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17 19:20:18

자(수)


십진수
Decimal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큰 수 작은 수
(/)
(100)
(/)
(101)
(//)
(102)
(//)
(103)
<colbgcolor=#d3d3d3,#000> /분()
(10-1)
<colbgcolor=#d3d3d3,#000> ()
(10-2)
<colbgcolor=#d3d3d3,#000> ()/()
(10-3)
<colbgcolor=#d3d3d3,#000> ()
(10-4)
()
(104)
십만(十萬)
(105)
백만(百萬)
(106)
천만(千萬)
(107)
()
(10-5)
()
(10-6)
()
(10-7)
()
(10-8)
()
(108)
십억(十億)
(109)
백억(百億)
(1010)
천억(千億)
(1011)
()
(10-9)
()
(10-10)
()
(10-11)
()
(10-12)
()
(1012)
()
(1016)
()
(1020)
()
(1024)
모호
(10-13)
준순
(10-14)
수유
(10-15)
순식
(10-16)
(/)
(1028)
()
(1032)
()
(1036)
()
(1040)
탄지
(10-17)
찰나
(10-18)
육덕
(10-19)
허공
(10-20)
()
(1044)
()
(1048)
항하사
(1052)
아승기
(1056)
청정
(10-21)
아라야
(10-22)
아마라
(10-23)
열반적정
(10-24)
나유타
(1060)
불가사의
(1064)
무량대수
(1068)
...
구골
(10100)
구골플렉스
([math(10^{10^{100}})])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
큰 수의 단위
(垓) 10,000 배
자(秭) 10,000 배
(壤 또는 穰)

자() {{{#!if 한국어2 != null
septillion
#!if 영어2 != null
· 
#!if 영어서수 != null
· septillion{{{-3 ([[서수]])}}}
1024
<colbgcolor=#F5F5F5,#2E3033> 종류 정수
#!if 종류nolink != null
#!if 종류2 != null
, [[]]
#!if 하위종류 != null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 1em/0.5 monospace; font-family: revert"
 * [[자연수]]}}}
약수 (625개)
제곱 {{{#!if 제곱근 != null 멱등원 != null
· 제곱근}}}
#!if 제곱출력 == null
[[극(수)]]
#!if 제곱출력 != null
[[극(수)|1극]]
{{{#!if 제곱근출력 == null && (제곱근 != null
멱등원 != null)
, ±조(수)}}}
#!if 제곱근출력 != null
, ±[[조(수)|1조]]
문화권별 숫자 표기
#!if 숫자비표시 != null
(해당 없음)
{{{#!if 숫자비표시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f 로마 != null
로마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margin: -5px -2px -11px"
<nopad> 로마 숫자
#!if 괄선2 != null
{{{#!wiki style="text-decoration: overline; text-decoration-style: double; display: inline;"
}}}
#!if 괄선 != null
{{{#!wiki style="text-decoration: overline; display: inline;"
}}}
#!if 괄선 == null && 괄선2 == null
#!if 로마2 != null
, 
}}}}}}{{{#!if 그리스 != null 미리아스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margin: -5px -2px -11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그리스 숫자
#!if 미리아스 != null
[ruby(Μ, ruby=ϛ)]
(아폴로니우스)
}}}}}}{{{#!if 동아랍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margin: -5px -2px -11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동부 아라비아 숫자 ١٬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 }}}}}}{{{#!if 갖은자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margin: -5px -2px -11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갖은자 }}}}}}{{{#!if 이체자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margin: -5px -2px -11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이체자
#!if 이체자2 != null
、[[]]
#!if 이체자3 != null
、[[]]
#!if 이체자4 != null
、[[]]
#!if 이체자5 != null
、[[]]
}}}}}}}}}}}}}}}



1. 개요2. 사례


1. 개요


10의 24제곱으로, 1조의 제곱이자, 1억의 세제곱이다.

한자 표기는 이며, 대부분 수 단위 자를 한자로 표기했을 때 그 한자를 틀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1] 완성형에 秭가 없다 보니 한국어 IME로 입력이 어려운 것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큰 수 표기법으로 근사할 경우 BEAF 또는 BAN으로는 정확히 {10, 24}이며, sgh로는 [math(g_{\omega^{\omega2+4}}(10))]으로 쓸 수 있으며, fgh로는 [math(f_{2}(73))]보다 크고 [math(f_{2}(74))]보다 작다.

2. 사례


[1] 비슷하게 생긴 姉(누이 자), 枾(원래 이거다. )(감 시), 抒(풀 서; solve가 아니라 물을 퍼낸다는 뜻이다) 등으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특히 抒가 대중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