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8 00:47:02

유니코드 BC15
완성형 수록 여부 O
구성 ㅂ+ㅏ+ㄱ
두벌식QWERTY qkr
세벌식 최종–QWERTY ;fx

1. 한국어
1.1. , 식물1.2. 박, 성관계를 뜻하는 은어1.3. 박, 박나가다 은어
2. 1자 한자어
2.1. , 악기 2.2. , 금속을 얇게 편 것2.3. , 상상의 동물
3. 한자4. 고유명사
4.1. , 대한민국의 성씨 박씨4.2. , 고구려별칭4.3. BAC, 프랑스의 대입자격시험 바칼로레아의 약칭4.4. บัก, 태국어 단어4.5. パク, 기동전사 건담 외전 THE BLUE DESTINY 소설판의 인물

1. 한국어

1.1. , 식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식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박, 성관계를 뜻하는 은어

'박 타다'라는 말은 흥보가의 "부부가 박 탄다"라는 표현에서 출발하여 국악계에서 성관계를 갖는다는 은어로 사용되었다. 1970년대종로게이바가 생겨나고, 동시에 국악계에 많았던 게이들과 종로 일대의 국악기 판매점과 한복 판매점을 통하여 게이들 사이에서는 자연스럽게 섹스의 은어로 많이 사용되었고, 지금까지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당연하지만,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의미이며, 현대 한국인들에 의해 '박/빡' 표현으로 고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집단 규모로 매춘이 이루어지는 곳을 이르는 단어들 중 "빡촌"이라는 단어도 이 은어에서 유래된 것이다.

1.3. 박, 박나가다 은어

'박나가다'라는 말은 "박터지게 싸우다"에서 유래. 이 표현은 오래전부터 격투계의 은어에서 시작되었다. 상대방이 KO패를 당하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정신이 나갔을때를 '박나가다', '박나갔다'라고 쓰인다. 현대에는 시합 전 트레쉬토킹(마이크웍)때도 상대의 멘탈을 터뜨렸을때 '박나가다', '박나감' 이라는 표현으로 쓰인다.

2. 1자 한자어

2.1. , 악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악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 금속을 얇게 편 것

한자 자체는 기본적으로 발(갈대 따위를 엮어 만든 물건)을 뜻하지만, 금속을 얇게 펴서 만든 것을 뜻하기도 한다. 금박, 은박 등에서 쓰이는 한자가 이 한자다. 다만 으로 만든 박인 금박의 경우 鉑(금박 박)자가 따로 있긴 하지만, 이 한자는 현대에 와서 백금(Pt) 원소를 뜻하는 글자로 사용되고 있다.

금은 두드려 늘리면 매우 얇게 펴지는 성질이 있어서, 예로부터 세계 곳곳에서 공예품에 자주 사용되었다. 물건 전체를 금으로 만들면 비용이 매우 커지기 때문에, 다른 금속 겉에 얇은 금을 덧씌워 금과 동일한 느낌을 주는 금박이 어떻게 보면 꽤 합리적이라고도 볼 수 있다. 다만 오래되면 마모되고 떨어져나가 원래 빛깔을 잃는 경우가 많기는 하다.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경주 월지 금동초심지가위 같은 고대 유물들이 바로 이름에는 ‘금’ 자가 들어가면서 녹슨 금속 빛깔인 이유다.

