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19:23:22

1. 단어2. 한자3. 인명4. 시호

1. 단어

을 '숙'이라고 하는 방언도 있다.

숙(菽)이라는 의 한 종류도 있다.

2. 한자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32 27 25 20 19
[11~106위]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107~308위]
5 4 3 2
[309~407위]
1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교육용 한자로 '숙'이라 읽는 글자는 다음 6자이다.

일본의 상용한자로는 孰이 없고 "학원"의 의미로 쓰이는 이 들어가 있는 것만 빼면 위와 같다. 塾, 熟만 ジュク이고 나머지는 シュク로 음도 거의 동일하다.

그밖에 잘 쓰이지 않는 글자로 菽, 夙, 潚, 琡, 璹가 있다. 전산으로 등록된 '숙'으로 읽는 글자는 이들 5자를 포함하여 12자뿐이다.

3. 인명

주로 한국인 여자 이름에 '숙' 자가 자주 쓰인다. 한자는 대개 (맑을 숙)이 쓰이며, 간혹 (엄숙할 숙)을 쓰기도 한다.[1] 주로 1950년대 중후반~1980년대 초반, 특히 1960년대~1970년대 중반 태생 여성들의 이름에 자주 들어가고 1980년대 중반 출생자부터는 촌스러워진 탓에 잘 쓰이지 않는다. 요즘은 40~60대의 중년층~초기 노년층 여성의 대표격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흔히 '아줌마(👩🏻‍🦱) 이름'으로 일컬어진다.

(뒷자)[2], , , , , 예, 나, 라 등과 마찬가지로 매우 여성적인 글자로 여겨지므로 남성 이름에 쓰이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3] 아무리 남성적인 글자와 조합하더라도 거의 여성 이름이다. 심지어 상술했던 글자랑 비교해도 여성성이 더 강하다. '미' 는 순우리말 이지만 '미르' 가 남성 이름이고, '혜' 와 '예', '아' 는 성 또는 준으로 끝나는 이름을 가진다면 남성에게 많이 쓰인다.[4] '라' 와 '나', '린' 도 남성적인 글자와 조합한다면 남자에게도 볼 수 있다. 이 탓에 항렬자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은 중장년층(1960년대~1980년대 초반 출생자)이나 노년층(1950년대 까지의 출생자)이라도 항렬자에 '숙' 이 있으면 항렬을 그냥 건너뛰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아주 옛날 사람 중에는 남자 중에도 '숙'이 들어가는 이름을 가진 이들이 좀 있다. 앵커 박근숙, 정치인 김창숙이 남자이다.


외자 이름 '숙'도 간간히 쓰이는 편이다.

4. 시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숙(시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이게 항렬자로 들어가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안동 권씨연안 이씨.[2] 앞자리가 '자' 인 경우는 능성 구씨 에서 남자 이름으로 보이며고, 그렇지 않아도 조합에 따라 남성 이름이 가능하다.[3] 은 남성 이름에도 꽤 쓰이지만 숙은 거의 없다.[4] '예준' 이라는 이름은 남자에겐 매우 흔하지만, 여자는 많이 쓰지 않는다. 가수 이예준 정도가 여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