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 회원조합 | |
주요 자회사 및 부서 | |
Sh수협은행 | Sh수협카드 | Sh수협보험 | 수협개발 | 수협유통 | 수협노량진수산 | 수협사료 | 위해수협국제무역유한공사 | |
기타 자회사 및 사업 | |
수협재단 | 해난사고유자녀장학재단 | 수협방송 | 수협쇼핑 | 수협B2B | 어업인일자리지원센터 | 어촌사랑 | 수협공판장 | 수협가공물류센터 | 무역지원센터 | 자재사업소 | 어선안전조업국 | 수협중앙회연수원 |
| ||||||||||||||||||||||||||||||||||||||||||||||||||||||||||||||||||||
|
<colbgcolor=#0068b7><colcolor=#ffffff> Sh수협은행[1]수협은행이다. 농협은행의 등기된 상호가 "농협은행 주식회사"인 것과 대조적이다.] 水協銀行 | Suhyup Bank | |
| |
은행 코드 | 007 |
SWIFT 코드 | NFFCKRSE |
취급 통화 | USD, JPY, GBP, CHF, EUR, CNY, CAD, AUD |
웹 사이트 | |
국고수납대리점 [[외환|{{{#ffffff 외국환은행}}}[2]]] |
1. 개요
본관 |
|
별관 |
은행은 원래 은행법 제8조에 따른 허가를 받아야지만 은행업을 할 수 있지만[3] 수협은행은 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특수법인[4]으로 은행업 허가 없이 은행업무를 할 수 있다.[5] 당연히 예금자보호법도 적용받고 3대 국책은행인 KDB산업은행[6], IBK기업은행[7], 한국수출입은행[8]처럼 법에 의해 정부가 손실을 메워 줄 수 있다.[9]
2. 역사
과거 수협법에 의해 수협중앙회의 신용사업 부문을 영위하든 회사를 일컫는 용어로[10] 수협법 개정에 의해[11] 2016년 12월 1일 수협중앙회와 수협은행이 분리되어 수협중앙회가 수협은행의 지분 100%를 가지게 되었다.3. 마스코트
HEY 프렌즈라는 이름으로 왼쪽부터 아라, 라온, 아리이다. 모티브는 인어 및 돌고래이다.
4. 지배 구조
2019년 10월 기준.주주명 | 지분율 |
100% |
5. 역대 은행장
- 이주형 (2009~2013)
- 이원태 (2013~2017)
- 이동빈 (2017~2020)
- 김진균 (2020~2022)
- 강신숙 (2022~2024)
- 신학기 (2024~ )
6. 상품
6.1. 예·적금 상품 및 수수료
2012년 6월 8일 조건 없이 무제한으로 모든 은행 ATM 출금 및 인터넷/모바일/폰뱅킹 타행이체 수수료가 면제되는 하이 앤 프리 통장이 출시되었다.2016년 1월 4일 Sh평생주거래우대통장으로 상품명 변경.
설립 취지를 반영하여 디지털독도점을 운영하고 영업점 입구에도 독도와의 거리를 표기하고 있다.
또 과거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명태야적금'을 운영했고 요즘은 '해양플라스틱 예금·적금'을 통해 해양플라스틱 감소운동을 하고 있다. 예금은 1년, 적금은 최대 3년까지 월 100만원 한도내의 정액 혹은 20만원 한도내의 자유로 가입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여러 예금상품을 운용 중인데 대체로 5대은행보다는 높고 새마을이나 신협같은 2금융보다는 낮은 금리를 보여준다.
대출 금리도 비슷하게 5대은행보다는 높고 2금융보다는 낮은 금리로 운용 중이다.
실물통장으로 ATM 이용시 비밀번호 외 6자리 ATM비밀번호가 필요하고 일정기간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ATM 사용이 막히므로 창구에 가서 다시 풀어야 한다. 비대면으로 만들었다면 실물통장 발행시 통장발행수수료가 부가되기 때문에 웬만하면 무통장식으로 쓰자.
6.2. Sh수협카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협은행/카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협은행/카드#|]][[수협은행/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3. 애플리케이션
- 파트너뱅크 개인 : 은행업무나 수협카드,수협보험 등의 업무를 한번에 할 수 있다. 해양수산금융파트가 있는 점이 특이점. 만약 딩동이라는 거래내역 무료 알림서비스[12]를 받으려면 필수사용이다.
- 파트너뱅크 기업 : 기업 전용 어플로 개인어플에 아이디별 로그인 및 구매카드, 다단계결제 시스템이나 결재 시스템이 추가되어 있음.
- 헤이뱅크 : 심플버젼으로 KB리브나 NH콕 라인의 포지션으로 이해하면 된다.(알림기능 안됨)
수협은행 전자금융의 큰 단점이라면, 비대면으로 계좌이체 한도를 상향할 수 없다는 것이다.
7. 여담
수협은행을 주로 거래하는 기관/기업/학교 | |||||
기관 | |||||
해양환경공단 | 한국어촌어항공단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
학교 | |||||
국립부경대학교 |
- 부산광역시 소재 국립부경대학교의 주거래 은행이며 학생증이 수협의 체크카드 기능을 한다. 4년제 대학 안에 출장소나 일반 지점도 아니고 금융센터가 통째로 들어앉아 있는데 국립부경대학교의 전신이 부산수산대학교라서 그렇다. 김임권 전 수협중앙회장이 부산수산대학교 출신이었다.
