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7 09:49:27

알프레도 피가로

알프레도 피가로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00019>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9e751f> 1936春夏 1936秋 1937春~1937秋 1938春 1938秋
미야타케 사부로 키타이 마사오 이시다 미츠히코 미야타케 사부로 오다노 카시와
<rowcolor=#9e751f> 1939 1940 1941 1942 1943
아사노 카츠사부로 시게미츠 미치오 아사노 카츠사부로 하시모토 쇼고 텐포 요시오
<rowcolor=#9e751f> 1944 1946~1948 1949 1950~1952 1953
카사마츠 미노루 텐포 요시오 이마니시 렌타로 텐포 요시오 시바타 에이지
<rowcolor=#9e751f> 1954 1955 1956~1958 1959 1960
카지모토 타카오 시바타 에이지 카지모토 타카오 요네다 테츠야 카지모토 타카오
<rowcolor=#9e751f> 1961 1962 1963 1964 1965
요네다 테츠야 이시이 시게오 카지모토 타카오 요네다 테츠야 아다치 미츠히로
<rowcolor=#9e751f> 1966 1967 1968 1969~1971 1972~1973
이시이 시게오 요네다 테츠야 이시이 시게오 요네다 테츠야 아다치 미츠히로
<rowcolor=#9e751f> 1974 1975~1986 1987~1989 1990 1991
타케무라 카즈요시 야마다 히사시 사토 요시노리 호시노 노부유키 사토 요시노리
<rowcolor=#9e751f> 1992~1994 1995 1996~1998 1999~2000 2001
호시노 노부유키 사토 요시노리 호시노 노부유키 코바야시 히로시 카네다 마사히코
<rowcolor=#9e751f> 2002 2003 2004 2005~2007 2008
에드 야날 요시이 마사토 구대성 카와고에 히데타카 카네코 치히로
<rowcolor=#9e751f> 2009 2010 2011 2012 2013~2014
코마츠 사토시 카네코 치히로 키사누키 히로시 알프레도 피가로 카네코 치히로
<rowcolor=#9e751f> 2015 2016~2017 2018 2019~2020 2021~2022
브랜든 딕슨 카네코 치히로 니시 유키 야마오카 타이스케 야마모토 요시노부
<rowcolor=#9e751f> 2023 2024~2025
야마시타 슌페이타 미야기 히로야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베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3)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토레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갈베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베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에르가(3)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루크(2) 파일:미국 국기.svg
엘비라(3) 파일:멕시코 국기.svg
패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엘비라(2) 파일:멕시코 국기.svg
라이언(3)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리어리(2) 파일:미국 국기.svg
로페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르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크먼(2)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3)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2) 파일:미국 국기.svg
매존(3)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오버뮬러(2)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즈(2) 파일:미국 국기.svg
(3)(2) 파일:미국 국기.svg
에니스(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2) 파일:미국 국기.svg
레딩(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가코(2) 파일:미국 국기.svg
매티스(3)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2) 파일:일본 국기.svg
저마노(3) 파일:미국 국기.svg
탈보트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드리게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리대(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피가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클로이드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웹스터(2) 파일:미국 국기.svg
플란데(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벨레스터(2) 파일:미국 국기.svg
레온(3) 파일:멕시코 국기.svg
발디리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나도 파일:미국 국기.svg
페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아델만 파일:미국 국기.svg
보니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헤일리(2)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슨(3) 파일:미국 국기.svg
맥과이어(2)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3)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살라디노(2) 파일:미국 국기.svg
팔카(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2) 파일:미국 국기.svg
몽고메리(3)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수아레즈(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와이드너(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코너 파일:미국 국기.svg
레예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키넌(2) 파일:미국 국기.svg
카데나스(3)(2)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예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후라도 파일:파나마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ecd00> 1982 1983 1984 1985 1986
황규봉 이선희 김시진 김일융 김시진
1987 1988 <rowcolor=#fff> 1989 1990 1991
김훈기 전용권 진동한 김상엽 김성길
1992~1993 <rowcolor=#fff> 1994~1996 1997 1998 1999
김상엽 김태한 전병호 조계현 김상진
<rowcolor=#fff> 2000 2001~2002 2003 2004 2005~2006
노장진 임창용 엘비라 호지스 배영수
2007 <rowcolor=#fff> 2008 2009~2010 2011~2012 2013
브라운 배영수 윤성환 차우찬 배영수
<rowcolor=#fff> 2014 2015 2016 2017 2018
윤성환 피가로 차우찬 페트릭 윤성환
<rowcolor=#fff> 2019 2020 2021~2023 2024 2025
맥과이어 백정현 뷰캐넌 코너
}}}}}}}}} ||

