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1 13:20:22

케빈 호지스

케빈 호지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73180>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원형 엠블럼.svg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1956
나리타 케이지 타하라 모토토시 카네다 마사이치 미야지 요시토모 카네다 마사이치
<rowcolor=#ffffff> 1957 1958~1960 1961 1962~1964 1965
타도코로 젠지로 카네다 마사이치 키타가와 요시오 카네다 마사이치 무라타 겐이치
<rowcolor=#ffffff> 1966 1967 1968 1969 1970
시부타니 세이지 무라타 겐이치 이시도 시로쿠 카와무라 야스히코 이시오카 코조
<rowcolor=#ffffff> 1971~1977 1978 1979 1980 1981
마츠오카 히로무 야스다 타케시 마츠오카 히로무 스즈키 야스지로 마츠오카 히로무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1987
스즈키 야스지로 오바나 타카오 타카노 히카루 카지마 켄이치 아라키 다이스케
<rowcolor=#ffffff> 1988~1989 1990~1991 1992~1993 1994 1995
오바나 타카오 나오토 나오유키 니시무라 타츠지 카와사키 켄지로 오카바야시 요이치
<rowcolor=#ffffff> 1996~1997 1998~2001 2002 2003 2004
테리 브로스 이시이 카즈히사 후지이 슈고 케빈 호지스 제이슨 베벌린
<rowcolor=#ffffff> 2005~2006 2007 2008~2012 2013 2014~2017
이시카와 마사노리 이시이 카즈히사 이시카와 마사노리 타테야마 쇼헤이 오가와 야스히로
<rowcolor=#ffffff> 2018 2019 2020 2021~2023 2024
데이비드 뷰캐넌 오가와 야스히로 이시카와 마사노리 오가와 야스히로 사이 스니드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tablebg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74ca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베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3)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토레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갈베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베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에르가(3)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루크(2) 파일:미국 국기.svg
엘비라(3) 파일:멕시코 국기.svg
패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엘비라(2) 파일:멕시코 국기.svg
라이언(3)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리어리(2) 파일:미국 국기.svg
로페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르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크먼(2)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3)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2) 파일:미국 국기.svg
매존(3)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오버뮬러(2) 파일:미국 국기.svg
에니스(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즈(2) 파일:미국 국기.svg
(3)(2)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2) 파일:미국 국기.svg
레딩(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가코(2) 파일:미국 국기.svg
매티스(3)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2) 파일:일본 국기.svg
저마노(3) 파일:미국 국기.svg
탈보트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드리게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리대(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피가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클로이드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웹스터(2) 파일:미국 국기.svg
플란데(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벨레스터(2) 파일:미국 국기.svg
레온(3) 파일:멕시코 국기.svg
발디리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나도 파일:미국 국기.svg
페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아델만 파일:미국 국기.svg
보니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헤일리(2)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슨(3) 파일:미국 국기.svg
맥과이어(2)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3)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살라디노(2) 파일:미국 국기.svg
팔카(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2) 파일:미국 국기.svg
몽고메리(3)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수아레즈(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와이드너(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코너 파일:미국 국기.svg
레예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키넌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ecd00> 1982 1983 1984 1985 1986
황규봉 이선희 김시진 김일융 김시진
1987 1988 <rowcolor=#fff> 1989 1990 1991
김훈기 전용권 진동한 김상엽 김성길
1992~1993 <rowcolor=#fff> 1994~1996 1997 1998 1999
김상엽 김태한 전병호 조계현 김상진
<rowcolor=#fff> 2000 2001~2002 2003 2004 2005~2006
노장진 임창용 엘비라 호지스 배영수
2007 <rowcolor=#fff> 2008 2009~2010 2011~2012 2013
브라운 배영수 윤성환 차우찬 배영수
<rowcolor=#fff> 2014 2015 2016 2017 2018
윤성환 피가로 차우찬 페트릭 윤성환
<rowcolor=#fff> 2019 2020 2021~2023 2024
맥과이어 백정현 뷰캐넌 코너
}}}}}}}}}}}} ||

