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한국개발연구원 | 한국조세재정연구원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통일연구원 |
한국형사· 법무정책연구원 | 한국행정연구원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산업연구원 | 에너지경제연구원 |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한국노동연구원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
한국법제연구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한국교통연구원 | 한국환경연구원 | |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국토연구원 | 건축공간연구원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
| }}}}}}}}}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 (24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1px -16px -11px;" | 개발 국제정책대학원* | 조세재정 | 대외경제정책 | 통일 |
형사·법무정책 | 행정 | 교육과정평가 | 산업 | |
에너지경제 | 정보통신정책 | 보건사회 육아정책* | 노동 | |
직업능력 | 해양수산개발 | 법제 | 여성정책 | |
청소년정책 | 교통 | 환경 | 교육개발 | |
농촌경제 | 국토 | 과학기술정책 | 건축공간 | |
* 부설기관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韓國農村經濟硏究院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 |
| |
<colcolor=#fff> 설립일 | <colbgcolor=#fff,#191919>1978년 4월 1일 |
원장 | 한두봉[1] |
주소 |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빛가람동) |
주무기관 | 국무총리(국무조정실) |
형태 | 기타공공기관(정부출연연구기관) |
|
1. 개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우리나라 농림경제 및 농촌사회를 종합적으로 조사, 연구하여 농업·농촌 정책수립 방향을 제시하고 농가소득 증대와 농림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1978년 설립된 국무총리 국무조정실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2. 상세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동에 있으며[2] 원장과 부원장 아래 거시농정연구본부, 농산업혁신연구본부, 식량경제연구본부, 농촌환경연구본부, 농업관측센터, 산림경제연구실, 동향분석실, 반려동물복지연구단을 비롯하여 지원부서로 기획경영본부를 두고 있다.3. 역사
- 1967년 9월 농촌진흥청 농업경영연구소로 발족
- 1970년 4월 농림부 국립농업경영연구소
- 1973년 농수산부 국립농업경영연구소
- 1978년 농경연연우회 발족
- 1978년 4월 재단법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으로 재출범
- 1978년 12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육성법 제정으로 농림수산부 산하 특수법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으로 바뀌었다.
- 1995년 부설 농림기술관리센터를 설치하였으나 2009년 9월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으로 이관되면서 폐지
- 1996년 해양수산부 신설에 따라 1997년 5월 한국해양수산개발원으로 수산업무를 이관.
- 1999년 1월 국무총리 산하 경제사회연구회 소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으로 이관.
- 2005년 4월 부설 농촌정보문화센터 설치
- 2012년 5월 농촌정보문화센터를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으로 이관하면서 폐지.
- 2013년 1월 국제농업개발협력센터 신설
- 2015년 7월 삶의질정책연구센터, 농식품정책성과관리센터 신설
- 2015년 8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전라남도 나주)로 기관 이전
- 2018년 3월 연구원 개원 40주년 기념식 개최
- 2020년 3월 연구단 구성 및 운영추진
4. 역대 원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50><tablebordercolor=#fff>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역대 원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3·4대 김영진 | 제5대 허신행 | 제6대 정영일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7대 박상우 | 제8대 강정일 | 제9대 이정환 | 제10대 최정섭 | 제11대 오세익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12대 이동필 | 제13대 최세균 | 제14대 김창길 | 제15대 김홍상 | 제16대 한두봉 |
||<tablealign=center><rowcolor=#fff><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4f5d><rowbgcolor=#004f5d>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박정희 정부 | 초대 | 김보현(金甫炫) | 1978.03.16 ~ 1981.03.15 |
전두환 정부 | 2대 | 1981.03.16 ~ 1984.03.15 | |
3대 | 김영진(金榮鎭) | 1984.03.16 ~ 1987.03.15 | |
4대 | 1987.03.16 ~ 1990.03.01 | ||
노태우 정부 | 5대 | 허신행(許信行) | 1990.03.02 ~ 1993.02.25 |
문민정부 | 6대 | 정영일(鄭英一) | 1993.04.12 ~ 1996.04.11 |
7대 | 박상우(朴相禹) | 1996.04.12 ~ 1999.04.11 | |
국민의 정부 | 8대 | 강정일(姜正一) | 1999.05.19 ~ 2002.05.18 |
9대 | 이정환(李貞煥) | 2002.05.19 ~ 2005.05.18 | |
참여정부 | 10대 | 최정섭(崔正燮) | 2005.09.29 ~ 2008.10.07 |
이명박 정부 | 11대 | 오세익(吳世翼) | 2008.10.08 ~ 2011.10.07 |
12대 | 이동필(李桐弼) | 2011.10.08 ~ 2013.03.12 | |
박근혜 정부 | 13대 | 최세균(崔世均) | 2013.05.30 ~ 2016.06.06 |
14대 | 김창길(金昌吉) | 2016.06.07 ~ 2019.08.07 | |
문재인 정부 | 15대 | 김홍상(金泓相) | 2019.08.08 ~ 2023.04.11 |
윤석열 정부 | 16대 | 한두봉(韓斗鳳) | 2023.04.12 ~ 현재 |
5. 산하기관
- 농업관측본부[3] - 1999년 1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내 농업관측센터가 설립되었다가 2016년 9월 농업관측본부로 격상되었다. 2013년 4월 농업관측센터 세종상황실[4]이 설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