알프레도 피가로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44번
김기태
(2014)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피가로
(2015)
이케빈
(2016~2018)
}}} ||
}}} ||
파일:external/photo.hankooki.com/wyuksamo20150321144641_C_00_C_1.jpg
알프레도 피가로
Alfredo Figaro
출생 1984년 7월 7일 ([age(1984-07-07)]세)
도미니카 공화국 사마나주 사마나
국적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83cm, 79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4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LAD)
소속팀 DSL 타이거즈 (2005)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09~2010)
오릭스 버팔로즈 (2011~2012)
밀워키 브루어스 (2013~2014)
삼성 라이온즈 (2015)
퉁이 라이온스 (2017)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연도별 성적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2015년, 삼성 라이온즈 소속으로 뛰었던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외국인 투수.

2. 선수 경력

2.1. NPB, MLB 시절

2004년 아마추어 자유계약으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입단해 다저스 산하 도미니카 서머리그 팀에 배속됐지만 1년만에 방출됐다. 이후 2005년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산하의 도미니카 서머리그팀인 DSL 타이거즈에 입단했다. 그렇게 한동안 마이너리그에서 머물다가 2009년 6월에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데뷔해, 당시 돈트렐 윌리스 대신 잠시나마 선발 로테이션에 끼기도 했다.

2010년에는 중간계투로 8경기에 등판해 0승 2패 6.75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12월 14일 웨이버 공시됐고, 그로부터 3일 후인 12월 17일오릭스 버팔로즈가 피가로를 영입했다.

2011년에 3선발로 낙점받았지만 3경기 동안 한 번도 이기지 못하면서 2군으로 강등됐다. 이후 복귀전에서 시즌 첫 승을 따고는 5연승을 기록했다. 6월 15일 요코하마 디엔에이 베이스타즈전에서는 카가 시게루를 상대로 솔로 홈런을 치기도 했다.[1] 그러나 이 경기 후로 타선의 지원을 못 받으며 승리 행진도 멈추었고, 8월 하순 다시 2군으로 강등됐다. 다시 복귀한 후에는 선발과 중간계투를 오갔다.[2] 2011 시즌 성적은 24경기 20선발 8승 6패 평균자책점 3.42.[3][4]

2012년에는 가네코 치히로의 부상 때문에 2004년 구대성 이후 외국인 투수로 8년만에 개막전 선발 투수로 등판했다. 그러나 개막전에서 패전투수가 됐고, 이 때문인지 시즌 내내 승운이 안 따르며 총 11번 등판해 한 번도 이기지 못하고 5패만 떠안았다. 참고로 11경기 모두 선발 등판.

시즌이 끝난 후 도미니카 윈터리그에서 활동하는 한편, 오릭스 구단이 자유계약으로 공시하지 않았음에도 12월 19일에 밀워키 브루어스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으며 이중계약 파동이 벌어졌다. 윈터리그 참가 당시 피가로의 신분이 자유계약으로 표기됐던 탓에, 밀워키는 피가로의 보유권이 오릭스에게 있는지 모르고 계약해버린 것. 결국 2012년 12월에 밀워키는 피가로와의 계약을 해지했고, 2013년 1월 28일 오릭스도 문제를 일으킨 피가로와의 재계약을 포기했다.

오릭스가 계약을 포기하면서 밀워키가 다시 피가로에게 접촉했고, 2013년 3월에 밀워키와 메이저리그 계약을 맺었다. 33경기에 등판해 3승 3패 4.14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5] 2014년에는 트리플A와 메이저리그를 오가면서 겨우 6경기밖에 등판하지 못했고, 결국 시즌 후 웨이버 공시텍사스 레인저스가 클레임을 걸었다.

2.2. 삼성 라이온즈

2014년 11월 28일, 삼성 라이온즈가 피가로를 영입했다. 사실 삼성이 영입하기 전에 LG 트윈스도 피가로를 영입하려 했다. 당시 양상문 감독이 직접 도미니카 공화국으로 건너가 도미니카 윈터리그의 선수를 파악하면서 피가로의 영입에 나섰으나, 피가로는 다른 팀에 입단하겠다며 LG의 제안을 거절했다. 피가로가 말한 그 팀이 바로 삼성이었다.

