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02:53:34

성 박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fff,#1c1d1f>
, 2획
총 획수
<colbgcolor=#ffffff,#1c1d1f>
6획
중학교[1]
-
일본어 음독
ボク, ハク
일본어 훈독
すなお, ほお, えのぎ
-
표준 중국어
piáo, pò,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순박하다, 후박나무, 팽나무, 나무껍질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성씨로는 박씨에 쓰인다.

朴의 본자인 樸은 떡갈나무, 떨기나무란 뜻이 있다.

2. 상세

유니코드에선 U+6734에 배정되어 있다. 실제 단어로는 많이 쓰이지 않지만 한국의 성씨 순위 3위라 6급에 넣어진 걸로 보인다.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과 소리를 나타내는 (점 복)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만엽집에선 나오지 않는다.#[2]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3.7. 일본어

3.7.1. 훈독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1972년 첫 제정 당시에는 고등용으로 분류되었으나, 개정 당시 중학용으로 변경되었다.[2] 발음이 전혀 다른 (え)는 나오긴 한다.[차자표기] 차자표기이다. 정식 한자명칭이 아니다.