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2 11:33:16


가나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0%;"
{{{#!folding [ 야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
[ 어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width=1000>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
[ 여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width=1000> ||<width=14.3%> ||<width=14.3%> 뎌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셔 ||
[ 오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width=1000>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
[ 요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width=1000>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
[ 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width=1000>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
[ 유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width=1000>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
[ 으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width=1000> ||<width=14.3%> 느 ||<width=14.3%> 드 ||<width=14.3%> 르 ||<width=14.3%> 므 ||<width=14.3%> 브 ||<width=14.3%> ||
[ 이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width=1000>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
}}} ||
유니코드 U+C0AC
완성형
수록 여부
O
구성 +
두벌식
(QWERTY)
yk
세벌식 최종
(QWERTY)
nf
현행 로마자 표기법 sa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sa
1. 한자
1.1. 1.2.
1.2.1. 장기 기물
2. 1자 한자어
2.1. 숫자
2.1.1. 사(), 42.1.2. 사(), 10-42.1.3. 사(), 10-8
2.2. (詞), 한문학2.3. 사(), 함경도 지역의 행정구역
3. 한국어
3.1. 사, 음 이름(=G)3.2. -사, 보조사3.3. 사-, '사다'의 어근3.4. -사, '-사'자 직업3.5. 기타
4. 외국어5. 고유명사
5.1. 사씨, 한국의 성씨5.2. 사나라(祀), 춘추시대의 소국

[clearfix]

1. 한자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32 27 25 20 19
[11~106위]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107~308위]
5 4 력 례 3 2
[309~407위]
1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한국 한자음에서 '사'로 읽는 한자는 매우 많다. 교육용 한자 1800자 기준으로 32자로 제일 많다.[1] 다음은 그 32자의 목록이다.



1.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죽음. 歹는 뼈가 흩어진 모습을, 匕는 사람을 본뜬 거라고 한다. 일본의 넷상에서는 파자해서 ''라고 쓰기도 한다.

한국어와 같이 일본어도 4와 이 사가 같은 발음인 '시()'라서 발음하길 피하고 훈독한다(4자 금기). 사실 4에 대한 음독 피하기는 한국보다 일본이 더 심하다. 한국인들은 그래도 4학년, 4반, 4번 이런 발음은 안 피하는데 일본인들은 그런 상황의 4도 피하려 한다. 일본인들이 수를 셀 때 흔히 '이치 니 산 욘 고'라고 말하는 걸 보기 쉬운데 이는 '일 이 삼 넷 오'라고 읽는 것이다. 고작 수 세는 것도 그정도면 얼마나 심한지 알 수 있다.

야구에서는 아웃을 의미하는 말로도 쓰인다.

1.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선비, 사람을 뜻한다.

1.2.1. 장기 기물

사(장기)

2. 1자 한자어

2.1. 숫자

2.1.1. 사(), 4

4. 넷. four. 원래는 二나 三처럼 작대기를 네 번 그었지만 네 개부터는 헷갈려서 발음이 같은 四를 쓰게 됐다고 한다. 원래 四는 코에서 숨이 나오는 걸 본뜬 글자라고. 그러다 원래 뜻을 숫자 4에 빼앗기고 그 뜻으로는 呬(쉴 희)라는 글자를 쓰게 됐다.

2.1.2. 사(), 10-4

십진수
Decimal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큰 수 작은 수
(/)
(100)
(/)
(101)
(//)
(102)
(//)
(103)
<colbgcolor=#d3d3d3,#000> /분()
(10-1)
<colbgcolor=#d3d3d3,#000> ()
(10-2)
<colbgcolor=#d3d3d3,#000> ()/()
(10-3)
<colbgcolor=#d3d3d3,#000> #s-2.1.2()
(10-4)
()
(104)
십만(十萬)
(105)
백만(百萬)
(106)
천만(千萬)
(107)
()
(10-5)
()
(10-6)
()
(10-7)
#s-14.2()
(10-8)
()
(108)
십억(十億)
(109)
백억(百億)
(1010)
천억(千億)
(1011)
()
(10-9)
()
(10-10)
()
(10-11)
()
(10-12)
()
(1012)
()
(1016)
()
(1020)
()
(1024)
모호
(10-13)
준순
(10-14)
수유
(10-15)
순식
(10-16)
(/)
(1028)
()
(1032)
()
(1036)
()
(1040)
탄지
(10-17)
찰나
(10-18)
육덕
(10-19)
허공
(10-20)
()
(1044)
()
(1048)
항하사
(1052)
아승기
(1056)
청정
(10-21)
아라야
(10-22)
아마라
(10-23)
열반적정
(10-24)
나유타
(1060)
불가사의
(1064)
무량대수
(1068)
...
구골
(10100)
구골플렉스
([math(10^{10^{100}})])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

