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의 상상의 동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한반도 | |||||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잠 · 거치녀 · 거치봉발 · 견상여야록 · 경강적룡 · 경어목야유광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공주산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꺼먹살이 · 나군파 · 나티 ·노구화위남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녹족부인 · 능원사 · 단피몽두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영차 · 대인 · 대구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마귀굴 · 망태기 할아버지 · 매구 · 맹용 · 머리 아홉 달린 괴물 · 모선 · 몽달귀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마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비하대어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삼족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성성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양수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을 · 의가작수 · 이매망량 · 이목룡 · 이무기(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점청화 · 일촌법사 · 자유로 귀신 · 자이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축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처녀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색구인 · 청양 · 청우 · 취생 · 칠우부인 · 콩콩콩 귀신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해중조 · 해추 · 허주 · 호문조 · 홍난삼녀 · 홍콩할매귀신 | ||||||
사령(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공공 · 단주 · 곤 · 삼묘) · 가국 · 강시 · 개명수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교1 · 교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기 · 길조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맥 · 명사 · 묘귀 · 무손수 · 무지기 · 박 · 백악 · 백택 · 봉희 · 붕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비 · 비두만 · 비목어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셔글룬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예렌 · 예티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유성신 · 인면수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탐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환1 · 환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후 · 흑풍괴 | ||||||
가고제 · 가난뱅이신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멘레이키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케조리 · 바케쿠지라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뵤부노조키 · 분부쿠챠가마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슈노본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시사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마메하기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와로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마히메 · 야만바 · 야토노카미 · 여우불 · 오가마 · 오뉴도 · 오니 · 오니구모 · 오니바바 · 오니쿠마 · 오무카데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와뉴도 · 와이라 · 요모츠시코메 · 요스즈메 · 우라 · 우미보즈 · 우부 · 우부메 · 운가이쿄 · 유키온나 · 유킨코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게온나 · 카라스텐구 · 카라카사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칸칸다라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케조로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쿄코츠 · 쿠다키츠네 · 쿠로보즈 · 쿠네쿠네 · 쿠단 · 쿠시 · 쿠비카지리 · 쿠즈노하 · 큐소 · 키도마루 · 키요히메 · 키이치 호겐 · 키지무나 · 타카온나 · 터보 할머니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테아라이오니 · 테케테케 · 텐구 · 텐조 쿠다리 · 텐조나메 · 텐조사가리 · 팔척귀신 · 하마구리뇨보 · 하시히메 · 하하키가미 · 한자키 · 호야우카무이 · 화차 · 효스베 · 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 ||||||
몽골 | ||||||
모쇼보 · 몽골리안 데쓰웜 · 봉 · 알마스 | ||||||
기타 | ||||||
사신(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곤 · 교인 · 구미호 · 천호 · 독각귀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비어 · 백두산 천지 괴물 · 옥토끼 · 용 · 용생구자(비희 · 이문 · 포뢰 · 폐안 · 도철 · 공복 · 애자 · 금예 · 초도) · 삼족오 · 선녀 · 신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천호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 야간 | ||||||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 ||||||
구분 | 북아시아·중앙아시아 | |||||
아메리카 | 유럽 | 동아시아 | ||||
오세아니아 | 동남아·남아시아 | |||||
남극 |
ぬらりひょん
1. 개요
일본의 요괴. 한자로 滑瓢(활표)라 표기하기도 한다. 유카타 차림을 한 할아버지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길쭉하게 뻗은 후두부가 특징이다. 바쁜 저녁 시간에 멋대로 남의 집에 들어와 차를 마시는 등 자기 집인 마냥 행동하며 민폐를 끼치는 요괴. 그 행동이 너무나 당당하여 아무도 그의 존재를 의심하지 않는다고 한다. 붙잡으려고 해도 미끌미끌 잘 빠져나간다고 한다.요괴의 총대장이라고도 불리는데, 이것은 백귀야행도에서 이 요괴가 선두에 위치해 그려지는 것을 보고 억측한 민속학자의 해석에서 태어난 것이다. 요괴 만화의 대원로격이라 할 수 있는 게게게의 키타로에서 누라리횬이 주인공 키타로와 대립하는 인간들과의 공존을 배척하는 나쁜 요괴들의 총대장 역할로 등장함으로써 이 같은 인상은 더욱 강해졌다.