피가로의 구위는 한국에서 충분히 통할 수 있지만, 2013년과 2014년에는 주로 계투로 활동했기에 선발로서 이닝소화에 대한 의문이 나오기도 했다.

2.2.1. 2015시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알프레도 피가로/2015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영입 초기만 해도 그동안 불펜으로 뛰었던 커리어 때문인지[6] 선발로써 이닝 소화가 가능할지에 대해 걱정하는 의견도 있었다. 그런데 막상 시즌 전반기까지만 해도 리그 최강의 이닝 이터의 모습을 보이며 삼성 외국인 에이스 계보를 이을 것으로 보였으나, 후반기 들어 어깨 이상으로 인해 두 차례나 2군에 다녀왔고 구속 저하가 뚜렷히 나타나는 등 걱정이 현실이 되었고, 결국 퍼져버렸다.[7]

그리고 가장 잘해야 하는 무대에서 2경기 등판했으나 모두 무너지며, 재계약도 어려워져버린 상황.

전반기까지만 해도 재계약이 당연한 것처럼 보였으나 후반기 들어 부상과 구속 저하, 한국시리즈 최악 부진에 발목을 잡혀, 삼성에서 재계약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는 삼성 입장에서 최악의 수가 되는데.[8]

2.3. 이후

피가로는 2016년 이후 계속 KBO 복귀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여 2016년 뉴욕 양키즈 산하 트리플A 팀에서 잠깐 뛰었고, 도미니카 공화국 프로야구 리그 소속 팀인 티그레스 델 리세이에서 윈터리그를 보낸 후[9] 2017년 대만 프로야구 팀인 유니 라이온스에 입단하였다.

2016년 도미니카 리그 성적은 10경기 1승 1패 ERA 2.30. 그러나 7경기는 불펜으로 뛰었다.

2.4. 퉁이 라이온스

2017년 1월 대만의 유니 라이온스와 입단 계약을 맺었다.

대만 등록명은 福瑞多(복서다). 현지 발음으로는 푸루이두오. 복이 많다는 뜻. 영어 등록명은 성을 사용했던 한국과 다르게 이름인 알프레도.[10]

초반 5경기에서 1승 1패를 거뒀고, 평균 ERA는 4.88이다. 대만리그가 한국리그보다 더 극심한 타고투저인 걸 보면 특급은 아녀도 선방은 하는 셈...이었으나, 그 후 3경기에서 쭉 패배를 떠안으며 1승 4패 ERA 6.25로 맛이 가버렸다. 삼성 라이온즈의 16시즌 이후 외인 투수들이 재크 페트릭을 제외하면 다 맛이 간 상황이었기 때문에 피가로를 그리워하는 팬들이 많았으나, 만약에 재계약을 했으면 찰리 쉬렉이나 크리스 세든처럼 됐을 듯.[11]

5월 20일 경기에서 3.1이닝 7실점으로 거하게 털려 주시면서 ERA는 7.12까지 치솟았다. 당연히 그날의 패전 투수가 되며 스탯은 1승 5패가 되었다.

구속이 평균 140대 중후반에서 최대 150대 초반까지 올라왔다. 2016년에 마이너리그에 잠깐 있던 거 외에 재활에 열중했던 것이 어느 정도 성공한 듯.

6월 9일 5이닝 9피안타 6볼넷 2삼진 5실점으로 부진하였으나 상대 선발 잭 세고비아도 5이닝 5실점으로 털려 주시면서 패전투수는 면하게 됐다.

6월 17일, 또 5이닝 5실점을 하였다. 폭우로 경기가 중단되긴 하였으나, 이미 6회까지 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경기는 강우콜드 처리되었다. 다행히 상대 선발 브라이언 우달도 5이닝 5실점을 하면서 또 패전투수만 면했다.

6월 23일, 6이닝 7실점으로 또 거하게 털렸다. 평자는 6.85로 내려올 생각을 하지 않는다. 그야말로 대만판 닉 애디튼. 거기다가 5회에서는 홈런-아웃-백투백 홈런으로 1이닝 3피홈런을 당했다.

결국 불펜으로 전환. 근데 또 2이닝 4실점을 했다. ERA도 7점대.

