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명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윤명준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2015 | 2016 | 2019 |
두산 베어스 등번호 42번 | ||||
윤도경 (2008~2011) | → | <colbgcolor=#ed1c24><colcolor=#fff> 윤명준 (2012~2015) | → | 오장훈 (2016~2016. 8.) |
두산 베어스 등번호 11번 | ||||
강동연 (2015) | → | 윤명준 (2016) | → | 홍영현 (2017) |
두산 베어스 등번호 41번 | ||||
이원재 (2018~2018. 9. 12.) | → | 윤명준 (2018. 9. 13.~2018) | → | 정철원 (2019) |
두산 베어스 등번호 42번 | ||||
정철원 (2018) | → | 윤명준 (2019~2021) | → | 유재유 (2022~2022. 7. 10.) |
두산 베어스 등번호 36번 | ||||
전민재 (2021) | → | 윤명준 (2022) | → | 임종성 (2024~)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41번 | ||||
김대우 (2018~2022) | → | 윤명준 (2023) | → | 추재현 (2024) |
}}} ||
<colbgcolor=#0057a6><colcolor=#fff> 동의대학교 야구부 No. | |||
윤명준 尹明準|Yoon Myung-jun | |||
출생 | 1989년 6월 18일 ([age(1989-06-18)]세) | ||
광주직할시 (現 광주광역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광주서석초 - 광주동성중 - 광주동성고 - 고려대[1] | ||
신체 | 178cm[2]|78kg|B형 | ||
포지션 | 투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 2012년 1라운드 (전체 6번, 두산) | ||
소속팀 | 두산 베어스 (2012~2022) 롯데 자이언츠 (2023) | ||
지도자 | 동의대학교 야구부 투수코치 (2024~) | ||
병역 |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6년 12월 12일~2018년 9월 11일)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57a6><colcolor=#fff> 가족 | 배우자(2016년 7월 결혼~현재) 딸(2017년생) | |
등장곡 | The Score - 〈Legends〉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이자 現 동의대학교 야구부 투수 코치.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윤명준/선수 경력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 |||
2015년 | 2016년 | 상무 야구단 | 2019년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아마추어 시절 |
2.1. 수상 경력
| |
윤명준의 KBO 수상 경력 | |
2015 | 한국시리즈 우승 |
2016 | 한국시리즈 우승 |
2019 | 한국시리즈 우승 |
3. 지도자 경력
현역 은퇴이후 2024년부터 동의대학교 야구부 투수 코치로 지도자 길을 시작하였다.4. 플레이 스타일
윤명준의 낙차 큰 커브 |
우완 정통파 투수로 비록 강속구 투수는 아니지만,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투구폼에서 나오는 일정한 릴리스포인트 덕분에 제구력이 좋고 타자와의 싸움에서 일단 붙고 보는 담대함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구위가 크게 좋은 편은 아니라 구속이 내려가면 여지없이 맞아나가기도 한다.
속구 최고구속은 148km 정도이며 보통 140km 초반대로 형성된다. 결정구로는 커브를 즐겨 사용하는데 낙폭이 상당히 크고 예리해서 타자들이 대처하기 어렵다. 거기에 슬라이더도 던지고 가끔씩 스플리터도 던진다.
2013 시즌 이후로 거의 매년 50~60경기씩 출전 중이며, 꾸준한 모습을 보여주던 불펜이 없던 두산 불펜에서 김진욱, 송일수, 김태형 감독을 모두 거치며 묵묵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2014년 61경기 71⅔이닝 16홀드 ERA 5.27, 2015년 60경기 68이닝 6세이브 7홀드 ERA 3.97, 2016년 55경기 57이닝 11홀드 ERA 3.95을 기록하며 마당쇠로 활약했고 군 제대 후인 2019년 커리어 하이를 찍었지만 (ERA 2.63 6승 2패 1세이브 14홀드), 이후 2시즌은 혹사의 영향인지 피안타율이 3할 이상(20시즌 0.315, 21시즌 0.303)으로 급격하게 증가하며 필승조로서의 꾸준한 모습을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결국 2022 시즌 20경기 ERA 8.46 22.1이닝 33피안타 8피홈런 21자책의 실망스러운 성적을 기록하며 팀 내 우완 베테랑인 김강률[3]과 함께 동반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5. 여담
- 2013년부터 잦은 구원 등판을 해[4] '윤브리데이'라는 별명도 있었다.
- 두산 시절부터 불펜 등판을 할 때 부진하면 윤명교향곡으로 불렸다.
6. 관련 문서
[1] 체육교육과 08학번.[2] 프로필 기준. 실제 키는 174cm 정도이다.[3] 김강률은 초반 성적은 좋았으나 부상으로 이탈했고, 복귀 이후엔 매우 부진했다.[4] 특히 송일수 감독 시절인 2014년에 무려 71이닝을 소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