0.0001 = 10-4
작은 수
(毛) 또는 (毫) 1/10 배
사(絲) 1/10 배
(忽)

, [math(\frac{1}{10000})].

작은 수를 나타내는 단위. 역수는 이다. 공교롭게도 10의 4제곱의 역수이다.

야구에서 아주 가끔 사용되는 단위. 다음에 오는 단위로, 이때는 할(10%)의 0.0001이므로 0.00001을 뜻한다. 보통 모 단위 이하로 내려갈 때는 타격왕 경쟁 때 선수 간 엄밀한 타율 비교를 위해 사용하는데, 1990년 프로야구에서는 한대화이강돈이 타율 .335로 리까지 똑같았다. 보통 모 단위로 내려가면 승부가 가려지는데 여기서 모 단위까지 .3349[2]로 같아서 사 단위까지 내려가게 된다. 이때 한대화가 418타수 140안타로 0.33493를 기록했고 이강돈은 436타수 146안타로 .33486을 기록해 한대화가 7사 차이로 타격왕을 가져갔다. 참고로 MLBNPB에서는 소숫점 다섯 짜리까지 비교한 사례는 없다고 한다.[3] 기사.

2.1.3. 사(), 10-8

십진수
Decimal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큰 수 작은 수
(/)
(100)
(/)
(101)
(//)
(102)
(//)
(103)
<colbgcolor=#d3d3d3,#000> /분()
(10-1)
<colbgcolor=#d3d3d3,#000> ()
(10-2)
<colbgcolor=#d3d3d3,#000> ()/()
(10-3)
<colbgcolor=#d3d3d3,#000> #s-2.1.2()
(10-4)
()
(104)
십만(十萬)
(105)
백만(百萬)
(106)
천만(千萬)
(107)
()
(10-5)
()
(10-6)
()
(10-7)
#s-14.2()
(10-8)
()
(108)
십억(十億)
(109)
백억(百億)
(1010)
천억(千億)
(1011)
()
(10-9)
()
(10-10)
()
(10-11)
()
(10-12)
()
(1012)
()
(1016)
()
(1020)
()
(1024)
모호
(10-13)
준순
(10-14)
수유
(10-15)
순식
(10-16)
(/)
(1028)
()
(1032)
()
(1036)
()
(1040)
탄지
(10-17)
찰나
(10-18)
육덕
(10-19)
허공
(10-20)
()
(1044)
()
(1048)
항하사
(1052)
아승기
(1056)
청정
(10-21)
아라야
(10-22)
아마라
(10-23)
열반적정
(10-24)
나유타
(1060)
불가사의
(1064)
무량대수
(1068)
...
구골
(10100)
구골플렉스
([math(10^{10^{100}})])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

0.00000001 = 10-8
작은 수
(纖) 1/10 배
사(沙) 1/10 배
(塵)

, [math(\frac{1}{100,000,000})]

작은 수를 나타내는 단위. 역수는 이다.

숫자 9와 동음이의어인 1032처럼 동음이의어 관계에 있는 또 다른 작은 수의 단위가 있어 혼동할 우려가 있으나, 일상에서 쓸 일이 거의 없는 단위이므로 문제가 되진 않는다.

2.2. (詞), 한문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문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문학의 한 종류. 사(문학) 문서로.

2.3. 사(), 함경도 지역의 행정구역

고려 말과 조선시대에 함경도 지역에만 설치한 특수한 행정구역으로 다른 지역의 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이었다.