7월 2일. 불펜으로 나와 2이닝 1실점하며 홀드를 챙겼다. 평자는 6.96

7월 14일. 다시 선발로 전환했는지 선발 등판을 하게 되었다. 5회까지 꾸역꾸역 막으면서 2실점으로 그냥저냥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6회에 단 1아웃도 잡지 못하고 첫 타자인 장즈셴에게 안타를 맞은 후 다음 타자에게 홈런을 맞으면서 5이닝 4실점을 하고 말았다. 그러나 강판 당시 팀 성적이 6대4였고, 그 후에 팀 타선이 터져줘서 간신히 3승에 성공하였다. 현재 3승 7패 ERA 6.97

피가로의 현재 상황은 총체적 난국이다. 평균 구속은 140대 후반, 최대 구속은 150대 초반으로 데드암 증세가 왔던 2015년 말에 비해서 상당히 올라오긴 하였으나, 삼성에 있을 당시에는 평균구속 150대 초중반, 최대구속 159km까지 나왔던 것에 비하면 여전히 부족한 상황.

문제는 피가로는 부족한 변화구 제구력을 빠른 구속으로 상쇄하는 파이어볼러였는데, 파이어볼러가 구속이 느려지니 제구도 구위도 좋지 못하며 배팅볼 투수가 되어 얻어맞는 일이 잦게 되었다. 그래서 요즘의 피가로는 얻어맞지 않기 위해 자꾸 유인구를 던져대는데, 원래 제구는 안 좋았고, 느린 구속 탓에 구위도 나빠지면서 유인구를 던져봤자 타자들이 다 안 속고 가만히 보고만 있어서 투구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삼성에서 잘 하던 이닝이팅도 못 하게 되었다. 그냥 삼성 때보다 못 하는 수준이 아니고, 5이닝 정도만 먹어도 투구수가 90개 가까이 되는 수준으로 안좋아졌다. 문제는 그런 상황에서 간간이 스트라이크존에 던지는 공은 타자들이 뻥뻥 쳐낸다. 차라리 재활을 1년 더 해서 구속을 최대한 끌어올리도록 노력하는게 나았을 수도 있는 상황.[12]

7월 21일. 6이닝 4실점으로 또 좋지 못했다. 그나마 비자책 덕분에 평자는 6.80이 되었고, 노 디시젼.

7월 26일. 6이닝 2실점으로 호투했다. 평자는 6.55가 됐다. 그러나 불펜투수가 역전을 허용하는 바람에 승리는 날아갔다.

8월 4일. 7이닝 2실점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평자는 6.27이 됐다. 이날 경기에서 승을 챙기며 4승을 찍었다.

8월 11일. 6이닝 1실점으로 좋은 모습을 보였고 평자는 6.00까지 갔다. 이날 승리를 추가하며 5승 7패가 되었다. 하반기 들어 점점 살아나고 있었다.

8월 17일 3.2이닝 8실점으로 이전처럼 또다시 털렸다. ERA는 6.38로 5점대 코앞에서 귀신같이 회귀했다.

8월 22일 5.2이닝 6실점으로 또 털렸다. 그러나 비자책점이 많아서 ERA는 6.30으로 소폭 나아졌다. 노 디시젼.

8월 30일 5.1이닝 6실점으로 또 털렸다. 패전 투수까지 되며 5승 9패로 퇴출된 크리스 세든과 공동 다패왕이 됐다. ERA도 6.39까지 갔다.

9월 6일 5.2이닝 4실점으로 또 안좋은 모습을 보였다. 다행히도 노 디시젼.

이날 이후로 리그 막판이라 경기 스케줄이 띄엄띄엄해지면서 불펜으로 전환. 9월 29일부터 불펜 등판을 시작해서 1세이브 1홀드를 챙겼다. 평자는 6.30

시즌 성적은 27경기 22선발 5승 9패 1세이브 2홀드 ERA 6.30으로 완벽하게 망했다. 규정이닝 충족 선수 중 평자 꼴찌는 덤.

결국 플레이오프 엔트리에 탈락했다. 선발투수 팜이 붕괴돼서 고정적인 토종 선발투수가 팀에 1명은 될까말까하고 죄다 외국인 투수로 때우는 곳이 대만인데도 이렇게 됐다.

