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2 10:02:05

엔젤 페냐

엔젤 페냐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6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한화 이글스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치멜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부시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누네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워렌(3)(2) 파일:미국 국기.svg
윈스턴(3)(2) 파일:미국 국기.svg
차베스(3)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반스(2) 파일:미국 국기.svg
리스(3)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캄포스(1) 파일:멕시코 국기.svg
피코타(3) 파일:파나마 국기.svg
가르시아(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라피니(3)(2)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피코타(2) 파일:파나마 국기.svg
에스트라다(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메히아(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엔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어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즈 파일:미국 국기.svg
세드릭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토마스 파일:호주 국기.svg
클락 파일:미국 국기.svg
토마스 파일:호주 국기.svg
디아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연지(3) 파일:미국 국기.svg
데폴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페얀(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에노(3) 파일:쿠바 국기.svg
데폴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가르시아(3) 파일:멕시코 국기.svg
오넬리(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티스타(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티스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배스(2) 파일:미국 국기.svg
션헨(3)(2)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바티스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이브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피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클레이(2) 파일:미국 국기.svg
타투스코(3) 파일:미국 국기.svg
앨버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탈보트 파일:미국 국기.svg
유먼(2) 파일:미국 국기.svg
로저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건(2) 파일:미국 국기.svg
폭스(3) 파일:미국 국기.svg
로저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서캠프(3) 파일:미국 국기.svg
마에스트리(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스티요(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사리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사리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간도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비야누에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샘슨 파일:미국 국기.svg
휠러(2) 파일:미국 국기.svg
헤일(3)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 파일:미국 국기.svg
서폴드 파일:호주 국기.svg
채드벨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 파일:미국 국기.svg
서폴드 파일:호주 국기.svg
채드벨(2)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2) 파일:미국 국기.svg
반즈(3) 파일:미국 국기.svg
킹험 파일:미국 국기.svg
카펜터 파일:미국 국기.svg
힐리(2) 파일:미국 국기.svg
페레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험(2) 파일:미국 국기.svg
페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펜터(2)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터크먼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그레디(2)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스(3) 파일:미국 국기.svg
페라자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계약 취소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엔젤 페냐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63번
결번 엔젤 페냐
(1998)
존 멜로언
(2007)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36번
스캇 래딘스키
(1996~1998)
엔젤 페냐
(1999~2001)
오마 달
(2002)
한화 이글스 등번호 23번
박정진
(2001~2003)
엔젤
(2004)
정민철
(2005~2009)
}}} ||
}}} ||
파일:attachment/엔젤 페냐/1.jpg
엔젤 페냐
Angel Pena
본명 앙헬 마리아 페냐
Angel Maria Pena[1]
출생 1976년 2월 16일 ([age(1976-02-16)]세)
산페드로데마코리스
국적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산페드로데마코리스 고등학교
신체 178cm, 102kg
포지션 3루수, 포수, 1루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92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LAD)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98~1999, 2001)
한화 이글스 (2004)

1. 개요2. 선수 경력3. 최초의 외국인 포수4. 연도별 성적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도미니카 공화국 국적의 전 야구 선수.

2. 선수 경력

2004년 한화 이글스에 계약금 7만달러, 연봉 13만달러의 조건으로 영입되었다.

당시 한화 이글스강석천의 은퇴 이후 고질적인 3루 수비 불안으로 3루 수비가 가능한 용병타자를 물색했는데, 그 결과물로 영입된 타자이다.

하지만 본래 이 선수는 메이저리그, 마이너리그에서 주로 포수로 활동하던 선수로,[2] 단지 1루와 3루 수비가 '가능하다'는 이유로 3루수로 영입되었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역시나 3루 수비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고, 1루수나 지명타자로 출전하였으나 그의 타격 실력 또한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3] 기복이 심했으며 태도 또한 불성실해[4] 결국 5월 말 40경기 0.275, 9홈런, 27타점의 성적을 남기고 퇴출되었다. 대체 선수로는 전해 SK 와이번스에서 뛰었던 3루수 에디 디아즈를 영입했다.