생각해보면 변형되기 전의 원본 누라리횬은 그냥 단단히 노망난 민폐 노인일지도 모른다.(...)
2. 등장 작품
- 영화 요괴대전쟁
총대장 설에 맞추어서 두목 노릇을 한다.
- 모노노케 셰어링
요괴들의 총대장으로 등장한다.
치에와의 대결에서 심판으로 나오기도 한다
- 게게게의 키타로
- 자세한건 누라리횬(게게게의 키타로)항목 참조
- 아시아라이 저택의 주민들&이로하소시
'현옹 신쇼'란 이름으로 등장했으며 두건을 쓴 노인 모습을 한 서구장. 이로하소시에 수록된 히후미소시에서도 등장[1]했으며, 요시토라에게 스네코스리 세 마리를 선물로 주나 모두 먹혀버렸다. 이로하소시에서는 독심술을 쓰는 모습을 보였는데, 아시아라이 저택의 주민들에서는 그런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서구를 통솔하는 장답게 통찰력을 보유하고 있는지, 백야의 숲을 불테우는 등 중앙의 고압적이고 막무가네적인 태도에 주민들이 흥분하자, 본인도 화를 참고 주민들을 제지한다.
비중은 적지만 위의 누라리횬의 손자와 더불어 몇 안되는 긍정적으로 나온 케이스이다.
- 지옥선생 누베
몰락한 손님 신. 레귤러 등장인물 중 하나인 호소카와 미키의 집에 들어와서 멋대로 고급 양주와 음식을 먹는데 이에 놀란 미키가 이상한 할아버지인 줄 알고 아버지에게 전화를 했으나, 아버지의 큰 거래처 사장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높으신 분으로 착각을 해[2] 그에게 잘 보이고 이득을 얻으려고 "신처럼 높으신 분" 같은 아첨을 하면서 각종 아양을 떤다. 이에 기분이 좋아진 누라리횬이 자신의 신통력으로 자신을 백화점 오너 등 높으신 분이라고 속인 뒤 미키에게 비싼 고급 옷과 고급 음식 등을 사준다. 그러나 신통력이 풀려 미키가 가게 주인들에게 크게 추궁당하게 되자 그 전까지 요괴라고 생각되던 모습과는 달리 미키의 앞에 나타나 정체를 밝히고는 가게의 신단 안으로 들어가 버린다. (이야기의 전개에서는 이 시점에서 누라리횬이 '몰락한 손님 신'이라는 것이 드러난다) 그 후 가게 주인들은 자신들이 지금것 집을 지켜주는 손님 신을 잊고 있었다는 사실에 숙연해한다. 이후 가게 주인들은 미키에게는 더이상의 죄를 묻진 않고, 이미 먹은 음식은 벌 받는 셈치고 단념하고 옷 등 돌려받을 수 있는 것만 돌려받는 것으로 합의를 본다.
이후 중국에서 온 영부사 카이룬에게 토막살인 당한 줄 알았으나, 다행히도 생존이 확인되었다.
- 닌자전대 카쿠레인저
전국 시대에 암약중이었던 요괴 닌자의 두령. 1화의 초반부에서만 등장.
-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직접 등장하지는 않지만 주인공 '나'가 '오즈'를 누라리횬으로 묘사하는 장면이 수 차례 등장한다.
- 호오즈키의 냉철
2018년 5월 13일의 방영분에 등장. 약하고 존재감이 없어서 아무도 존재를 알아채지 못하는 모습으로 나온다.
- Wayward
이미지 코믹스에서 연재되었던 시리즈로 일본 요괴들의 힘과 일본 자위대의 병력으로 주인공들을 방해하는 최종보스로 나온다.
- 요괴 학교 선생님이 되었습니다!
학원장. 총대장 설을 차용해서 각색했는지 요괴 학교의 학원장이라는 설정이다.
[1] 각종 매체에서 요괴들의 총대장으로 나오는 것을 반영했는지, 현옹 신쇼와 함께 등장한 서구의 주민들 중 상당수가 일본의 요괴들이다.[2] 진짜 거래처 사장은 미키의 집 앞 왔다가 문을 통과해 나오는 누라리횬을 보고 놀라서 도망친다.[3] 다만 한국인 유학생을 자칭하지만 정체와 하는 행동으로 봐선 걍 사칭으로 보인다.[4] 원판 이름이 누라리횬이다.[5] 외적으로 원전의 누라리횬과 괴리감이 제법 있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