결국 플레이오프 시작 전에 퇴출된 것이 확인되었다. 이후 근황은 https://www.baseball-reference.com/register/player.fcgi?id=figaro001alf 윈터리그 제외 소속팀은 없다.

3. 플레이 스타일

파일:피가로 투구.gif

평균 구속 150대 초중반, 최대 구속 159km까지 나오는 묵직한 포심 패스트볼이 주 무기이며 변화구로는 슬라이더, 커브, 체인지업 등을 던진다. 다만 변화구 제구는 썩 좋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4. 여담

5.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9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5 17 2 2 0 0 6.35 23 11 16
2010 8 14⅔ 0 2 0 0 6.75 18 8 5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11 오릭스 버팔로즈 24 123⅔ 8 6 0 0 3.42 126 39 90
2012 11 64 0 5 0 0 3.09 61 22 37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13 밀워키 브루어스 33 74 3 3 1 0 4.14 77 16 54
2014 6 8⅔ 0 1 0 0 7.27 11 1 8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15 삼성 라이온즈 25 165 13 7 0 0 3.38
(3위)
154 58 117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17 유니 라이온스 27 128⅔ 5 9
(2위)
1 2 6.30[14] 166
(3위)
50 109
<colbgcolor=#ffff88> MLB 통산(4시즌) 52 114⅓ 5 8 1 0 5.04 129 36 83
NPB 통산(2시즌) 35 187⅔ 8 11 0 0 3.31 187 61 127
KBO 통산(1시즌) 25 165 13 7 0 0 3.38 154 58 117
CPBL 통산(1시즌) 27 128⅔ 5 9 1 2 6.30 166 50 109

6. 관련 문서


[1] 이날 피가로의 유일한 안타로, 나머지 타석은 삼진으로 물러났다.[2] 중간계투라지만 주로 3~5이닝 가까이 던지는 롱 릴리프였다.[3] 언뜻 보면 에이스급 같아보이지만 저 시즌 NPB 퍼시픽리그 전체 평균자책점은 2점대 극후반이었다. 타고투저의 끝판왕인 2014-2018 KBO 기준으로는 거의 5점대 중후반 느낌.[4] 단순 계산이지만 피가로가 한국에서 보여줬던 평균자책점을 당시 일본프로야구 투고타저에 대입하면 1.95-2.05 수준이다.[5] 한편 임창용이 9월 7일 시카고 컵스 소속으로 메이저리그 데뷔전을 치를 때 밀워키 불펜에 있는 모습이 중계카메라에 잠깐 잡히기도 했다.불과 2년뒤에 한국땅에서 같은팀의 동료로 만날지는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다.[6] 단 NPB에서는 2시즌 35경기 31선발을 기록하며 사실 선발 투수 커리어가 아예 없지는 않았다. 물론 그 후 메이저리그 2년 동안은 39경기 5선발이었지만...[7] 평균 이닝수는 엄청난데, 실제 소화한 이닝이 얼마 안 되는 이유가 있다. 9월부턴 사실상 등판하지 못했다. 전반기에 10승을 완성하며 에릭 해커양현종, 유희관과 비교될 수 있었음에도 그러지 못했다.[8] 저 넷 중 부상으로 인해 퇴출된 웹스터를 제외하면 WAR이 다 음수이며 종합 승수가 겨우 6승인데 피가로의 WAR은 4.24인데다 13승을 하는 등 그야말로 저 넷을 영입하는 것보다 피가로 단 한명이 더 효율적이다.[9] 공교롭게도 2015년 팀 동료였던 야마이코 나바로도 같은 시즌에 티그리스 델 리세이 소속으로 뛰었다.[10] 해설을 들어보면 해설자들은 프레도라고 부른다.[11] 둘 다 계약 이후 두 해 동안에는 에이스였으나, 재계약 이후 3번째 시즌에서 완전히 맛이 가서 결국 중도퇴출당했으며, 메이저로 돌아가지 못하고 독립 리그대만 리그로 가야 했다.[12] 대만의 외국인 선수는 한국의 외국인 선수에 비해서 평균적으로 1/3정도밖에 돈을 받지 못하지만 그래도 도미니카의 일반 직장인 10년치 연봉 이상이다.[13] 피가로가 타국에서 힘들어할 때 이승엽이 직접 자가용으로 태워다주며 말동무가 되어 주었다고 한다.[14] 2017 시즌 규정이닝을 채운 투수 중 꼴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