케빈 호지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1야쿠르트우승.pn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01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8번
임세업
(2002)
<colbgcolor=#228b22><colcolor=#fff> 호지스
(2004)
강유삼
(2005~2007)
}}} ||
}}} ||
파일:삼성 호지스.jpg
케빈 호지스
Kevin Hodges
본명 케빈 존 호지스
Kevin Jon Hodges
출생 1973년 6월 24일 ([age(1973-06-24)]세)
미국 텍사스휴스턴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클라인 오크 고등학교
신체 193cm, 90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91년 드래프트 8라운드 (전체 210번, KC)
소속팀 시애틀 매리너스 (2000)
야쿠르트 스왈로즈 (2001~2003)
삼성 라이온즈 (2004)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05)

1. 개요2. 선수 경력3. 이야깃거리4. 연도별 성적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일본프로야구에서 활동한 외국인 선수. 동생 트레이 호지스 역시 야구선수로서 짧게나마 메이저리그와 일본프로야구에서 활동했다.

2. 선수 경력

1991년 캔자스시티 로열스에 지명되어 입단한 호지스는 10년간 마이너리그에서 활동했다. 로열스에서 부진하면서 휴스턴 애스트로스시애틀 매리너스 산하 마이너리그 팀을 전전했고 나이가 들면서 선발과 중간계투를 오갔다. 그러다가 2000년에 트리플A에서 2.76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면서 메이저리그에 데뷔할 수 있었는데 중간계투로서 5.19의 평균자책점으로 부진하면서 다시 마이너리그로 강등되었다.

2001년 시즌 중 야쿠르트 스왈로즈가 호지스를 영입했다. 2001년 선발 투수로서 5승 3패 3.80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야쿠르트의 센트럴리그-2001년 일본시리즈 우승[1]에 일조했고, 2002년에는 17승(8패)을 올리면서 요미우리 자이언츠우에하라 고지와 리그 공동 다승왕이 되었다. 2003년에는 팔꿈치 부상으로 5승 9패 5.90의 평균자책점으로 부진하면서 결국 퇴출되었다.

2004년 삼성 라이온즈가 호지스를 영입했다. 팔꿈치 부상 경력이 있긴 했지만 그래도 당시에는 회복된 상태였고, 1년뿐이지만 메이저리그 경험도 있고 무엇보다 일본 다승왕 출신(!)인 당시의 돈 많은 삼성다운 나름 클래스가 있는 거물 용병이었다. 게다가 호지스도 거물이면서도 겸손하고 한국 생활에 적응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으로 코칭스태프에게 인정받았다.

하지만 정규시즌 개막 후 호지스는 4월 한 달 동안 1승도 올리지 못했다. 이 때 평균자책점도 8점대에 달할 정도라서 퇴출 얘기까지 나왔을 정도였다. 당시 삼성은 10연패의 부진에 허덕이고 있었는데, 이에 김응용 감독이 주전 포수를 진갑용에서 현재윤으로 교체하면서 10연패에서 탈출할 수 있었고 호지스도 현재윤과 호흡을 맞추면서 부진에서 벗어났다.

호지스는 163⅓이닝을 소화하고도 9승(10패) 밖에 기록하지 못했다. 시즌 초반 부진한 탓도 있었지만 6연패를 기록하고 시즌 10번째 등판경기에서야 승리투수가 되었을 정도로 승운이 따르지 않았다. 플레이오프에서도 기대에 못 미치는 활약으로 결국 재계약에는 실패했다. 사실 이 때 128경기시절 163.1이닝이나 먹은데다 세부스탯 또한 나쁘지는 않아서, sWAR기준 2.49로 준수한 2선발 정도의 성적을 기록했으나 때는 서기 2004년, 투승타타가 지배하던 그때 그 시절이었다.