- 원래 수협 로고는 파란색 원 안에 흰 물고기 4마리가 들어있는 건데, 바탕색이 파란색이거나 비슷한 색일때를 위한, 흰색 원 안에 퍼런 물고기 4마리가 들어있는 색반전 버전도 있다.
- 한국선박금융의 지분을 8% 가량 가지고 있는데 카 페리 운항에도 관심이 있어 보인다.
- 지점망이 전국적으로 130개소로 기본 업무를 공유하는 회원조합 506개소를 포함하면 총 636개인데 지점망이 주로 해안 지역에 분포해있으며 바다가 없는 충북은 상당구빼고 찾아볼수 없다.
- 수협은행장은 행장추천위원회에서 결정되는데 위원회는 기획재정부장관과 금융위원회 위원장, 해양수산부장관이 각각 추천한 3명과 수협중앙회장이 추천한 2명 등 5명으로 구성[13]되며, 5명 중 4명이 찬성해야 임명할 수 있다.
- 다른 은행들에 비해 개설방어 관련 불친절[14] 사례가 많이 나왔기 때문에 은행에 직접 방문해서 계좌개설을 하는 것보다는 비대면으로 계좌개설을 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다. 다른 은행들과 마찬가지로 한도제한계좌제를 시행하며,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자동으로 해제되거나 지점 방문해서 해제할 수 있다. 단, 급여이체 목적으로 한도제한 해제 희망 시 비대면으로 해제가 불가능하여 은행 지점에 직접 방문해야 하는데, 당행계좌[15] 최소 3개월 연속으로 급여이체 내역이 있어야 한다. 타행계좌 인정 불가.
8. 해외 법인
- 미얀마: 2019년 수협 마이크로파이낸스 미얀마 법인 설립
9. 연결가능한 롯데카드 상품
- 전상품 현금카드 연결은 불가능하며 은련과국내용에 한해 연결이 가능하나 위클리와 세븐일레븐 카드는 예외적으로 비자카드 연결이 가능하며 자세한 설명은롯데카드/카드 상품항목에 있다.
- 롯데 체크카드:기본 0.2% 적립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롯데 포인트플러스 체크카드 | | 면제 | |
Local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I♥Busan 체크카드 | Local | 면제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위클리 체크카드 | | 면제 | |
| 캐시비 선택 불가 | ||
Local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LIKIT FUN 체크카드 | Local | 면제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LIKIT ALL 체크카드 | Local | 면제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LIKIT ON 체크카드 | Local | 면제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세븐일레븐 멤버십 체크카드 | | 면제 | |
Local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NEW 롯데시네마 체크카드 | Local | 면제 |
10. 논란 및 사건사고
2024년 9월 9일, 수협은행 김포한강지점에서 과장급 직원 A가 고객의 대출금을 횡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단독] 수협은행서도 수십억 횡령 사고…"대출 서류 위조해 돌려막기"
[1] 등기상 명칭은 그냥[2] 수협은행에서만 해외송금, 송금수표 발행 등의 외환업무를 할 수 있다. 수취는 은행, 지역수협 둘 다 가능. 동전 환전은 불가.[3] 지역 농·축협, 지역 수협, 저축은행, 산림조합, 신협, 새마을금고는 은행법상 은행이 아니다. 따라서 은행이 취급할 수 있는 업무에 비해 취급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적이다. 예를 들면 외환업무나 신용카드 업무(이건 여신전문금융업법상 제한에 의한 것)[4] 이와 유사한 경우로는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농협은행 등이 있다.[5] 그래서, 특수은행으로 분류되고 있다.[6] 한국산업은행법 제26조(채권에 대한 정부보증), 제32조(손실금의 보전)[7] 중소기업은행법 제36조의5(채권에 대한 정부 보증), 제43조(손실금의 보전)[8] 한국수출입은행법 제20조(수출입금융채권), 제37조(손실금의 보전)[9] 단 수산업협동조합법을 보면 한국산업은행법, 중소기업은행법에서 '정부가 보전한다'라고 명시된 것과는 달리, '지원해 줄 수 있다'고만 되어 있다.[10] 신용부문을 제외한 지도경제사업부문이 2011~2014년 동안 4년 연속 영업 적자일 정도라 2010년대 들어 썩 신통치 못한 편. 그래도 어떻게든 수산물을 팔아보고자 용산에 면세점까지 뚫어놨다. 수협법에 의거 경제/지도[16]/상호 등 다른 사업은 아예 자본을 별도로 관리하고 있었다.[11] 수산업협동조합법 제141조의4[12] 신한SOL알리미, KB스타알림과 유사.[13] 여타 시중은행도 재무관료 낙하산 출신이 많지만 수협은행도 구조상 정부 관료 출신이 낙하산 타기 좋은 형태다.[14] 예전에는 전북은행, SC제일은행, 신한은행도 개설방어 관련 불친절도 많았으나 수협은행에 비해 그나마 나아진 편.[15] 당행계좌 급여이체 내역 증빙은 IBK기업은행, 회원수협, 우체국도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