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4 23:38:09

강준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2026 시즌 외야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5 구자욱 [[주장|
C
]] · 8 김재혁 · 13 이성규 · 25 김태훈
· 31 윤정빈 · 32 김헌곤 · 39 김성윤 · 40 함수호
· 58 김지찬 · 63 홍현빈 · 66 박승규 · 105 강준서
· 107 김상민 · 117 이진용 · 127 강민성 · # 조세익'''
최종 편집: 2025년 10월 28일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1군 엔트리등록 선수육성선수응원단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05번
양우현
(2023~2024.5.29.)
강준서
(2025~)
현역
파일:강준서 다음스포츠.png
<colbgcolor=#074ca1><colcolor=white> 삼성 라이온즈 No.105
강준서
Kang Junseo
출생 2000년 10월 13일 ([age(2000-10-13)]세)
부산광역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부산대연초 - 대천중 - 부산공고 - 동의대
신체 183cm, 85kg
포지션 외야수[1]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23년 5라운드 (전체 48번,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23~)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2023년 12월 19일 ~ 2025년 6월 18일)
연봉 2025 / 3,2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MBTI ESTP[2]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흰색).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삼성 라이온즈
2.2.1. 2023 시즌2.2.2. 2025 시즌
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외야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파일:동의대학교강준서.jpg

2.2. 삼성 라이온즈

2.2.1. 2023 시즌

등번호는 60번을 배정받았다. 현재 삼성의 중견수 백업은 김성윤 말곤 찾기 힘들기 때문에[3] 수비 능력과 타격 능력만 잘 다듬으면 2023 시즌 신인 중 가장 빨리 1군에서 볼 수 있을 것이다.

2월 11일, 신인 중 두번째로[4] 1군 스프링캠프에 콜업되었다.

2군에서 정규시즌을 시작했는데 부상인지 4월 중순부터 6월 말까지 결장했다. 8월 들어 타격 페이스가 주춤하면서 2할 7푼까지 타율이 떨어졌지만 8월 26일에 드디어 1군으로 콜업되었다.

그리고 9월 1일 NC 다이노스전에 9번 중견수로 선발 출전해 데뷔전을 치러 3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9월 17일 다시 1군으로 콜업되었다.

9월 28일 9회말에 중견수 대수비로 올라왔다.

이후 10월 3일 롯데 자이언츠전에서 5회에 김동엽의 대수비로 먼저 좌익수로 출장한 뒤 문경찬을 상대로 데뷔 첫 안타를 때려냈다.

10월 6일 kt wiz전에서 9번 중견수로 선발 출장해서 3타수 1안타(2루타) 1득점을 기록하였다.

김상민과 함께 12월 19일 현역으로 입대했다.

2.2.2. 2025 시즌

6월 18일 전역했다. 시즌 말미 실전 경기에 출장하기 시작했고, 9경기 출장해 2안타 1타점 1득점 타율 0.133의 성적을 기록했다.

3. 플레이 스타일

매우 빠른 발을 가진 선수이다. 최강야구에서도 심수창의 투구를 쳐내 공이 떨어지기 전에 1루를 지났고 그대로 3루까지 가는 굉장히 빠른 발을 가졌다.[5] 내야 수비는 부족한 편이고, 애초에 빠른 발이 강점이기에 프로에서는 외야수로 포지션을 변경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외야수 김성표가 방출됨에 따라 외야수로 포지션을 변경한다면 좀 더 빠르게 1군에 오를 수 있게 됐다. 실제로 외야수로만 출장했다.

4.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강준서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WAR*
2023 삼성 10 15 3 1 0 0 2 0 0 0 2 .214 .267 .286 .553 54.0 -0.06
2024 군 복무(현역)
2025 1군 기록 없음
KBO 통산
(1시즌)
10 15 3 1 0 0 2 0 0 0 2 .214 .267 .286 .553 54.0 -0.06

5. 여담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강준서의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0번
김서준
(2022)
강준서
(2023)
김호진
(2024~2025.5.11.)
}}} ||
[1] 2023년 KBO 공식 프로필상으로는 내야수로 등록됐지만 실제로는 중견수로만 출장했다.[2] 영상 10분 40초.[3] 김상민도 중견수를 볼 수 있으나 아직 육성선수 신분이라 곧바로 1군으로 올라오는 것은 힘들다.[4] 첫 번째는 김재상.[5] 우타자가 좌중간에 장타를 쳐서 3루타를 기록했다는 것은 강준서의 주력이 얼마나 좋은지 알 수 있다.[6] 7번은 김상수의 이적으로 주인이 없었으나 이재현이 달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