2005년 일본의 신생팀인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에 입단하지만 2승 12패 6.44의 평균자책점으로 실망만 남기곤 퇴출되었다. 미국으로 돌아간 호지스는 2006년 독립리그에서 활동한 후 은퇴했다.

이후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2012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가 호지스를 외국인 스카우트로 채용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3. 이야깃거리

징크스에 엄청 집착했다. 삼성에 온 후 승리를 못하자 매 경기 글러브를 바꿔 꼈고, 불펜에서 몸 풀 때도 매번 똑같은 불펜 포수와 함께 불펜 마운드 2개 중 오른쪽 마운드에서만 캐치볼을 했다. 그리고 한국에서 첫 승을 기록했던 경기 전에 비타500를 마셨는데, 이후 자신의 등판하기 전에는 비타500 한 박스씩 준비하기를 원했다. 하루는 비타500을 준비하지 못해서 대신 비타500과 비슷한 드링크제를 준비했더니 아예 입도 안 댔다고 한다.

타자 몸에 바짝 붙게 공을 던지는 스타일이라서 몸에 맞는 공이 많았고, 한국에서 활동했을 때에는 사상 초유의 덕아웃 습격사건을 촉발시키기도 했다.[2] 그러한 투구 스타일은 일본 시절에도 악명이 높았는지, 삼성 입단 후 스프링캠프에서 야쿠르트 스왈로즈와 연습 경기에 선발로 나선다는 오보가 나왔는데 오보인지 몰랐던 야쿠르트 선수들은 출전을 거부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라쿠텐에 있던 때에도 상대 선수에게 연속으로 몸을 맞춰[3] 라쿠텐 창단 후 처음으로 벤치 클리어링을 일으켰다. 벤치 클리어링은 집단 난투극으로 변질했는데, 호지스는 이 때 맞은 선수에게 일본어욕설을 했다고 한다.

2004년 한국시리즈 당시 선동열 당시 수석코치이자 투수코치가 중계진들에게 전한 바로는 새하얗게 질려있을 정도라며 긴장을 했다고 하며 승리도 따내지 못하였고 삼성은 준우승에 머물러야만 했다.

5살 어린 동생 트레이 호지스도 야구선수였다. 2002년~2003년 2시즌간 애틀란타 브레이브스에서 불펜투수로 뛰며 메이저리그 경험도 있었고, 형이 한국에서 선수 생활을 하던 2004년에는 일본 한신 타이거스에서 뛴 적도 있었다. 한신 시절 성적이 신통치 않자 형 케빈이 일본에 있는 동생을 걱정하는 기사가 올라오기도 했다.

4.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0 SEA 13 17⅓ 0 0 0 - 5.19 18 14 7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1 야쿠르트 12 66⅓ 5 3 0 - 3.80 73 38 30
2002 32 200⅔
(3위)
17
(공동 1위)
8 0 - 3.41 183
(공동 5위)
84 132
2003 20 100⅔ 5 9 0 - 5.90 119 47 48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4 삼성 30 163⅓ 9 10 0 0 4.24 158 102 123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2005 라쿠텐 18 95 2 12 0 0 6.44 116 60 42
<colbgcolor=#ffff88> MLB 통산(1시즌) 13 17⅓ 0 0 0 - 5.19 18 14 7
NPB 통산(4시즌) 82 462⅔ 29 32 0 0 4.63 491 229 252
KBO 통산(1시즌) 30 163⅓ 9 10 0 0 4.24 158 102 123

5. 관련 문서


[1]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의 사상 마지막 일본시리즈 진출이다.[2] 박명환야구TV 오상민편에서도 잠깐 그 장면이 나왔다. 참고로 김응룡 감독이 SK의 카브레라를 직접 헤드락으로 제압했다.[3] 연타석이 아니라 한 타석에서 연속이었다. 한번은 번트를 대는 과정에서 몸에 맞아 스트라이크로 판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