 국기.svg
데폴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가르시아(3) 파일:멕시코 국기.svg
오넬리(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티스타(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티스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배스(2) 파일:미국 국기.svg
션헨(3)(2)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바티스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이브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피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클레이(2) 파일:미국 국기.svg
타투스코(3) 파일:미국 국기.svg
앨버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탈보트 파일:미국 국기.svg
유먼(2) 파일:미국 국기.svg
로저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건(2) 파일:미국 국기.svg
폭스(3) 파일:미국 국기.svg
로저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서캠프(3) 파일:미국 국기.svg
마에스트리(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스티요(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사리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사리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간도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비야누에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샘슨 파일:미국 국기.svg
휠러(2) 파일:미국 국기.svg
헤일(3)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 파일:미국 국기.svg
서폴드 파일:호주 국기.svg
채드벨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 파일:미국 국기.svg
서폴드 파일:호주 국기.svg
채드벨(2)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2) 파일:미국 국기.svg
반즈(3) 파일:미국 국기.svg
킹험 파일:미국 국기.svg
카펜터 파일:미국 국기.svg
힐리(2) 파일:미국 국기.svg
페레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험(2) 파일:미국 국기.svg
페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펜터(2)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터크먼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그레디(2)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스(3) 파일:미국 국기.svg
페라자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냐(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바리아(3) 파일:파나마 국기.svg
와이스(5) 파일:미국 국기.svg
와이스 파일:미국 국기.svg
플로리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폰세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계약 취소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5) 일시 대체 영입 후 정식 계약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1] 쉽게 말하자면 ERA-는 낮을수록 좋고, 100이 투고성향 제외 시 ERA 4점 정도로 평가되니 투고성향을 제외 시 ERA 3.49 수준의 활약을 했다고 보면 편하다.[2] 이마저도 한국에 와서 커브볼을 추가로 배웠다는 얘기가 있었다.[3]게시물에 의하면 7월 12일 대구 OB전과 8월 24일 잠실 LG전에서는 구원투수로 등판해 4이닝 이상을 던졌고 그 외 2이닝 이상 소화한 경기도 꽤나 많았다. 사실상 중무리 투수로 굴려진 셈.[4] 결국 삼성은 마무리 부재를 해결하기 위해 이듬해 팀의 프랜차이즈 양준혁해태 타이거즈임창용과 트레이드한다. 그리고 서정환 감독은 트레이드로 온 임창용을 중무리 투수로 철저하게 혹사시켰다.[5] 삼성과 요미우리는 자매구단 관계이고 당시 이건희 구단주와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감독의 친분은 말할 것도 없이 매우 유명하다.[6] 실제로 이 당시 삼성이 파라와 재계약하지 않을 경우 두산 베어스가 새로운 외국인 투수로 파라를 영입하려 한다는 소문이 유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