행정구역으로서의 사는 주례(周禮)에서 25가구를 1사(社)라고 한 것에서 유래했는데 원나라에서 50가구를 1사로 하고 나이가 많은 자를 장(長)으로 삼아 사를 관할하게 하였다. 이 영향으로 원나라 영토이던 함경도 지역을 수복한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에 함경도 일대의 촌(村) 또는 진(鎭)이 전부 사로 개편되어 조선시대 내내 이어지게 되었다.

사 제도는 일제강점기에 읍면제 실시로 사가 전부 면으로 개편되면서 사라졌다.

3. 한국어

3.1. 사, 음 이름(=G)

서양 음계의 다섯 번째 음. 로마자로는 대개 G로 적는다. 다장조에서의 .

3.2. -사, 보조사

보조사 '-(이)'의 동남 방언, 제주 방언.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된 보조사로 중세한국어에서 '-(이)ᅀᅡ'로 나타난다, 반치음의 흔적이 남아 '-사'가 되었고, 중부 방언에서는 반치음이 탈락하여 '-야'가 되었다.

3.3. 사-, '사다'의 어근

'구매하다'[買]의 의미를 지닌 동사. 'ㅏ/ㅓ'로 된 동사의 특성상 '사'라고 동사 어근만 써도 명령형이 된다.

3.4. -사, '-사'자 직업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고는 하나, 특히 전문성을 가졌으면서도 소득이 높은 직업들 중에 '-사'로 끝나는 직업이 많아 은어로 쓰이고 있다. 이 때문에 "지금 시대에도 사농공상이 있는 거 아니냐" 식의 말을 하기도 한다.

한국에서 '-사'가 들어가는 직업은 많으나 '판사/검사'는 '事', '변호사/변리사'는 '士', '의사/약사'는 '師'를 쓰는 식으로 사뭇 다르기에 한자를 기반으로 생겨난 말은 아니다.

어떤 직업이 '-사'자 직업으로 여겨지는지는 사람마다 다소 달라서, "6대 전문직"이니 "8대 전문직"이니 하지만 그 범주는 사람마다 다르다. 그나마 의사나 판사, 검사는 자주 언급되어 구어에서 흔히 "의사·판검사" 식으로 묶이기도 한다.링크. 일반적으로 '사'자 직업의 의미로 통용되는 직업들의 목록을 알고 싶다면 전문직 문서의 전문직 대출 가능 직종들을 찾아보면 좋다. 사기업의 분류인 만큼 법률과는 상관 없지만 그만큼 해당 직종들의 강력한 경제적 위치와 사회적 인정을 나타내기도 한다.

3.5. 기타

사기꾼을 '사짜'라고 부르는 비속어가 있다. 예를 들어 영 수상해보이는 사람이나 회사 같은 것을 보면 '사짜 냄새가 난다'라고 한다거나.

택시버스 번호판에 쓰이는 글자들 중 하나[4]이다. 특히 서울 시내버스 번호판은 절대다수가 '사'를 쓰고 있다.

4. 외국어

4.1. ça, 프랑스어

지시대명사로 '그것'을 뜻한다. 대개의 외국어 표기가 그렇듯이 '싸'에 더 가까운 감이 있다. 프랑스어 인사 "Ça va."가 유명하다.

4.2. さ/サ, 가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본어 가나 중 하나. 히라가나는 左의 초서체에서 유래했다. 카타카나는 散에서 유래했다.

4.3. 𒂄, 수메르어

ŠAḪ₂

수메르어돼지를 뜻한다.

5. 고유명사

5.1. 사씨, 한국의 성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성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사나라(祀), 춘추시대의 소국

나라 우왕의 후손을 봉했다는 나라라는 것 외에는 알려진 게 전혀 없는 소국이다.
[1] 중학교 16개, 고등학교 16개로 똑같은 개수로 배정되어 있다.[2] 반올림 기준.[3] 1모 차이 이하로 차이가 나는 경우가 없었다는 뜻은 아니다. 앞선 사례 처럼 7사 차이가 나더라도 보통 반올림하면 1모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이 일반적이다.[4] 나머지는 바, 아, 자. 참고로 1995년까지는 차, 카, 타, 파, 하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