宗 마루 종 | 훈(訓) | 마루 |
음(音) | 종 | |
부수 | 宀 (갓머리) | |
획수 | 8획 | |
신자체 | - | |
일본어 음독 | シュウ, ソウ | |
일본어 훈독 | - | |
간체자 | - | |
중국어 병음(표준어) | zōng |
1.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한국어 | 훈: 마루[1] 음: 종 |
일본어 | 음독: シュウ, ソウ 훈독: むね[2] |
중국어 | 표준어: zōng 광동어: zung1 객가어: chûng 민동어: cŭng 민남어: chong 오어: tson (T1) |
베트남어 | tôn, tông |
유니코드에는 U+5B9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MMF(十一一火)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4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집을 나타내는 宀(갓머리)와 제단의 모양을 본뜬 示(보일 시) 자가 합쳐져 만들어진 회의자이다. 집 안에 제단이 있는 모습을 본떠, 선조들에게 제사를 지낼 수 있게 마련된 실내공간, 즉 '종묘'를 나타내는 글자였다. 그러나 여기서 의미가 파생되어 '선조', '일족' 등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또 '으뜸여기다', '종파', '종지(宗旨)' 등의 의미도 가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