은박의 경우 은을 금박처럼 얇게 펴서 사용하는 경우는 그닥 많지 않고, 보통 알루미늄 포일은박지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은 말고도 금속 광택을 내는 더 값싼 물질은 이미 많아서 굳이 은을 얇게 펴서 다른 데에 덧씌울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에는 아예 플라스틱크롬을 도금하는 방법이 자주 사용된다. 샤워기, 화장품 뚜껑, 수도꼭지 따위에 쓰이는 은빛 플라스틱은 십중팔구 크롬이 도금된 플라스틱이다. 단 플라스틱에 크롬 도금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구리를 먼저 한번 도금하여 씌워서 전기가 잘 통하게 만든 후 크롬을 입혀야 한다. 간혹 물건들 중에서 마모가 많이 된 부분이 불그스름하게 변한 것은 크롬이 벗겨지고 구리 도금층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2.3. , 상상의 동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상상의 동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잠 · 거치녀 · 거치봉발 · 견상여야록 · 경강적룡 · 경어목야유광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공주산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꺼먹살이 · 나군파 · 나티 ·노구화위남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녹족부인 · 능원사 · 단피몽두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영차 · 대인 · 대구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마귀굴 · 망태기 할아버지 · 매구 · 맹용 · 머리 아홉 달린 괴물 · 모선 · 몽달귀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마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비하대어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삼족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성성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양수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의가작수 · 이매망량 · 이목룡 · 이무기(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점청화 · 일촌법사 · 자유로 귀신 · 자이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축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처녀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색구인 · 청양 · 청우 · 취생 · 칠우부인 · 콩콩콩 귀신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해중조 · 해추 · 허주 · 호문조 · 홍난삼녀 · 홍콩할매귀신
사령(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개명수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 길조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목어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셔글룬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예렌 · 예티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유성신 · 인면수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 황요 · 황포괴 · 해태 · · 흑풍괴
가고제 · 가난뱅이신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멘레이키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케조리 · 바케쿠지라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뵤부노조키 · 분부쿠챠가마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슈노본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시사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마메하기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와로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마히메 · 야만바 · 야토노카미 · 여우불 · 오가마 · 오뉴도 · 오니 · 오니구모 · 오니바바 · 오니쿠마 · 오무카데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와뉴도 · 와이라 · 요모츠시코메 · 요스즈메 · 우라 · 우미보즈 · 우부 · 우부메 · 운가이쿄 · 유키온나 · 유킨코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게온나 · 카라스텐구 · 카라카사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칸칸다라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케조로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쿄코츠 · 쿠다키츠네 · 쿠로보즈 · 쿠네쿠네 · 쿠단 · 쿠시 · 쿠비카지리 · 쿠즈노하 · 큐소 · 키도마루 · 키요히메 · 키이치 호겐 · 키지무나 · 타카온나 · 터보 할머니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테아라이오니 · 테케테케 · 텐구 · 텐조 쿠다리 · 텐조나메 · 텐조사가리 · 팔척귀신 · 하마구리뇨보 · 하시히메 · 하하키가미 · 한자키 · 호야우카무이 · 화차 · 효스베 ·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몽골
모쇼보 · 몽골리안 데쓰웜 · · 알마스
기타
사신(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 교인 · 구미호 · 천호 · 독각귀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비어 · 백두산 천지 괴물 · 옥토끼 · · 용생구자(비희 · 이문 · 포뢰 · 폐안 · 도철 · 공복 · 애자 · 금예 · 초도)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천호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3. 한자

교육용 한자 1800자 중 '박'으로 읽는 글자는 6자이다.
그 외에 (벗길 박)은 1급 한자이지만 剝離(박리), 剝製(박제), 剝奪(박탈), 剝片(박편), 剝皮(박피) 등 용례가 꽤 되는 편이다. (논할 박) 역시 1급 한자이지만[3] 面駁(면박), 論駁(논박), 反駁(반박), 攻駁(공박) 등 논쟁 관련 단어로 자주 쓰이는 편. '우박(雨雹)'의 (박)[4]특급 한자이다. 풍비박산(風飛雹散)이 이 글자를 쓴다.

일본의 상용한자 중 한국 한자음이 '박'인 글자는 위의 교육용 한자 목록에서 剝, 舶(배 박), (묶을 박), 撲(칠 박)이 추가되어 10자가 실려 있다. 일본 한자음은 대개 ハク(하쿠)이며 縛은 バク(바쿠)[5], 朴, 撲는 ボク(보쿠)이다. 중국 한자음은 위 6개 한자의 음이 朴(pǔ)/博(bó)/拍(pāi)/泊(bó)/薄(báo)/迫(pò)로 그다지 공통점이 없다.

4. 고유명사

4.1. , 대한민국의 성씨 박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성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식물 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4.2. , 고구려별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구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본어에서는 현대에도 狛이라고 쓰고 こま(고마)라고 읽곤 한다.

4.3. BAC, 프랑스의 대입자격시험 바칼로레아의 약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바칼로레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บัก, 태국어 단어

บัก

태국어음경을 뜻한다.

4.5. パク, 기동전사 건담 외전 THE BLUE DESTINY 소설판의 인물

계급은 준위. 한 전투에서 운으로 한 순간 엄청난 양의 전과를 올려 모르모트 부대에 배속된다.

본인의 실력보단 운으로 올린 전과라 운이 없게도베테랑이라 해도 픽픽 죽어나가는 사망률이 높은 모르모트 부대에 배속 된후 약한 모습을 보이다가 유우 카지마를 도울려고 탑승했던 블루 데스티니 2호기가 폭주한 뒤 님버스 슈타젠의 총격에 2호기 콕핏에서 사망한다,그후 블루 데스티니 2호기는 님버스가 강탈.

이름이 그저 (パク)이다. 어쩌면 한국인 캐릭터일지도 모르겠다....


[1] 반대말은 强力粉(강력분)이다.[2] 稚는 稚内(왓카나이)에서 온 것이다.[3] '정체자'인 駮은 급수 외이다.[4] (포)가 들어가면서 '박'으로 읽는 특이한 독음을 지녔다. 대개 包가 들어간 글자는 '포'라고 읽는다.[5] 博도 バク로 읽는 예가 몇 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