3. 최초의 외국인 포수

여기까지만 보면 흔하디 흔한 퇴출 외국인 선수의 사례라고 볼 수 있지만, 이 선수의 진가는 따로 있다. 바로 KBO 최초의 외국인 포수였다.

개그 시프트로 유명한 유승안 당시 한화 감독의 작품으로, 주전포수였던 이도형[5]이 왼 무릎 부상으로 며칠간 결장하게 되자, 엔젤 페냐를 포수로 선발 출전시킨 것. 1998년 한국프로야구에 외국인 선수 제도가 도입된 이래, 외국인 선수가 포수를 본 사례는 엔젤 페냐가 최초였으며, 10년 후인 2014년 4월 10일 넥센의 비니 로티노가 포수로 선발 출장하기 전까지 유일하였다.

유승안 감독은 포수로서의 엔젤에 만족했는지 아예 주전 포수로 쓸 생각도 했었다고 한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듯이 포수로 출장시킬 경우 추가수당을 달라고 요구해서 빡친 유승안이 그대로 퇴출시켜버렸다. 다만, 이는 와전된 것이라고 한다. 유승안 감독이 시범경기에서 포수장비를 낀 페냐를 보자 포수를 볼 생각이 있냐고 했을때 페냐는 '만 달러 주면 한다.'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유승안이 '7천은 안되나' '7천도 좋다' 라는 식의 농담이 와전된 것.[6] 40경기에서 9홈런을 기록했을 정도로 파워는 있어서 풀타임 출장을 시켰더라면 30홈런을 넘겼을 것이다.

당시 백업으로는 훗날 한화의 주전포수가 되는 신경현이 있었으나, 타격이 약하여 엔젤을 포수로 출장시켰다고 한다. 당시 측정한 허리 둘레가 42인치나 됐다고 하여 '배불뚝이 엔젤'이라고 불리기도 했다고.

파일:attachment/엔젤 페냐/2.jpg
이때문에 한때 역대 외국인 선수 베스트 10에 들어갔다. 당시 기준으로 외국인 선수 역사상 포수로 출장한 선수가 엔젤밖에 없어 당연한 일이었다(단독출마).

4.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1998 LAD 6 13 3 0 0 0 1 0 0 0 6 .231 .231 .231 .462 0.0
1999 43 135 25 6 0 4 14 21 0 12 24 .208 .276 .358 .634 0.4
2001 22 58 11 1 0 1 3 2 0 1 17 .204 .214 .278 .492 -0.3
MLB 통산
(3시즌)
71 206 39 7 0 5 18 23 0 13 47 .209 .256 .326 .582 0.1
연도 소속팀 경기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삼진 장타율 출루율 OPS sWAR
2004 한화 40 131 .275 36 3 0 9 27 21 2 25 30 .504 .391 .895 1.60
KBO 통산
(1시즌)
40 131 .275 36 3 0 9 27 21 2 25 30 .504 .391 .895 1.60

5. 관련 문서


[1] 스페인어를 쓰는 도미니칸이기 때문에 원래 이름은 앙헬 페냐에 가깝다. 하지만 국내 등록명은 영어식으로 엔젤이었기 때문에, 항목명을 포함해 엔젤 페냐로 기술하였다.[2] LA 다저스 시절 폴 로두카와 함께 포수 최고 유망주로 꼽혔으며, 박찬호와도 호흡을 맞춘 일이 있다. 여담이지만 박찬호가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과의 경기에서 상대투수 팀 벨쳐와 시비가 붙어 이단옆차기를 날렸을때 호흡을 맞추었으며 이단옆차기 당시 박찬호가 번트를 댈 때 1루에 있던 주자가 그였다.[3] 그러나 OPS상으로는 나쁘지 않았다.[4] 연습에 불참하기도 하였고, 이쑤시개를 물고 경기를 하는 등의 물의를 일으켰다.[5] 그 이후 이도형은 무릎부상 덕분에 지명타자로 전환하게된다. 그와 동시에 채고의 포수가 주전이 된다.[6] 애초에 포수를 본것도 당시 주전 포수인 이도형의 부상으로 임시방편으로 본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